마테오 고필러

Matteo Goffriller

마테오 고프릴러(1659–1742)는 베네치아 루티어로, 특히 그의 첼로의 품질로 유명하다. 그는 1685-1735년 사이에 활동했으며, 베네치아가 세계에서 가장 중요한 음악 활동의 중심지 중 하나였던 시기에 루티어의 "베네치아 학교"의 설립자였다.

전기

비록 고프릴러가 브릭센에서 태어났다는 것은 알려져 있지만, 1685년 베니스 이전에 그에 대해 알려진 것은 거의 없다. 고프릴러는 1685년 루티어 마틴 카이저(카이저)를 위해 베네치아에 도착했다.[1] 1685년 그는 마돈나 델레 그라지에서 마르틴 카이저의 딸 마달레나 마리아 카이저(카이저)와 결혼하여 26년 동안 12명의 자녀(5남 7녀)를 낳았다. 오랫동안 그의 형으로 여겨졌던 프란체스코 고필러는 이제 그의 아들이었던 것으로 알려져 있다.[2]

그는 베니스가 세계에서 가장 중요한 음악 활동의 중심지 중 하나였던 루티어의 '베네티안 스쿨'의 창립자였으며, 아들 프란체스코 외에 루티우스 도메니코 몬타냐프란체스코 고베티를 가르친 것으로 추정된다.

그는 1742년 베니스에서 죽었다.

오인신분

고프릴러의 세포는 과거에 과르네리 가문, 카를로 베르곤지 또는 안토니오 스트라디바리에게 잘못 귀속되어 발견되기 시작한 1920년대까지 사실상 알려지지 않았다. 파블로 카살스가 한때 소유하고 있던 1733 고프릴러 첼로는 원래 베르곤지에게 귀속되었다. 그의 초기 인증 악기는 1689년의 비올라감바다.

Goffriller

고프릴러 기구의 표준 라벨은 정품이든 위조가든 간에 베네치아 안노[날짜]에 있는 라틴어 명문 Mattheus Goffiller Fece를 사용하여 제조자, 도시(Venice) 및 제조 연도를 식별한다. 날짜는 인쇄되거나 손으로 작성된다. 그러나 그는 베네치아 세금을 내지 않기 위해 실제로 그 악기들의 일부분만 라벨을 붙였다.

레거시

파블로 카살스의 고프릴러 1733 첼로는 그의 직업 생활 대부분을 위한 주요 연주 악기였다. 1913년에 취득하여 1973년 사망할 때까지 연주하였다. 2000년 이후 독일 크론베르크에서 열린 국제 파블로 카살스 첼로 콩쿠르 우승자들이 2년간 사용할 수도 있다.[3] 테렌스 웨일은 그가 1913년에서 1973년 사이에 연주하기 전에 카살스가 사용한 또 다른 고필러를 연기했다.[4]

고프릴러 악기를 사용해 본 다른 유명한 음악가들은 다음과 같다.

  • 조지 솝킨
  • 쥘 에스킨(BSO 1964-2016년 수석 첼리스트)
  • 고프릴러 기구

    비올린

    소브리케 연도 프로방스 메모들
    고프릴러 바이올린 1695 현재 안드레 파워가 연기하고 있다.
    사모몬스 1696 케네스 실리토[5]
    고프릴러 바이올린 1700 엑스트스타크 현재 애런 보이드가[6] 연기하고 있다.
    고프릴러 바이올린 1700 2008년부터 알렉산더 유드코프스키가 연기했다.
    고프릴러 바이올린 ca. 1700년경 스트라디바리 협회 미찰라 호지[7]
    전 시보리 1700
    고프릴러 바이올린 1700 조르자 플레자니스에 의해 연주되는
    고프릴러 바이올린 1700 패니 클라미기랜드가 연기한
    고프릴러 바이올린 1702 자크코 쿠시스가 연기했다.
    고프릴러 바이올린 1708 제니퍼 파이크가 연기했다.
    고프릴러 바이올린 ca. 1720년 앨런 패먼터 익명의 후원자가 2008년에 구입한
    고프릴러 바이올린 1722 1999년 바이올리니스트 Charmian Gadd로부터 도난당했고, 이후 회복되었다[8].
    고프릴러 바이올린 1723 1996년부터 아만다 파비에가 연주했다.
    고프릴러 바이올린 1730 프리울리 콜로레도 성 백작

    비올라

    소브리케 연도 프로방스 메모들
    고필러 비올라 1727 전 발터 트램플러 41cm; 현재 리처드 오닐이[9] 연기하고 있다.
    고필러 비올라 1700 Rachel Barton Pine Foundation 계기대출 현재 매튜 립맨이[10] 연기하고 있다.

    첼로스

    소브리케 연도 프로방스 메모들
    고필러 첼로 1689 미샤 마이스키 현재 세박 아바네시안이 연기하고 있다.
    고필러 첼로 1690 이전 사바티에, 액슬로드, 뉴저지 교향악단 레이블: 이전에 마리아 클라이겔[11] 연기한 니콜라스 아마투스
    고필러 첼로 ca. 1700년경 안토니오 메네시스
    고필러 첼로 1693 레오나르드 로즈 전 알프레도 피아티 레너드 엘센브로이치에게 대여하여
    고필러 첼로 1693 "카를로 베르곤지"라는 라벨이 붙어 있다. 현재 브루노 필리프가 연기하고 있다.
    고필러 첼로 1693 부다페스트 현악4중주단의 미샤 슈나이더가 이전에 소유하고 연주한 바 있다. 손가락판 아래 윗부분에는 로제트가 조각되어 있는데, 현재 Zuill Bailey가 연주하고 있다.
    고필러 첼로 1695 애너 벨스마가 연기한
    마르첼로 백작 1697 니콜라스 앤더슨; 지롤라모 마르첼로 백작; 베니스의 알도 파이스; 어빙 클라인[12]
    로제트 1698 레슬리 파르나스 로제트 장식을 새기다.
    고필러 첼로 1698 안드레스 디아즈
    고필러 첼로 1698 오스트리아 그라츠주 조앤하르시프랜드 박물관에 전시되어 있다.
    다르캄보 ca. 1700년경 이완 다캄보 그래머시 트리오의 조너선 밀러, 보스턴 아티스트 앙상블, 그리고 전 보스턴[13] 심포니 오케스트라가 연주했다.
    고필러 첼로 1700 아마데우스 4중주단 크리스티안 피에르 라 마르카가 연기했다.
    고필러 첼로 1701 가우티에 카푸손 연주
    고필러 첼로 1703 카를 프루; 라야 가르부소바(1930–1951)
    콤테 데 가브리악 1703 트레이 리 역
    더 스타 1705 야노스 스타커 (1965년)[14]
    전 워버그 1706 프랑수아 키페르(모딜리아니 4중주)가 연주한다.
    고필러 첼로 1707 이전에 헤르셸 고로데츠키(현 고든), 필라델피아 오케스트라 & 현악트 4중주단. 에릭킴이 연기함
    고필러 첼로 1708 이스티투토 델라 피에타, 베니스
    고필러 첼로 1710 맷 하이모비츠가 연기
    고필러 첼로 1710 미네소타 오케스트라의 첼로 수석 연주자 앤서니 로스
    고필러 첼로 1710 첼리스트 리처드 허슐 시카고 심포니 오케스트라 연주
    고필러 첼로 1710 프랑스 첼리스트 자비에 필립스가 연기했다.
    고필러 첼로 1710 독일의 첼리스트 알바 게르하르트가 연주했다.
    고필러 첼로 1711 마크 코피
    고필러 첼로 1712 크리스토프 크로이제가 연주하다
    고필러 첼로 1715 삼성문화재단 사라 산트암브로지오 역
    고필러 첼로 1715 스트라디바리 협회
    고필러 첼로 1717 마리 할린크[15] 연기했다.
    고필러 첼로 1720 에마누엘 푸에르만 조셉 슈스터
    고필러 첼로 1720 브루노 델레펠라레 역
    고필러 첼로 1720 "ex-레덜린" 현재 David Delacroix가 연기하고 있다.
    고필러 첼로 1722 요요마 발렌틴 에르벤이 연기한
    고프릴러 첼로 1723 전 피아티 인디애나폴리스 심포니 오케스트라, 아르카디 오를로프스키 수석 첼로 연주
    고필러 첼로 1722 피에르 포니에가 연기했다.
    전 코스만 1726 칼 푸흐스, 젠스카 슬레보스가 연기했다. 한때는 베르곤지라고 생각했었다.[16]
    사피르; 전 하비 샤피로 1727 현재 다니엘 뮐러 쇼트가 연기하고 있다.
    고필러 첼로 1728 새뮤얼 메이스 현재 티모시 에디 역
    고필러 첼로 1730-1735 "마달레나" 현재 Robert deMaine이 소유하고 있는 연극
    고르필러 첼로 1730 요하네스 고리츠키 현재 요하네스 고리츠키가 연주하고 있다.
    구피 1730 요한 세바스티안 파에치 건터 파에츠(1970–1985)가 연기했다.
    전 파블로 카살스 1733 현재 아미트 펠레드가, 맷 하이모비츠가, 앤 개스티넬이, 클라우디오 보호르케스가 연기하고 있다.[17]
    고필러 첼로 1734 닛폰 바이올린 현재 이토 유키가 연기하고 있다.
    고필러 첼로 1735 헤르만 부슈 현재 마티아스 내겔레가 연주하고 있다.

    더블 베이스

    소브리케 연도 프로방스 메모들
    베네데토 마르첼로 1712 베니스 음악원에 전시된.

    참조

    1. ^ Dilworth, John (2012). Brompton's Book of Violin and Bow Makers. Usk Publishing. ISBN 9780957349902.
    2. ^ Pio, Stefano (2004). Violin and Lute Makers of Venice 1640-1760. Venice, Italy: Venice research. p. 383. ISBN 978-88-907252-2-7.
    3. ^ Claudio Bohorquez가 "1"의 우승자. 인터내셔널러 파블로-카살스-웨트베베르브 데어 크론베르크 아카데미" 2000년(독일어)
    4. ^ 윌리엄 워터하우스, 1995년 3월 9일 독립유공자 테렌스 웨일
    5. ^ "Albert Edward Sammons". The Strad Magazine. 97 (1156). August 1986. Retrieved 2008-04-23.
    6. ^ 2015-12-05년 웨이백 머신에 보관된 링컨 센터의 실내악 협회
    7. ^ Stradivari 투자 2008-05-10년 웨이백 머신보관
    8. ^ "The Little Box That Sings". 2000-12-13. Australian Broadcasting Corporation. {{cite episode}}: 누락 또는 비어 있음 series= (도움말)
    9. ^ 링컨 센터의 실내악 협회
    10. ^ 비올라 매튜 립먼의 전기, 즉석 앙코르
    11. ^ "Cello by Matteo Goffriller, 1690c". Cozio.com.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07-09-27. Retrieved 2008-04-24.
    12. ^ Nicholas Anderson (2005). "The "Count Marcello" Gofriller". nicholas-anderson.com.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05-12-17. Retrieved 2008-04-23.
    13. ^ https://www.bso.org/brands/bso/about-us/musicians/bso-musicians/strings/cellos.aspx
    14. ^ Katherine Millett. "All Things Strings: Born to Teach, page 3". Strings Magazine. Retrieved 2008-04-24.
    15. ^ http://www.mariehallynck.com/violoncelleEng.html
    16. ^ "Cello by Matteo Goffriller, 1726 (ex-Cossmann)". Cozio.com.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07-12-19. Retrieved 2008-04-24.
    17. ^ "Amit Peled Receives Pablo Casals's Cello". Amit Peled Newsletter. 19 May 2003. Retrieved 2007-05-06.

    참고 문헌 목록

    • 스테파노 피오(Stefano Pio, Ed)의 1640 -176년 베니스의 바이올린과 루테 제작자. 베니스 연구, 베네치아 2004 www.veniceresearch.com
    • 미국 바이올린 협회의 저널, VSA는 스테파노 피오의 "베니스의 마테오 고필러의 생애와 작품" 1위 권 XXI를 게재했다.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