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오슝 시장
Mayor of Kaohsiung가오슝시 시장 | |
---|---|
![]() 가오슝의 국장 | |
![]() 가오슝의 국기 | |
기간 길이 | 4년, 1년 연임 |
가오슝 시장은 대만 가오슝시 정부의 수장으로 4년 임기로 선출됩니다.현재 시장은 2020년 8월 24일부터 취임한 천치마이 시장이다.
제목
날짜. | 영어 | 성격. | 일본인입니다 | 표준 중국어 | 대만어 | 하카 |
---|---|---|---|---|---|---|
1924년 12월 ~ 1940년 10월 | 다카오 시장 | 高雄市市尹 | 타카오시신 | 고흥초운 | 코흥산소연 | |
1940년 10월 ~ 1945년 10월 | 高雄市市長 | 다카오시시쵸 | 코흥치 초티우 | 코흥상 스청 | ||
1945년 10월~현재 | 가오슝 시장 | 高雄市市長 | 가오슝시즈엉 |
시장 목록
도도부현 시대(지정 시장)
이 시대에 가오슝은 "다카오"라고 불렸다.모든 시장은 대일본제국이 임명했다.
№ | 초상화 | 이름. (생사) | 임기 | |
---|---|---|---|---|
1 | ![]() | 이와모토 타스케 岩本多助 (?–?) | 1924년 12월 25일 | 1927년 8월 6일 |
2 | 사이토 겐주로[1] 齋藤玄壽郎 (?–?) | 1927년 8월 6일 | 1929년 4월 22일 | |
3 | ![]() | 이마이 마사하루[2] 今井昌治 (1884–?) | 1929년 4월 22일 | 1932년 4월 21일 |
4 | 고바야시 기사부로[3] 小林儀三郎 (?–?) | 1932년 4월 21일 | 1934년 9월 3일 | |
5 | ![]() | 마츠오 시게하루[4] 松尾繁治 (1886–1944) | 1934년 9월 3일 | 1937년 11월 30일 |
6 | ![]() | 타이리쿠 무네토[5] 宗藤大陸 (?–?) | 1937년 11월 30일 | 1941년 1월 31일 |
7 | ![]() | 코지마 다케시[6] 小島猛 (?–?) | 1941년 1월 31일 | 1943년 1월 |
8 | ![]() | 요코야마 다케오 橫山竹雄 (1895–?) | 1943년 1월 | 1944년 3월 |
9 | ![]() | 나카마츠 오토히코[7] 中松乙彥 (?–?) | 1944년 3월 | 1945년 10월 |
지방도시시대(임명시장)
№ | 초상화 | 이름. (생사) | 임기 | 정당 | |
---|---|---|---|---|---|
1 | 리엔모우 連謀 (1907–1978) | 1945년 11월 8일 | 1946년 5월 23일 | 국민당 | |
2 | 황충투 黃仲圖 (1902–1988) | 1946년 5월 23일 | 1947년 8월 2일 | 국민당 | |
3 | ![]() | 황장 黃強 (1887–1974) | 1947년 8월 2일 | 1949년 5월 1일 | 국민당 |
4 | 류샹 劉翔 ( – ) | 1949년 5월 1일 | 1950년 8월 2일 | 국민당 | |
5 | 천바우타이 陳保泰 ( – ) | 1950년 8월 2일 | 1951년 5월 1일 | 국민당 |
지방시 시대(직선거 시장)
№ | 초상화 | 이름. (생사) | 임기 | 용어 | 정당 | |
---|---|---|---|---|---|---|
6 | ![]() | 셰청창 謝掙強 (1915–1979) | 1951년 5월 1일 | 1954년 6월 2일 | 1 | 국민당 |
1954년 6월 2일 | 1957년 6월 2일 | 2 | ||||
7 | ![]() | 천우창 陳武璋 (1915–1984) | 1957년 6월 2일 | 1960년 6월 2일 | 3 | 국민당 |
8 | ![]() | 천지촨 陳啟川 (1899–1993) | 1960년 6월 2일 | 1964년 6월[8] 2일 | 4 | 국민당 |
1964년 6월 2일 | 1968년 6월 2일 | 5 | ||||
9 | ![]() | 양진후 楊金虎 (1898–1990) | 1968년 6월 2일 | 1973년 2월[9] 1일 | 6 | 중국민주사회당[10] |
10 | ![]() | 왕유윤 王玉雲 (1925–2009) | 1973년 2월 1일 | 1977년 12월 20일 | 7 | 국민당 |
1977년 12월 20일 | 1979년 7월 1일 | 8 |
특별자치단체 시대(임명 시장)
№ | 초상화 | 이름. (생사) | 임기 | 정당 | |
---|---|---|---|---|---|
1 | ![]() | 왕유윤 王玉雲 (1925–2009) | 1979년 7월 1일 | 1981년 6월 21일 | 국민당 |
2 | ![]() | 양진종 楊金欉 (1923–1990) | 1981년 6월 21일 | 1982년 4월 19일 | 국민당 |
3 | ![]() | 허수이더 許水德 (1931–2021) | 1982년 4월 19일 | 1985년 5월 30일 | 국민당 |
4 | ![]() | 쑤난청 蘇南成 (1936–2014) | 1985년 5월 30일 | 1990년 6월 18일 | 국민당 |
5 | ![]() | 우든이 吳敦義 (1948–) | 1990년 6월 18일 | 1994년 12월 25일 | 국민당 |
특별 자치체 시대(직선거 시장)
№ | 초상화 | 이름. (생사) | 임기 | 용어 | 정당 | |
---|---|---|---|---|---|---|
6 | ![]() | 우든이 吳敦義 (1948–) | 1994년 12월 25일 | 1998년 12월[11] 25일 | 1 | 국민당 |
7 | ![]() | 프랭크 셰 謝長廷 (1946–) | 1998년 12월 25일 | 2002년 12월 25일 | 2 | 민진당[12] |
2002년 12월 25일 | 2005년 2월[13] 1일 | 3 | ||||
— | ![]() | 천지마이[14] 陳其邁 (1964–) | 2005년 2월 1일 | 2005년 12월 20일 | 민진당 | |
— | ![]() | 예주란[14] 葉菊蘭[15] (1949–) | 2005년 12월 20일 | 2006년 12월 25일 | 민진당 | |
8 | ![]() | 천추[16] 陳菊 (1950–) | 2006년 12월 25일 | 2010년 12월 25일 | 4 | 민진당 |
특별시 시대(통합 가오슝)
№ | 초상화 | 이름. (생사) | 임기 | 용어 | 정당 | |
---|---|---|---|---|---|---|
1 | ![]() | 천추 陳菊 (1950–) | 2010년 12월 25일 | 2014년 12월 25일 | 1 | 민진당 |
2014년 12월 25일 | 2018년 4월[17] 20일 | 2 | ||||
— | ![]() | 쉬리밍[14][18] 許立明 (1969–) | 2018년 4월 20일 | 2018년 12월 25일 | ||
2 | ![]() | 한궈위 韓國瑜 (1957–) | 2018년 12월 25일 | 2020년 6월[a] 12일 | 3개[b] | 국민당 |
— | ![]() | 양명주[14][19] 楊明州 (1956–) | 2020년 6월 13일 | 2020년 8월 23일 | 독립적인 | |
3 | ![]() | 천지마이 陳其邁 (1964–) | 2020년 8월 24일 | 현존재 | 민진당 |
타임라인

「 」를 참조해 주세요.
메모들
레퍼런스
- ^ 주어진 이름은 겐지로로 읽혔을지도 모른다.
- ^ 이름은 '쇼지' 또는 '마사지'로 읽혔을 것이다.
- ^ 기자부로라고 읽혔을지도 모른다.
- ^ 이름이 시게지라고 읽혔을지도 모른다.
- ^ 성은 무네후지(Munefuji)로 읽혔을지도 모른다.
- ^ 성은 코시마로 읽혔을지도 모른다
- ^ 이름은 오츠히코로 읽혔을지도 모른다.
- ^ 임기는 4년으로 연장되었다.
- ^ 연합 선거를 수용하기 위해 임기가 연장되었다.
- ^ KMT 가오슝 시장이 아닌 첫 시장.
- ^ 재선 패배.
- ^ 가오슝의 첫 민진당 시장.
- ^ 총리직을 사임했다.
- ^ a b c d 연기로서.
- ^ 특별시의 첫 여성 시장.
- ^ 특별 자치구의 첫 여성 시장 당선자
- ^ 대통령 사무총장직을 사임했습니다.
- ^ 부시장님
- ^ 가오슝 시 정부 고문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