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이너드 잭슨

Maynard Jackson
메이너드 잭슨
Maynard Jackson.jpg
애틀랜타 54대·56대 시장
재직중
1974–1982
선행자샘 매셀
성공자앤드루 영
재직중
1990–1994
선행자앤드루 영
성공자빌 캠벨
개인내역
태어난
메이너드 홀브룩 잭슨 주니어

(1938-03-23)1938년 3월 23일
미국 텍사스댈러스
죽은2003년 6월 23일(2003-06-23) (65세)
미국 버지니아알링턴
휴게소오클랜드묘지(조지아 아틀란타)
정당민주적인
배우자
아이들.5
모교
직업

메이너드 홀브룩 잭슨 주니어(Maynard Holbrook Jackson Jr. 1938년 3월 23일 ~ 2003년 6월 23일)는 조지아 출신의 미국 정치인 및 변호사였다. 민주당 소속인 그는 1973년 35세의 나이로 조지아 애틀랜타의 첫 흑인 시장이자 남부 주요 도시에 당선됐다. 그는 3선(1974–1982년, 1990–1994년)을 역임했으며, 6선 시장(1937–1941년, 1942–1962)에 이어 애틀랜타에서 두 번째로 최장수 시장이 되었다. 하츠필드

그는 또한 공공 사업 프로젝트, 주로 애틀랜타 공항의 새로운 메이너드 H. 잭슨 국제 터미널, 그리고 도시의 소수 기업 참여가 크게 증가한 것에서도 눈에 띈다. 그가 죽은 후, 윌리엄 B. 하츠필드 애틀랜타 국제공항은 공항, 도시 및 공항의 확장에 대한 그의 봉사를 기리기 위해 하츠필드-잭슨 애틀랜타 국제공항으로 다시 명명되었다.

가족력, 배경, 사생활

잭슨은 교육과 정치적 행동주의를 중요시하는 가정에서 태어났다. 그의 외할아버지는 조지아에서 열린 백인 경선을 성공적으로 뒤집기 위해 노력한 민권 지도자 존 웨슬리 돕스였다. 그는 또한 애틀랜타에서 흑인 경찰관을 고용하고 흑인 공동체의 주요 소매 거리인 오번 스트리트의 점등도 얻었다. 메이나드의 어머니 아이린 (Dobbs) 잭슨은 여섯 딸 중 한 명이었다; 모두 부모님의 격려를 받아 스펠만 대학을 졸업했다. Irene은 프랑스에서 박사학위를 취득하여 그 대학에서 프랑스어 교수가 되었다.

그의 아버지 메이너드 홀브룩 잭슨은 뉴올리언즈 출신의 침례교 목사였다. 그는 가족이 이사한 후 성장한 텍사스 댈러스에서 시민권 활동을 하게 되었다. 그의 할아버지 알렉산더 스티븐스 잭슨은 루이지애나와 텍사스에서 침례교 목사 겸 교육자였다. 어린 잭슨의 아버지는 그가 15살 때 돌아가셨고, 그의 할아버지 돕스는 그의 인생에서 훨씬 더 영향력이 있었다.[1]

잭슨은 데이비드 T에 참석했다. 애틀랜타의[2] 하워드 고등학교역사적으로 애틀랜타의 남성들을 위한 흑인 대학인 모어하우스 칼리지가 1956년 18세의 나이로 졸업했다. 모어하우스 [3]칼리지 글리클럽에서 노래했어 잭슨은 잠시 보스턴대 로스쿨을 다닌 뒤 백과사전 판매 등 여러 직업을 가졌다. 그는 노스캐롤라이나 중앙대학교 법대에 입학하여 대학원생으로 돌아왔다. 그는 1964년에 법학 학위를 받고 졸업했다. 는 알파 파이 알파 동호회 회원이다.

잭슨은 1965년 버넬라 "버니" 헤이스와 결혼했다. 이 커플은 엘리자베스, 브룩, 메이너드 3세의 세 아이를 낳았다.[1] 버니 잭슨은 이혼에 앞서 애틀랜타에 홍보 마케팅 회사인 퍼스트 클래스를 설립했다.

잭슨은 1977년 발레리 리처드슨과 결혼했고, 그는 죽을 때까지 25년간 결혼 생활을 했다. 그들에게는 발레리와 알렉산드라라는 두 딸이 있다.[1] 발레리 잭슨은 매주 주말 WABE-FM 라디오 방송국인 애틀랜타 공영방송국에서 Between the Lines를 진행한다.

초기 경력

잭슨은 미국노동위원회(National Laboration Relationships Board)와 법률서비스회사에서 변호사로 일했다. 그는 민주당에 입당했다.[1]

정치 경력

1968년, 잭슨이 30살이었을 때, 그는 현직 헤르만 탈마지에 맞서 미국 상원의원에 출마하기로 결정했다. 그의 선거 운동에는 자금이 부족했고, 그는 패했지만, 잭슨은 애틀랜타에서 승리하여 상당한 흑인 소수가 있는 도시에서 두각을 나타냈다. 이듬해에는 부시장(부시장)으로 당선되면서 강건성을 쌓았다. 당시 애틀랜타는 시헌장을 수정하여 시장직을 강화하고 부시장직을 시의회 의장으로 개명(현재의 시의회 의원)하였다.[1]

1970년, 잭슨은 애틀랜타의 첫 흑인 부시장이 되었고, 그는 4년 동안 그의 첫 번째 선출직이었다.[4] 그 해 말, 잭슨은 파업에 돌입한 도시의 환경미화원들을 지원했고, 그의 지원은 그들이 더 높은 임금을 받는 데 기여했다.[5][6]

1973년, 잭슨은 애틀랜타와 남부 주요 도시의 첫 흑인 시장으로 60%의 득표율로 당선되었다. 그는 백인 자유주의자들과 흑인들로 구성된 연합의 지지를 받았다. 그는 35세에 현직의 샘 마셀을 석방했다.[1]

잭슨은 첫 임기 동안 선거 운동으로 인한 양극화 이후 애틀랜타 주변과 지역에서의 인종 관계 개선에 힘썼다. 시장으로서, 그는 시와 지역을 위한 몇몇 거대한 공공 사업에서 시작과 많은 발전을 이끌었다. 차별 철폐 조처 프로그램은 소수민족과 여성기업이 참여할 수 있도록 도왔다.[1] 그는 당시 윌리암 B의 업그레이드를 준비하는 것을 도왔다. 하츠필드 애틀랜타 국제공항의 거대한 터미널(현재의 국내선 터미널)을 현대적인 표준까지. 잭슨은 그러한 행동이 번창하는 지역사회를 파괴한다는 것을 알고 시내 이웃을 통한 고속도로 건설에 강력히 반대했다.[7] 1977년, 잭슨은 1977년 애틀랜타 위생 파업 동안 900명 이상의 위생원을 해고했다. 이러한 파업 위반 행위에 따라, 많은 노동자들이 연말까지 직장에 복귀했다.[5][6]

잭슨은 별도의 메트로폴리탄 애틀랜타 고속철도국(MARTA)이 고속철도 시스템을 위해 많은 양의 연방 자금을 확보했을 때, 공사가 시작되었을 때, 그리고 1979년 MARTA가 애틀랜타와 데칼브 카운티에서 첫 철도 운송 서비스를 시작했을 때, 그리고 그 이후 지속적인 확장 기간 동안 시장직을 수행했다.시장으로서, 그는 1990년 9월에 애틀랜타가 1996년 하계 올림픽의 개최 도시로 선정되었을 때 축하했다. 시장으로서, 그는 스페인 바르셀로나에서 열린 1992년 폐막식에서 올림픽 깃발을 받아들였다. 그는 1996년 8월부터 시작된 올림픽에 대비해 1990년부터 1996년까지 급행된 고속도로와 공원 개선, 프리덤 파크웨이 완공 등 많은 계획적인 공공사업 사업의 완성을 감독했다.

잭슨의 두 번째 시장 임기 동안, 애틀랜타 아동 살인 사건은 1979년에서 1981년 사이에 진행되었다. 그는 애틀랜타 경찰과 그 지역의 다른 경찰력을 지원했지만 흑인 어린이들의 연쇄 살인으로 야기된 대중의 긴장을 진정시키기 위해 노력했다. 피소된 살인범 웨인 윌리엄스는 1981년에 잡혔다. 윌리엄스는 성인 남성 2명을 살해한 혐의로 종신형 2회 연속 복역 판결을 받았으나, 아동 피해자 중 한 명도 살인 혐의로 기소하거나 재판을 받지 않았다. 그는 현재 텔페어 주립 교도소에 수감되어 있다.

1974년에 잭슨은 사무엘 S를 받았다. 개인 35년 이하의 최고 공직자 수염상, 제퍼슨 상이 매년 수여하는 상이다.[8]

논란

메이너드 잭슨은 1974년 5월 현직 백인 경찰서장인 존 인만을 해고하려 했을 때 큰 인종적 위기를 초래했다. 잭슨은 이 변화가 애틀랜타의 증가하는 범죄 문제와 흑인 사회의 흑인 미국인들에 대한 인종차별 불감증을 해결하기 위해 필요하다고 생각했다. 백인들은 총격을 반대했고 인종간의 긴장이 고조되어 애틀랜타의 자랑스러운 모토를 손상시켰다. "너무 바빠서 미워할 수 없다."

1974년 8월 잭슨 시장은 A를 임명했다. 대학 친구이자 동료 운동가인 레지날드 처마(Reginald Chuarma)는 공공 안전 위원으로서 활동했다. 처마는 경찰 경험이 부족하다는 비판을 받았다. 그는 전과자를 개인 비서로 임명해 논란을 일으켰지만 경찰에서 정원 승진과 채용의 제도로 여겨졌던 것이 오히려 '역차별'이라는 비판이 많았다.[9]

잭슨은 경찰 시험 부정행위가 폭로된 후 처마를 해고했다.[10] 처마는 이후 1988년 연방 배심원단에 의해 두 번의 재조합에 대한 투표를 판매한 후 강탈죄로 유죄판결을 받았다.[11]

1991년 잭슨은 애틀랜타에 트랜스젠더 슈퍼모델인 캐롤라인 코스시(툴라)에게 명예 시민권을 수여했지만, 이후 그가 트랜스젠더라는 사실을 알게 된 후 "성전환자라는 이름을 가진 사람에게 주지 않았을 것"이라며 명예 시민권을 주었다.엔더 재할당은 공적인 지식이었다. Cossey는 그의 결정에 모욕감을 느꼈다고 말했다.[12]

애틀랜타의 범죄

위에 언급된 1979–1981년 애틀랜타 아동 살해 사건 외에도, 주민들은 잭슨 시장 재임 기간 동안 범죄율이 증가하는 것을 우려했는데, 이는 국가적인 경향과 일치했다. 1979년 치솟는 살인율과 범죄의 전국적인 홍보를 받으며, 메이너드 잭슨 시장의 요청에 따라 조지아 버스비 조지아 주지사는 조지아 주 순찰대를 불러 시내 순찰에 도움을 주었다. 재계는 잭슨 시장과 조지 내퍼 경찰청장이 범죄에 대한 대중의 우려를 일축했다고 비난했다. 애틀랜타는 어느 도시보다도 살인율이 높고 전체 범죄율이 가장 높았으며, 1978년부터 1979년 사이에만 살인사건이 69% 증가하면서 그 수가 빠르게 증가하고 있었다. 그 중 상당수는 마약전쟁에 의한 것으로 여겨졌다.[13]

민주당 전국위원회 봉사활동

잭슨은 시장직에서 물러난 후에도 민주당에서 활발한 활동을 계속했다. 2001년 그는 민주당 전국위원회 위원장으로서 빌 클린턴 전 대통령과 힐러리 클린턴 전 대통령의 지지를 받았던 기금 모금자 테리 맥컬리프에게 패하며 낙선했다. 잭슨은 빌 브래들리 대통령 후보의 지지를 받았다.

잭슨은 민주당 전국위원회 국가발전위원장으로 임명되었고 DNC 의결권연구소의 초대 회장을 역임했다. 2002년, 그는 미국 유권자 연맹을 설립했는데, 이것은 국민 투표 참여를 높이기 위한 비영리 및 초당적 노력이다. 2001년 다큐멘터리 《Startup.com》에 잠깐 출연했다.

유산과 명예

  • 2008년 사우스사이드 종합 고등학교가 메이너드 홀브룩 잭슨 고등학교로 개칭되었다.
  • 2003년 하츠필드 애틀랜타 국제공항에는 잭슨의 이름이 추가됐고, 2012년 잭슨 공항의 새 국제선 터미널이 그의 이름을 따서 명명됐다.[14]
  • 2015년에는 사무엘 D가 감독한 메이너드라는 제목의 그의 삶과 일에 관한 다큐멘터리 영화가 준비 중이었다. 폴라드. 2016년에 개봉될 예정이다.[15]
  • 메이너드 다큐멘터리는 DOC NYC가 2017년 11월 16일 그들의 영화제에서 초연하기 위해 공식적으로 선정했다.[16]

죽음

잭슨은 2003년 미국 버지니아주 알링턴의 한 병원에서 로널드 레이건 워싱턴 국제공항에서 심장마비로 65세의 나이로 사망했다. 그의 유해는 애틀랜타 오클랜드 묘지에 안장되어 있다.

참조

  1. ^ a b c d e f g 브래들리 R. 라이스, 2016년 1월 6일 편집된 조지아 백과사전 '메이너드 잭슨(1938~2003)'은 2016년 4월 7일에 접속했다.
  2. ^ https://www.ajc.com/lifestyles/david-howard-from-georgia-slave-atlanta-philanthropist/BlsNK0GcM6WPKVGIf43SBK/
  3. ^ Congress, U. S. (June 23, 2003). "Honoring Maynard Holbrook Jackson". Congressional Record: 15755. ISBN 9780160780523.
  4. ^ "What Manner of man was Maynard Holbrook Jackson? A Tribute to his life and legacy". Retrieved January 5, 2018.
  5. ^ a b Hobson, Maurice J. (2017). The Legend of the Black Mecca: Politics and Class in the Making of Modern Atlanta. University of North Carolina Press. pp. 85–89. ISBN 978-1-4696-3536-1 – via Google Books.
  6. ^ a b Shirley, Neal; Stafford, Saralee (2015). Dixie Be Damned: 300 Years of Insurrection in the American South. AK Press. ISBN 978-1-84935-207-9 – via Google Books.
  7. ^ "Remembering when Atlanta's highway fight reached an accord 25 years ago". SaportaReport. August 8, 2016. Retrieved December 29, 2020.
  8. ^ "Archived copy".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November 24, 2010. Retrieved August 5, 2013.CS1 maint: 제목으로 보관된 복사본(링크)
  9. ^ A. Reginald 처마, 애틀랜타 언필터드, 2009년 9월 6일
  10. ^ "Maynard Holbrook Jackson Jr." Bookrags세계 전기 백과사전
  11. ^ "스칼라와그" 애틀랜타 매거진 웨이백 머신에 2012-12-02년 보관
  12. ^ "툴라 - 플레이보이 1991년 첫 트랜스젠더" 플레이보이 매거진, 2020년 10월 09일
  13. ^ "Tapes & Transcripts Drug Wars FRONTLINE PBS". www.pbs.org. Retrieved December 29, 2020.
  14. ^ '메이너드 잭슨 주니어(1938~2003)' 블랙포스트 2016년 4월 7일 접속
  15. ^ 2015년 6월 25일 애틀랜타 매거진 '메이너드 잭슨 영화' 에린 헤인스 왁은 2016년 4월 7일에 접속했다.
  16. ^ "Maynard Jackson". maynardmovie.com. Retrieved January 5, 2018.

추가 읽기

  • 게리 포머란츠 피치트리가 스위트 오번과 만나는: 두 가족의 사가와 애틀랜타의 메이킹 (뉴욕: Penguin Books, 1996)

외부 링크

정치국
선행자 애틀랜타의 시장
1974–1982
성공자
선행자 애틀랜타의 시장
1990–1994
성공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