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욘
Mayon마욘 | |
---|---|
| |
최고점 | |
승진 | 2,463 m ( 8,081 피트)[1] |
튀다 | 2,447 m ( 8,028 피트)[1] |
리스트 | |
좌표 | 13°15′24″n 123°41°06°E/13.25667°N 123.68500°E좌표: 13°15⁄24°N 123°41 0 06 e E / 13 . 25667 ° N 123 . 68500 °E / .、 . |
지리 | |
나라 | 필리핀 |
지역 | 비콜 주 |
지방 | 알베이 |
도시 및 지방 자치체 | |
지질학 | |
록의 시대 | 20,000년[2] 이상 경과한 |
산형 | 스트라토볼카노 |
화산호/벨트 | 비콜 화산 연쇄 |
마지막 분화 | 2019 |
등산 | |
첫 번째 상승 | 스코틀랜드인 패튼 & 스튜어트(1858)[3] |
마욘(중앙 비콜: 벌칸 마욘; 타갈로그:불캉마욘(IPA: [mjjɔn])은 필리핀 루손섬 비콜주 알바이도에 있는 성층화산으로, 마욘 산과 마욘 화산(스페인어: 몬테마욘, 볼칸마욘)으로도 알려져 있다.[4]필리핀 [5]신화에 등장하는 원추형 대칭으로 완벽한 원추형으로 유명한 관광지다.
주변 경관을 가진 이 화산은 1938년 7월 20일 전국 최초로 국립공원으로 지정되었다.2000년에 자연공원으로 재분류되어 [6]마욘 화산 자연공원으로 개칭되었다.2016년 [7]유네스코가 지정한 알베이 생물권 보호구역의 중심축으로 현재 세계문화유산으로 지정되고 있다.
마욘 화산은 필리핀에서 가장 활발한 화산이며 정상에서 [8]약 12km(7.5m) 떨어진 리죤 언덕에 있는 주 본부에서 필리핀 화산학 및 지진학 연구소(PHIVOLCS)가 정기적으로 화산 활동을 감시하고 있다.
지리
마욘은 알베이 주와 필리핀 비콜 지역 전체의 주요 랜드마크이자 가장 높은 지점으로 약 10km 떨어진 [9][10]알베이만 해안에서 2,463미터 (8081피트) 떨어져 있다.이 화산은 레가즈피, 다라가, 카말리그, 기노바탄, 리가오, 타바코, 말리포트, 산토도밍고(레가즈피에서 시계방향으로)의 8개 도시와 자치체가 지리적으로 공유하고 있으며, 이 도시들은 그들의 정치적 경계 지도를 볼 때 원뿔을 파이 조각처럼 나눈다.
지질학
마욘은 작은 중앙 정상 크레이터가 있는 전형적인 성층화산입니다.원뿔 화산은 그 [10]대칭성 때문에 세계에서 가장 완벽하게 형성된 화산으로 여겨진다.
화산의 쌍곡선 사인 곡선인 오목 프로필은 화산재의 정지 각도로 정의되는 침식과 분출 사이의 균형 때문이다.화산의 가장 가파른 상부 경사도는 평균 경사도 75%에 달하지만, 하부 경사도는 평균 3%에 불과합니다.그 화산 분화구는 지름이 약 250미터이다.최소 85개의 용암 흐름이 확인되었으며, 주로 분화구에서 공급되는 'A'a augite-hypersteene-andesite'로 구성되어 있다.화쇄류, St.로 특징지어진다.빈센트 누에 아르덴테, 블록과 재의 퇴적물, 그리고 재와 라필리 매트릭스에 빵가루 폭탄을 남겨주세요.산토도밍고의 피델 수르티다를 따라 가장 먼 유속이 8.5km에 달했다.Mayon lahars는 분출 중 폭우로 인해 형성되거나 이후 집중 호우로 인해 형성되었다.높이가 평균 230m이고 직경이 710m인 7개의 신더 콘이 남쪽과 남서쪽의 낮은 경사면에 있다.감람석 현무암으로 구성된 이 원추체들은 Lignon Hill을 [11]예로 들어 34%의 휴면각을 가지고 있다.
태평양 주변의 다른 화산들과 마찬가지로, 마욘은 환태평양 화산대의 일부입니다.그것은 루손의 남동쪽에 있다.비콜 아크는 필리핀 이동 벨트를 정의하는 7개의 해구 섭입 지대 중 하나입니다.비콜 아크 화산활동은 필리핀 해구를 따라 필리핀 판이 서쪽으로 가라앉는 것과 관련이 있다.호 안에 있는 12개의 활화산과 활화산은 마욘 화산, 불루산 화산, 이사로그 산, 이리가 산, 말리나오 화산, 마사라가 산을 포함한다.일반적으로 이것들은 석회 알칼리 현무암,[11] 현무암, 안데스암입니다.
2021년 8월, 마욘의 토양은 항생제와 항암 [12]성질을 가진 박테리아 종을 포함하고 있는 것이 발견되었다.
기록된 분출
마욘 화산은 필리핀에서 가장 활발한 화산이며, 지난 500년 [13]동안 47회 이상 폭발했다.역사적 관측 결과 1616년 [14]최초의 폭발이 일어난 것으로 밝혀졌다.최초의 분화는 1766년 [15][16]7월 20일의 6일간의 사건이었다.
1814년 화산 폭발
가장 파괴적인 폭발은 1814년 2월 1일에 일어났다.[14][17]용암은 흘렀지만 1766년의 폭발보다는 적었다.이 화산은 검은 화산재를 내뿜었고 결국 카사와 마을에 테프라를 퍼부어 [14][17]매몰시켰다.나무들이 불에 탔고, 강들은 확실히 피해를 입었다.인근 지역도 화산 폭발로 파괴되어 화산재가 9m(30ft) 깊이까지 쌓였다.PHIVOLCS에 [14][17]의하면, 카사와 마을에서는, 약 1,200명의 주민이, 마욘의 역사상 가장 치명적인 분화로 사망했다.이 화산 폭발은 인도네시아의 탐보라 산과 같은 다른 화산들의 재앙적인 1815년 폭발과 함께 대기 중의 화산재가 축적되는 데 기여하여 1816년에 [citation needed]여름이 없는 해가 된 것으로 여겨진다.
1881년-1981년 분화
1881년 7월 6일부터 1882년 8월 경까지 마욘은 강한 (VEI=3) 분화를 겪었다.자연학자이자 교수이자 지질학자인 사무엘 크넬랜드는 화산 활동이 시작된 지 약 5개월 후인 1881년 크리스마스에 화산 활동을 직접 관찰했다.
제가 방문했을 때, 화산은 5개월 동안 계속적으로 정상에서 레가스피 쪽으로 용암을 쏟아냈습니다.점착된 덩어리는 조용하지만 웅장하게 거품이 일었고, 분화구 경계를 뛰어 넘어, 마치 붉게 달궈진 쇠처럼 이글거리는 파도를 타고 수백 피트 아래로 내려갔다.윗면이 식으면서 서서히 희미해지면서 틈 사이로 천 개의 반짝이는 소용돌이로 변했고, 바닥 근처 숲 뒤편의 완전한 시야선을 넘어서자 불길이 별처럼 반짝이거나 꺼져가는 대화재의 섬광처럼 반짝였다.산 높이의 절반 이상이 [18]이렇게 조명되었다.
1897년 화산 폭발
마욘의 가장 긴 연속 분화는 1897년 6월 23일 (VEI=4)에 일어났으며, 7일 동안 불이 났다.용암이 다시 문명으로 흘러내렸다.동쪽으로 11킬로미터(7마일) 떨어진 바카카이 마을은 용암 아래 15미터(49피트)에 매몰되었다.산토도밍고에서는 증기와 떨어지는 잔해나 뜨거운 바위에 의해 100명이 사망했다.산 로케, 스타 같은 다른 마을들.미시코디아와 산토니뇨는 죽음의 덫이 되었다.화산재는 [10]400명 이상의 목숨을 앗아간 참사로부터 160km 떨어진 곳까지 검은 구름을 타고 옮겨졌다.
1984년과 1993년의 분화
PHIVOLCS [19]과학자들의 권고에 따라 7만3천명 이상의 사람들이 위험 지역에서 대피한 후 1984년 폭발로 인한 인명 피해는 기록되지 않았다.그러나 알베이 주 정부에 [17]따르면 1993년 화산[20] 폭발 과정에서 화쇄류로 인해 79명이 사망했으며[14], 이로 인해 5만 명의 주민들이 대피했다.
1999년 화산 폭발
Mayon은 1999년 5월에 증가 활동을 시작했으며, 관련 위험 상태는 경보 수준 [21][22]1로 상향 조정되었다.1999년 6월 22일, Mayon은 환기구 위로 약 10km까지 상승한 화산재 기둥을 내뿜었다. 이후 상태는 경보 레벨 [17][21][22]2로 올라갔다.이 방출은 필리핀 화산학 및 지진학 연구소의 지진 네트워크에 의해 10분간 지속된 폭발로 기록되었다.폭발 [citation needed][23]전에는 화산 지진이나 다른 비정상적인 활동의 가시적인 징후가 관찰되지 않았다.
2000년 화산 폭발
마욘은 1999년부터 지속적인 배출을 경험했고 그 후 2년 [17]연속 폭발을 경험했다.
2000년 1월 5일, 폭발에 의해 5킬로미터 높이의 화산재 기둥이 생성되었다.정상-크레이터 돔의 성장과 폭발의 격화는 후에 [21]대피를 예고했다.
과거의 방출은 2월 [22][24]12일부터 용암 돔의 성장을 이끌었다.2월 23일, 일련의 분화가 시작되었다.[24][25]그리고 나서 PHIVOLCS는 영구적인 위험 [22]구역 밖에서도 대피할 것을 권고했다.2월 24일, PHIVOLCS는 최소 8개 마을과 1개 도시가 화산재와 용암 흐름으로 폭발할 수 있다고 경고하고, 수천 명이 확인된 위험 지역 [14][22][25][26]밖에서도 대피해야 하는 등 최고 수준의 경보 수준인 5단계로 격상되었다.가장 격렬한 분화는 2월 28일부터 3월 1일까지 일어났고, 그 이후로는 [24][25]4월까지 활동이 감소하였다.
NDCC는 2000년 폭발로 14,114가구(6,426명)의 이재민이 발생했으며 최소 8,900만 파운드의 재산과 [17]농작물이 피해를 입었다고 보고했다.
2001년 화산 폭발
NDCC는 2001년 또 다른 폭발로 11,529가구(56,853명)가 피해를 입었으며 최소 4,800만 파운드의 재산과 [17]농작물이 피해를 입었다고 보고했다.
2006년 화산 폭발
마욘의 48번째 근대 분화는 2006년 7월 13일에 있었고 2006년 [16][8]7월 14일에 용암이 조용히 분출되기 시작했다.화산 [27]남동쪽 8킬로미터 위험 구역에서 약 4만 명의 사람들이 대피했다.
2006년 9월 1일의 화산재 폭발 후, Mayon의 전체 활동은 전반적으로 감소하였다.지진도, 이산화황 배출률, 지반 팽창률 등 주요 매개변수의 감소는 모두 감소세를 나타냈다.분출 활동의 둔화는 분화구의 광택이 감소하고 정상에서 분출되는 용암의 양이 감소하는 것으로도 뚜렷하게 나타났다.PILVOLCS 경보 레벨 4는 2006년 9월 11일 레벨 3으로, 2006년 10월 3일 레벨 2로, 2006년 [28]10월 25일 레벨 1로 낮아졌다.
2008년 화산 폭발
2008년 8월 10일, 작은 정상 폭발로 정상 200미터(660피트) 상공에서 화산재가 분출되어 북동쪽으로 표류했다.분화 [16]전 몇 주 동안 분화구 내에서 가시적인 빛이 증가했고 지진도 [29]증가했습니다.
2009-2010년 화산 폭발
2009년 7월 10일 PHIVOLCS는 기록된 저주파 화산 지진의 수가 2008년 수증기 [30][31]이전과 동일한 수준으로 증가했기 때문에 경보 레벨 1(저수준 불안)에서 경보 레벨 2(중간 수준 불안)로 위상을 높였다.
2009년 10월 28일 오전 5시 32분 정상 분화구에서 약 1분간 작은 화산재 폭발이 일어났다.갈색 화산재 기둥이 분화구 위로 약 600미터(2,000피트) 올라갔고 북동쪽으로 떠내려갔다.지난 24시간 동안 13번의 화산 지진이 기록되었다.증기 방출은 중간 수준이었고 남서쪽으로 서서히 내려갔다.PHIVOLCS는 경보 상태를 레벨 2로 유지했지만, 나중에 열대 저기압 국제 코드명 미리내(Mirinae)가 접근함에 따라 라하르의 위험과 가능한 분화구 벽 붕괴가 크게 증가할 것이며 지정된 모든 예방 조치를 [32]취해야 한다고 경고했다.
동이 튼 후 현장 조사 결과 화산재가 화산 남서쪽으로 떠내려온 것으로 나타났다.24시간 동안 지진 네트워크는 20개의 화산 지진을 기록했습니다.Alert Status는 Level [33]2로 유지되었습니다.
2009년 12월 14일 오후 8시, PHIVOLCS는 과거 24시간[34] 동안 83회의 화산 지진과 이산화황 배출 증가 이후 경보 상태를 레벨 [35]3으로 상향 조정했다.
2009년 12월 15일 이른 아침, 정상 분화구에서 중간 정도의 화산재가 폭발하여 "용암의 조용한 분출"로 [36]정상에서 약 500미터(1,600피트)까지 흘러내렸다.알베이주 당국은 저녁 무렵 8km 위험지역에서 주민 2만명을 대피시켜 현지 대피소로 대피시켰다.약 5만 명의 사람들이 8킬로미터 구역 내에 살고 있다.[37][38]
2009년 12월 17일, 정상에서 500미터(1,600피트) 상공에 도달한 5개의 화산재가 분출되었다.아황산가스 배출량은 24시간 동안 2,758톤으로 증가했고, 용암류는 정상에서 1,500미터(4,900피트)까지 내려왔으며, 용암 더미의 백열 파편들은 정상에서 3,4킬로미터 떨어진 곳까지 계속 굴러갔다.조이 살세다 [39]알베이 주지사에 따르면 정오까지 7,103가구의 총 33,833명이 대피했는데, 이는 대피해야 할 전체 인구 중 72%에 해당하는 수치이다.
2009년 12월 20일, PHIVOLCS는 화산 남쪽에서 용암류가 증가하고 이산화황 배출량이 하루 750톤으로 증가했기 때문에 Mayon의 상태를 경보 레벨 4로 격상시켰다.그 화산에서 거의 460개의 지진이 관측되었다.위험 구역 경계에서 천둥 소리 같은 굉음이 들렸다.필리핀 정부는 9,000여 가구(44,394명)를 화산 [40]밑바닥에서 대피시켰다.8km 위험지역 내에는 민간인이 출입할 수 없으며, 필리핀군은 "금지" 규칙을 시행하고 [41]대피한 사람들의 피해나 재산 손실을 막기 위해 적극적으로 순찰했다.
화산이 12월까지 안정세를 보이면서 경계 레벨 4가 유지되었고, 이로 인해 영향을 받은 주민들은 크리스마스와 [42]새해를 대피소에서 보냈다.12월 25일,[43][44] 이산화황 배출량은 하루 8,993톤으로 최고조에 달했다.12월 28일, PHIVOLCS의 책임자인 레나토 솔리디움은 화산의 상태에 대해 "여러분은 휴면 중이라고 생각할 수 있지만, 화산은 여전히 [41]부풀어 오르고 있습니다."라고 말했다.다음 날인 12월 29일, 정상 근처 영공에 대한 민간 항공 경보가 화산 [45]속보에 포함되었다.분화가 시작된 이후 분출된 화산 물질은 과거 분화 [46]때의 5000만~6000만 입방미터에 비해 2000만~2300만 입방미터의 암석과 화산 잔해로 추정됐다.
2010년 1월 2일,[47] PHIVOLCS는 지난 4일 동안 관측된 활동이 감소했다는 이유로 화산의 경계 수준을 레벨 4에서 레벨 3으로 낮췄다.그 국가 기관 화산재가 퇴장당하고 증기 배출의 상대적 약화와 아황산 가스 방출에 하루 8,993톤의 최대에게 하루에 2,621톤까지 점차적인 감소의 부재 지적했다.반면 2,728 가족들은 4–6 km위험 지역으로 들어가기 전에 남아 있는 7–8 km위험 구역 안에서[44]7,218명 가족들이 집에 돌아왔다.경계 수준을 [48]더 낮추기 위한 결정이 기다리고 있는 대피소들
2010년 1월 13일, PHIVOLCS는 위험 [49]폭발의 가능성이 추가로 감소함에 따라 경보 수준을 3에서 2로 낮췄다.
정부 대응
알베이 주지사 조이 살세다는 재난 지역을 외부 단체들의 지원을 장려하기 위해 '개방 도시' 지역으로 선포했다.구호물자 제공 예정자는 도 재해조정회의 승인을 받을 필요가 없으며, 지방정부 [50]차원의 지원단체와 직접 연계되었다.
화산의 안정성은 또한 그 지방의 관광 산업을 자극했다.지난 12월 14일 화산이 폭발하기 시작한 이후 2주 동안 하루 최대 2,400명의 관광객이 이 지역에 도착해 지역 호텔들을 가득 메웠다. 이는 전날의 평균적인 200명에 비해 훨씬 적은 것이다.그러나 현지 '가이드'에 이끌린 일부 관광객들은 8km 위험지역에 진입하지 말라는 정부의 경고를 무시한 것으로 알려졌다.큰 문제입니다.사상자 제로(기록)의 첫 위반은 사망한 관광객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51]
살세다는 스릴을 찾는 사람들이 이 지역에 오는 것에 대해 "분화 순간 현지 가이드가 빠져나갈 가능성이 더 높을 것이다.무력한 관광객은 뒤에 [51]남겨질 것이다.
국제적 대응
화산에 대한 경보 수준 3이 선포된 후, 미국은 자국민들에게 마욘으로 여행하지 말 것을 경고하는 권고를 발령했다.캐나다와 영국도 자국민들의 [52]화산 방문을 막는 권고문을 게재했다.
미국 정부는 Mayon의 피난민들을 위해 10만 달러의 재정 지원을 약속했다.필리핀 정부와 협력해 필리핀 [53]적십자사 및 기타 비정부기구를 통해 USAID에 의해 지원이 제공되었습니다.
알베이주 정부는 현지 군에게 검문소를 증설하고, 바리케이드를 치고, 8킬로미터(5.0마일) 위험 구역 [54]내에서 여행하다 붙잡힌 관광객들을 체포하라고 명령했다.
위험 구역 내에서는 주민들이 더 이상 돌아오지 못하도록 전기와 수도 공급이 중단되었다.인권위는 긴급조치 사용을 허용하고, 당국이 [55]퇴거를 거부한 주민들을 강제 대피시킬 수 있는 허가를 내줬다.
2010년 1월 2일 화산 주변 경계 수위가 4단계에서 3단계로 낮아지자 알베이 주 정부는 주민 [56]4만7000여 명의 대피령을 내렸다.위험 구역의 전력과 수도 공급이 [42]복구되었다.군용 차량은 피난민들을 집으로 이송하는 데 사용되었고, 식량 공급과 사회 복지 개발부(DSWD)를 통한 임시 고용은 각 [56][57]가정의 가장들에게 제공되었다.2010년 1월 3일 현재 국가재난조정회의는 화산 [58]폭발이 시작된 이후 정부 및 비정부기구(NGO)가 제공하는 인도적 원조 및 기타 원조의 총 비용이 6100만 페소 이상에 달했다고 보고했다.
유엔 세계식량계획(UN-WFP)은 DSWD가 제공하는 공급을 보완하기 위해 피난민들에게 고에너지 비스킷 20톤을 전달했으며, 2009년 태평양 태풍의 [59]영향에서 벗어나기 위한 비상식량 재고를 더 할당했다.2010년 1월 2일 경보 수준이 3단계로 격하되었을 때, UN-WFP는 집으로 돌아가는 피난민들에게 3일 분량의 식량을 제공했고,[47] 피난민들은 이미 준비된 보급품을 계속 받을 것이다.
2013년 수증기 분화
2013년 5월 7일 오전 8시 (PST)에, 화산은 73초간 지속된 놀라운 단계적 분화를 일으켰다.화산재, 수증기, 암석 등이 이 분출 과정에서 생성되었다.화산재 구름은 화산 정상 500미터 상공에 도달하여 남서쪽으로 [60]떠내려갔다.이 사건으로 5명의 등산객이 사망했는데 이 중 3명은 독일인,[61][62] 1명은 독일에 거주하는 스페인인, 1명은 필리핀인 관광가이드였다.다른 7명은 부상을 [63][64]입은 것으로 알려졌다.등산객들의 시신은 [65]곧 당국에 의해 발견되었다.하지만, 험준하고 미끄러운 지형 때문에, 등산객들의 유해는 캠프 2에서 화산 기슭의 구조 작업 장소인 캠프 1로 천천히 옮겨졌다.박사에 따르면비콜 지역 훈련 및 교육 병원의 부치 리베라, 등산객들은 몸의 [66]외상과 질식으로 사망했다.당국은 또한 피로로 걷지 못하고 팔이 부러지고 목과 [67]등에 화상을 입은 태국인을 구조할 수 있었다.화산 폭발에도 불구하고 필리핀 화산학 및 지진학 연구소는 경계 수준이 [64]0으로 유지될 것이라고 발표했다.화산활동의 추가 격화 징후가 [68]관측되지 않아 화산지진 활동은 분화 전 24시간 동안 감지되지 않았으며 대피 [69]계획도 없었다.
국제적 대응
영국 정부는 자국민들에게 지방 당국의 권고를 따르고 6km의 영구 위험 [70]구역을 존중할 것을 권고했다.이 권고는 2013년 5월 7일 인공 폭발 [71]사고 다음날 내려졌다.
2014년 활동 재개
2014년 8월 12일, 정상 분화구에 30m-50m 높이의 새로운 용암 돔이 나타났다.이 사건은 화산 폭발(정밀 레벨링, 기울기 데이터 및 GPS로 측정)과 이산화황 가스 [72]배출량 증가로 이어졌다.2014년 9월 14일, 분화구 남동쪽 테두리에서의 낙석 이벤트와 높아진 지진 활동으로 인해 PHIVOLCS는 분화구의 마그마와 함께 비교적 높은 불안감을 나타내며, 몇 [73]주 내에 위험한 분출이 일어날 수 있음을 나타낸다.
녹은 용암과 뜨거운 화산 가스에 의한 분화구의 암벽과 눈에 보이는 붕괴는 모두 꼭대기 용암 [74]돔의 초기 붕괴 가능성을 시사했다.2014년 9월 15일, NASA의 중간 해상도 영상 분광방사계(MODIS)는 지표면의 [75]마그마와 일치하는 마욘 정상 부근의 열 이상을 감지했다.2014년 9월 16일, 조이 살세다 주지사는 정부가 "6-8km의 확장된 위험 구역에 있는 12,000가구를 대피시키기 위한 준비를 신속히 진행하기 시작할 것"이라고 말했고, 군인들은 출입금지 [76]구역을 시행할 것이라고 말했다.
2014년 9월 18일, PHIVOLCS는 142 VT 지진과 251건의 낙석 사건을 보고했다.하얀 수증기 기둥은 남서쪽으로 떠내려갔고 비구름이 산꼭대기를 뒤덮었다.이산화황(SO2) 배출량은 757t으로 9월 6일 2360t을 정점으로 측정됐다.2014년 8월 셋째 주 동안의 변형(정밀 레벨링 및 틸트 미터)은 건물 [77]팽창을 기록했습니다.
2018년 활동
2018년 1월 13일 오후 4시 21분([78]PST)에 화산 남서쪽으로 약 2500m 높이에서 회색빛 수증기와 화산재 기둥을 분출하는 수증기 분화가 일어났다.이 활동은 약 1시간 47분 동안 진행됐으며 카말리그의 바랑가이 아놀링, 다라가, 바랑가이 수아, 퀴랑가이, 툼파, 일라와드, 살루간, 기노바타나의 바랑가이 탄다로라, 마니닐라, 트라베시아에 화산재가 떨어졌다.유황 냄새는 카말릭 마을 주민들에 의해 제대로 알려졌다.우르릉거리는 소리도 브르기 주민들에 의해 들렸다.아놀링, 다라가, 낙석 사고가 간헐적으로 기록되었다.희미한 분화구 빛이 처음 관측된 것은 오후 10시 16분이었다.이 사건으로 인해 PHIVOLCS-DOST는 Mayon Volcano의 경보 레벨을 경보 레벨 1(이상)에서 경보 레벨 2(사람 [79]안전에 대한 불안 증가)로 상향 조정했다.그 결과 [80]약 4만 명의 주민들이 대피했다.
2018년 1월 14일, 마욘 화산의 경계 상태는 3단계(위험한 분화 경향 증가)로 격상되었고, 158건의 낙석 사건이 기록되었다.정상 분화구는 또한 새로운 용암 돔의 성장과 용암이 경사면을 [81][82]향해 흐르기 시작했음을 나타내는 밝은 빛을 보였다.
2018년 1월 16일, 알베이 주는 용암류가 6km 대피 [83]구역의 한계에 도달하자 재난을 선포했다.
2018년 1월 22일 낮 12시 45분경 마욘이 3km 높이의 화산재를 뿜어내면서 경보 4등급이 발령됐다.사립과 공립학교의 모든 계층의 수업은 알베이 주 전체에서 중단되었다.저녁 무렵에는 화쇄류와 화산재 기둥이 분화구에서 용암 분수가 분출되었다.용암 폭탄과 암석 낙하도 관찰할 수 있었고 폭발로 인한 우르릉거리는 소리도 들을 수 있었다.분화 유형은 스트롬볼리아 화산 [84]폭발로 분류되었다.
2018년 1월 23일, 마욘은 4시간에서 5시간 간격으로 300에서 500미터의 용암 분수와 화산재 기둥을 내뿜었다.용암 폭탄과 낙석도 관측되었고 화산에서 나는 소리도 들을 수 있었다.공립과 사립을 막론하고 모든 계층의 수업이 여전히 중단되었고, 일부 지역에서는 작업도 중단되었다.위험지역은 경보 4단계에 머물렀지만 최대 9km까지 확대됐고, 확대된 위험지역 [85]주민들도 대피했다.
2018년 1월 24일 재기둥과 용암분수가 4~5시간 간격으로 분출되었다.화재 폭탄과 낙석도 관측할 수 있었고 폭발에서 나는 소리도 들을 수 있었다.Albay의 [citation needed]일부 지역에서는 수업이 중단되었다.
2018년 1월 25일, 재 기둥과 용암 분수가 다시 분출되었다.화재 폭탄과 낙석도 관측할 수 있었고 폭발에서 나는 소리도 들을 수 있었다.분출 간격은 3시간에서 5시간이었다.앨베이의 [citation needed]일부 지역에서는 여전히 수업이 중단되었다.
경계 레벨 4는 1월 남은 기간 동안 그리고 2월 내내 화산이 침착하게 유지되었기 때문에 유지되었다.2018년 3월 6일, 화산 활동의 감소를 관찰한 후, PHIVOLCS-DOST는 경보 수준을 경보 수준 3으로 다시 강등시켰다.2018년 3월 29일, PHIVOLCS-DOST는 활동이 더 감소하는 것을 관찰한 후, 경계 레벨을 다시 경보 레벨 2로 낮췄다. 이는 마욘의 폭발 활동이 종료되고 화산이 중간 수준의 [citation needed]불안 수준으로 감소했음을 의미한다.
2018년 12월 26일, Mayon은 두 번의 단계적 폭발을 일으켰지만, 경보 레벨 [citation needed]2를 유지하고 있다.
2020년 크레이터 글로우
2020년 2월 4일 저녁, 필리핀 화산학 및 지진학 연구소(PHIVOLCS)는 대중에게 마욘 화산의 분화구가 아직 화산 표면 아래에 약간 남아 있는 마그마라고 하는 빛을 내기[86] 시작했다고 보고했다.이 현상이 공무원들과 일반인들에게 경종을 울렸음에도 불구하고, 마욘 화산은 5개 [87][88]중 2개의 경보 수준에 머물렀다.경보 레벨 2는 2020년 [89]7월 17일 경보 레벨 1로 낮아졌다.그리고 2021년 7월 30일, PHIVOLCS-DOST는 [90]화산의 경계 수준을 해제했다.
치명적인 라하르
2006년 11월 30일 태풍 두리안을 동반한 강한 비로 화산재와 지난 분화의 바위에서 라하르가 생성되어 최소 1,266명이 사망했다.많은 사람들이 산사태에 [91]매몰되었기 때문에 정확한 수치는 결코 알려지지 않을 것이다.파당 마을(레가스피 시 외곽)의 상당 부분은 지붕 [92][93]위까지 진흙으로 덮여 있었다.역시 레가즈피에 있는 바랑가이 라위스에 있는 아퀴나스 대학(현재의 산토토마스-레가즈피 대학) 학생들도 산사태가 기숙사를 집어삼키면서 사망했다.중부 레가즈피는 산사태를 피했지만 심각한 홍수와 정전으로 어려움을 겪었다.
1814년의 분화에 의한 폐허의 일부가 다시 묻힌 카사와 지역을 포함한 다라가 마을 일부도 황폐화되었다.기노바탄의 넓은 지역, 특히 바랑가이 마이폰이 파괴되었다.
비슷한 용출 후 라하르는 그해 7월 분화 몇 달 후인 1766년 10월에 발생했다.격렬한 태풍을 동반한 폭우로 인해 붕괴된 파편 분출물이 흘러내려 농장과 마을 전체가 매몰됐다.1825년, 1500명의 [94]목숨을 앗아가는 사건이 카사와에서 반복되었다.
감시
Mayon의 경사면에는 3개의 원격 측정 장치가 설치되어 있으며, 이 장치는 화산 주변의 다른 위치에 있는 7개의 지진계로 정보를 전송합니다.이 계측기는 필리핀 딜리만 대학 [citation needed]캠퍼스에 있는 Lignon Hill 천문대와 PHIVOLCS 중앙 본부로 데이터를 중계한다.
PHIVOLCS는 또한 화산의 일상적인 [95][96]활동을 감시하기 위해 전자 거리 측정기(EDM), 정밀 수평 측정기, 휴대용 플라이 분광기를 배치한다.
신화
이 화산은 연인 마가욘과 팡가노론의 묘지에서 자랐다고 한다.그래서, 고대 비콜라노들은 전설적인 공주이자 영웅인 다라강 마가욘(영어: 아름다운 여인)의 이름을 따서 이름을 지었다.얼마 후, 이 화산은 이발론의 [5]신성한 불의 보고로 마욘을 선택한 비콜라노 사람들의 최고 신 구랑의 거주지로 선택되었다.많은 축제와 의식들이 화산과 그 [91]풍경과 연관되어 있다.
「 」를 참조해 주세요.
레퍼런스
- ^ a b de Ferranti, Jonathan; Aaron Maizlish. "Philippine Mountains – 29 Mountain Summits with Prominence of 1,500 meters or greater". Retrieved January 31, 2011.
- ^ Mirabueno, M. H. T.; Okuno, M.; Nakamura, T.; Newhall, C. G.; Kobayashi, T. (2006). "AMS Radiocarbon Dating of Paleosols Intercalated with Tephra Layers from Mayon Volcano, Southern Luzon, Philippines: A Preliminary Report". Bulletin of the Volcanological Society of Japan. Volcanological Society of Japan. 36 (2): 23–28. ISSN 0386-118X.
... the oldest eruptive event must have taken place shortly before 20 cal kyr BP.
- ^ "브리태니커 백과사전, 제18권, 제9판." 749페이지.헨리 G.알렌 & 컴퍼니, 뉴욕
- ^ Salao, Renzo (August 31, 2018). "Mayon Volcano's History Has A Story To Tell". Deal Grocer. Retrieved August 28, 2019.
- ^ a b "Ancient Bicolano Pantheon of Deities and Creatures – Philippine Mythology". The Aswang Project. February 8, 2016. Retrieved August 28, 2019.
- ^ 2013년 12월 19일 웨이백 머신에 보관된 "Protected Areas in Region 5"입니다.보호구역 및 야생동물국.2011년 10월 15일에 취득.
- ^ "Albay United Nations Educational, Scientific and Cultural Organization".
- ^ a b "Mayon Volcano". Philippine Institute of Volcanology and Seismology.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December 2, 2008. Retrieved December 14, 2009.
- ^ "Mayon Volcano, Philippines". Philippines Department of Tourism. Volcano.und.edu.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October 12, 2007. Retrieved November 20, 2007.
- ^ a b c David, Lee (2008)."자연재해", 페이지 416-417.인포베이스 퍼블리싱
- ^ a b Van Westen, Cees; Dayao, Arlene; Voskuil, Robert (1994). "Geomorphology of the Mayon Volcano and its Relation to Hazards": 1–30m.
{{cite journal}}
:Cite 저널 요구 사항journal=
(도움말) - ^ "Potentially antibiotic bacterial species found in Mt. Mayon soils". ABS-CBN News. August 3, 2021. Retrieved August 4, 2021.
- ^ Oliphant, Vickiie (January 16, 2018). "Mayon volcano eruption update: Will the Philippines volcano erupt? Threat level RISES". Express. Retrieved November 30, 2018.
- ^ a b c d e f '마욘 화산' 2019년 5월 8일 회수
- ^ Ocampo, Ambeth R. (May 7, 2013). "The Mayon eruption of 1814". Philippine Daily Inquirer. Retrieved May 7, 2013.
- ^ a b c "Mayon: Eruptive History". Global Volcanism Program. Smithsonian Institution. Retrieved June 25, 2021.
- ^ a b c d e f g h "Mayon eruption first in 5 years; last episode occurred in 2001". GMA News. August 7, 2006. Retrieved August 5, 2019.
- ^ Samuel Kneeland (1888). Volcanoes and earthquakes. D. Lothrop Co. p. 116.
- ^ "USGS".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July 15, 2012. Retrieved June 25, 2008.
- ^ "'Ominous quiet' at Mayon volcano". BBC. August 10, 2006. Retrieved May 12, 2013.
- ^ a b c "Report on Mayon (Philippines) – January 2000". Global Volcanism Program. January 2000. doi:10.5479/si.GVP.BGVN200001-273030. Retrieved August 6, 2019.
- ^ a b c d e "Report on Mayon (Philippines) – February 2000". Global Volcanism Program. February 2000. doi:10.5479/si.GVP.BGVN200002-273030. Retrieved August 6, 2019.
- ^ "Report on Mayon (Philippines) — June 1999". doi:10.5479/si.GVP.BGVN199906-273030.
{{cite journal}}
:Cite 저널 요구 사항journal=
(도움말) - ^ a b c "Report on Mayon (Philippines) – April 2000". Global Volcanism Program. April 2000. doi:10.5479/si.GVP.BGVN200004-273030. Retrieved August 5, 2019.
- ^ a b c Corpuz, Ernesto; Punongbayan, Raymundo (March 27, 2000). "The February – March 2000 Mayon Eruption". ReliefWeb. Retrieved July 8, 2019.
- ^ "ACT Alert Philippines – No 1/2000: Mayon Volcano Eruption Alert". ReliefWeb. February 24, 2000. Retrieved August 5, 2019.
- ^ Tecson, Manuel (August 13, 2006). "Philippine volcano shows signs of imminent eruption". Reuters. Retrieved June 25, 2019.
- ^ "Mayon Volcano Bulletin 10/25/2006".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April 20, 2008. Retrieved May 6, 2008.
- ^ "Mayon Volcano Advisory". Philippine Institute of Volcanology and Seismology. August 10, 2008. Retrieved December 24, 2009.
- ^ "Mayon Volcano Bulletin". Philippine Institute of Volcanology and Seismology (via Google cache). July 10, 2009. Retrieved December 31, 2009.[영구 데드링크]
- ^ "Mayon in 'state of unrest,' alert level raised". ABS-CBN News. July 10, 2009. Retrieved January 1, 2010.
- ^ "Mayon spews ash anew". Volcano Monitor. Philippine Daily Inquirer. October 28, 2009.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August 7, 2011. Retrieved December 5, 2009.
- ^ "Mayon Volcano Advisory (November 2009)". Philippine Institute of Volcanology and Seismology. November 11, 2009. Retrieved December 11, 2009.
- ^ Papa, Alcuin (December 15, 2009). "6–7 km from Mayon volcano off limits to people". Philippine Daily Inquirer.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August 7, 2011. Retrieved December 15, 2009.
- ^ "Lava flows from Mayon Volcano". ABS-CBN News. December 15, 2009. Retrieved December 24, 2009.
- ^ "Mayon Volcano Bulletin 3". Philippine Institute of Volcanology and Seismology. December 16, 2009.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July 6, 2015. Retrieved November 17, 2015.
- ^ "20,000 Evacuated as Philippine Volcano Oozes Lava". Fox News. Associated Press. December 15, 2009.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October 17, 2015. Retrieved June 7, 2013.
- ^ "Residents flee as Philippines volcano threatens to erupt". CNN World. December 15, 2009. Retrieved December 24, 2009.
- ^ "Volcano Monitor – PHIVOLCS warns: Mayon to blow its top in a few weeks". Philippine Daily Inquirer. December 18, 2009.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August 7, 2011. Retrieved December 18, 2009.
- ^ "Volcano spews lava as eruption looms". CNN World. December 22, 2009. Retrieved December 24, 2009.
- ^ a b "Inquirer Volcano Monitor 2009-12-27". Philippine Daily Inquirer. December 27, 2009.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August 7, 2011. Retrieved December 27, 2009.
- ^ a b Papa, Alcuin & Nasol, Rey M. (January 1, 2010). "Mayon quieting down". Philippine Daily Inquirer.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January 3, 2010. Retrieved January 2, 2010.
- ^ "Mayon Volcano Bulletin 13". Philippine Institute of Volcanology and Seismology. December 26, 2009.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September 29, 2015. Retrieved November 17, 2015.
- ^ a b "Mayon Volcano Bulletin 20". Philippine Institute of Volcanology and Seismology. January 2, 2010.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September 29, 2015. Retrieved November 17, 2015.
- ^ "Mayon Volcano Bulletin 16". Philippine Institute of Volcanology and Seismology. December 29, 2009.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September 29, 2015. Retrieved November 17, 2015.
- ^ Flores, Helen (January 2, 2010). "Phivolcs may lower Mayon alert level". The Philippine Star.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September 9, 2012. Retrieved January 2, 2010.
- ^ a b "Philippine volcano calming; thousands head home". The Hindu. Chennai, India. Associated Press. January 2, 2010. Retrieved June 7, 2013.
- ^ "Alert level around Mayon lowered to 3". GMA News.TV. January 2, 2010. Retrieved January 2, 2010.
- ^ "Mayon Volcano Bulletin 31". Philippine Institute of Volcanology and Seismology. January 13, 2010.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September 29, 2015. Retrieved November 17, 2015.
- ^ MA Loterte (December 28, 2009). "PGMA visits Mayon evacuees, assures government aid". Philippine Information Agency. Retrieved December 30, 2009.
- ^ a b "Thrill-seeking tourists flock to Philippine volcano". Agence France-Presse. December 30, 2009. Retrieved December 30, 2009.
- ^ "UK, Canada to nationals: Stay away from Mayon Volcano". GMA News. December 19, 2009. Retrieved January 2, 2010.
- ^ Zhang Xiang (December 30, 2009). "U.S. provides financial aid to Mayon Volcano evacuees". Xinhua News Agency.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June 9, 2011. Retrieved December 30, 2009.
- ^ "Authorities want 'hardheaded' Mayon tourists arrested". GMA News. December 28, 2009. Retrieved December 30, 2009.
- ^ Dedace, Sophia Regine (December 31, 2009). "Albay govt to cut power in Mayon danger zones". GMA News. Retrieved December 31, 2009.
- ^ a b Recuenco, Aaron B. (January 2, 2010). "Worst is over at Mayon". Manila Bulletin.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June 7, 2011.
- ^ Jerusalem, Evelyn E. "Mayon evacuees avails of the cash for work project". Department of Social Welfare and Development. Retrieved January 2, 2010.[데드링크]
- ^ Rabonza, Glenn J. (January 3, 2010). "NDCC Update Sitrep No. 22 re Mayon Volcano" (PDF). National Disaster Coordinating Council. Archived from the original (PDF) on July 4, 2011. Retrieved January 3, 2010.
- ^ "UN-WFP sends aid for Mayon Volcano evacuees". Philippine Information Agency. December 29, 2009. Retrieved January 1, 2010.
- ^ "Mayon Volcano Advisory 07 May 2013 8:30 am". Philippine Institute of Volcanology and Seismology. May 7, 2013.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January 23, 2018. Retrieved May 7, 2013.
- ^ "Bodies of 4 Mayon volcano hikers arrive in Manila". InterAksyon.com.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June 18, 2013.
- ^ "Vulkanausbruch auf den Philippinen: Leichen deutscher Bergsteiger am Vulkan Mayon geborgen". stern.de.
- ^ "Philippine volcano Mount Mayon in deadly eruption". BBC News Asia. May 7, 2013. Retrieved May 7, 2013.
- ^ a b Aaron B. Recuenco (May 7, 2013). "Death toll at Mayon rises to five, seven injured". Manila Bulletin. Retrieved May 7, 2013.
- ^ "Bodies of 5 missing hikers spotted in Mayon Volcano". Interaksyon. May 8, 2013.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May 17, 2013. Retrieved May 8, 2013.
- ^ "Rescuers unable to bring down remains of 5 Mayon mountaineers". Philippines News Agency. Interaksyon. May 9, 2013.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June 9, 2013. Retrieved May 9, 2013.
- ^ "Last Thai survivor rescued from Mayon". Philippines News Agency. Interaksyon. May 8, 2013.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May 11, 2013. Retrieved May 9, 2013.
- ^ "5 dead, 7 hurt in Mayon Volcano ash eruption". The Philippine Star. May 7, 2013. Retrieved May 7, 2013.
- ^ "Mayon Volcano Erupts, Spewing Rocks And Ash And Killing 5 Climbers in Philippines". The Huffington Post. Associated Press. May 6, 2013. Retrieved May 7, 2013.
- ^ "UK urged citizens to heed warnings on Mayon". SunStar. May 8, 2013.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June 28, 2013. Retrieved May 9, 2013.
- ^ "UK tells nationals in PHL to follow authorities' advice on Mayon". GMA News. GMA News and Public Affairs. May 8, 2013. Retrieved May 9, 2013.
- ^ 2014년 8월 15일 금요일 06:49 현지시간 2018년 1월 25일 웨이백 머신에 보관된 PHIVOLCS Mayon 화산 속보.2014년 9월 15일 취득.
- ^ 2014년 9월 15일 금요일 14:02 현지시간 2018년 1월 25일 웨이백 머신에 보관된 PHIVOLCS Mayon 화산 속보.2014년 9월 15일 취득.
- ^ "Global Volcanism Program Report on Mayon (Philippines) — March 2016". volcano.si.edu. doi:10.5479/si.gvp.bgvn201603-273030. Retrieved June 1, 2022.
- ^ Mayon 정상회의에서 MODIS 대역 21 서멀 픽셀의 MODVOLC 검출.2014년 9월 19일 취득.
- ^ 로이터 뉴스 기사2014년 9월 16일 취득.
- ^ 2014년 8월 18일 금요일 08:00 현지시간 2019년 2월 13일 웨이백 머신에 보관된 Mayon 화산 속보.2014년 9월 18일 취득.
- ^ "Filipina Tingkatkan Status Gunung Mayon, Warga Dievakuasi". Okezone. January 14, 2018. Retrieved January 18, 2022.
- ^ Mayon Volcano Bulcano Bulletin 2018년 1월 14일 12:30 AM.2017년 1월 14일 취득.
- ^ "Mayon volcano alert raised again, hazardous eruption believed imminent". NBC News. January 23, 2018. Retrieved January 24, 2018.
- ^ 마욘 화산, 경보 레벨 3으로 상승
- ^ Mayon 산 상공에 경보 레벨 3이 올라갑니다.
- ^ "Philippine province declares 'calamity' as volcano lava spreads". Reuters. January 16, 2018.
- ^ "PHIVOLCS raises alert level 4 over Mayon Volcano". CNN Philippines. January 22, 2018.
- ^ "WATCH: Mayon Volcano spews lava anew". ABS-CBN News. January 22, 2018.
- ^ Philippine Institute of Volcanology and Seismology [@phivolcs_dost] (February 5, 2020). "MayonVolcano crater glow observed at the summit" (Tweet) – via Twitter.
- ^ Philippine Institute of Volcanology and Seismology (February 5, 2020). "MAYON VOLCANO BULLETIN: 05 February 2020 08:00 A.M." Retrieved February 1, 2021.
- ^ Dyan Zarzuela (February 6, 2020). "LOOK: PHIVOLCS Reports Mayon Volcano 'Crater Glow'". COSMO.PH. Retrieved February 1, 2021.
- ^ Philippine Institute of Volcanology and Seismology (July 17, 2020). "MAYON VOLCANO BULLETIN: 17 July 2020 09:30 A.M." Retrieved June 12, 2021.
- ^ Philippine Institute of Volcanology and Seismology (July 30, 2021). "MAYON VOLCANO BULLETIN: 30 July 2021 08:00 A.M." Retrieved July 30, 2021.
- ^ a b England, Vaudine (December 14, 2009). "Mount Mayon: a tale of love and destruction". BBC News. Retrieved December 25, 2009.
- ^ "태풍은 붉게 달궈진 바위를 마을로 보냅니다." – CNN.com(2008년 1월 25일 원본에서 수정).
- ^ "Yahoo! News". Retrieved June 25, 2008.[데드링크]
- ^ 마소, 사데라(1902년)."필리핀 군도의 지진 및 화산 센터", 13-14페이지.마닐라 공공인쇄국입니다
- ^ Nasol, Rey M. (December 27, 2009). "Mayon instruments intact despite eruption". Philippine Daily Inquirer.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December 27, 2009. Retrieved December 30, 2009.
- ^ Dedace, Sophia R. (December 30, 2009). "Mayon watch: An inside look at the Phivolcs headquarters". GMA News. Retrieved December 30, 2009.
외부 링크
- 마욘 화산 등반
- 필리핀 화산학 및 지진학 연구소(PHIVOLCS) 마욘 화산 페이지
- 마욘 화산 관측소
- 장엄한 마욘산-카사와 폐허공원 – Jenny Exconde의 이미지.
- NASA 지구 관측소 페이지
- "Mayon". Global Volcanism Program. Smithsonian Institution. Retrieved June 25, 2021.
- 스미스소니언 인스티튜션 페이지 (Mayon)
- Mocha Uson은 Mayon 로케이션 실수에 대해 사과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