맥그래스 파운데이션

McGrath Foundation
맥그래스 파운데이션
McGrathFoundation Master Logo .png
포메이션2005
파운더스제인 맥그래스
글렌 맥그래스
본부뉴사우스웨일스 주 세인트 레오나드
회장
존 콘드
대통령
글렌 맥그래스
글렌 맥그래스
존 콘드
트레이시 베번
테리 브라운
크리스틴 홀먼
글레니스 보샹
웹사이트www.mcgrathfoundation.com.au

맥그래스 재단호주유방암 지원 및 교육 자선단체로, 맥그래스 유방치유 간호사를 호주 전역의 지역사회에 배치하고 유방건강의식을 높이기 위해 기금을 모금하고 있다. 이 자선단체는 제인의 초기 진단과 유방암 회복에 따라 2005년 호주 크리켓 선수 글렌 맥그래스와 그의 영국 태생의 아내 제인 맥그래스에 의해 설립되었다.[1] 제인은 2008년 6월 22일 42세의 나이로 세상을 떠났다.[2]

역사

맥그래스 재단은 제인 맥그래스가 유방암 진단을 받은 후 설립됐으며, 재단의 임무는 당시 간호사들과의 경험을 바탕으로 이뤄졌다.

맥그래스 재단은 2005년부터 170명의 맥그래스 유방암 간호사를 호주 전역의 지역사회에 배치하고, 9만5000여 가구를 지원해왔다.[3][4]

모든 맥그래스 유방치유간호사들 중 대다수는 농촌과 지역에 있다.[5] 유방암을 경험한 사람들은 가장 가까운 맥그래스 유방치유간호사에게 직접 연락할 수 있으며, 이 간호사의 지원은 완전히 무료로 제공된다. 맥그래스 재단은 각 맥그래스 가슴 관리 간호사를 3년 동안 지역사회에 배치하기 위해 약 39만 달러를 모금해야 한다.[6]

2008년 호주 정부는 맥그래스 재단에 2013년 6월까지 44개 지역 사회의 맥그래스 유방치유 간호사에 자금을 지원하기로 1,260만 달러를 약속했다.[7] 이러한 약속은 2013년에 전국적으로 44명의 기존 맥그래스 유방치유간호사들에게 지속적으로 자금을 지원하겠다는 1,850만 달러의 보조금 지급과 더불어 최대 10명의 상근 동등한 맥그래스 유방치유간호사 직책을 추가로 배치한다는 발표로 더욱 부각되었다.[8] 이는 2016년 11월 4년 더 연장돼 2021년까지 정부 지원 맥그래스 유방치유간호사 57명의 직위를 확정했다.[citation needed]

모유관리 간호사 및 자격

맥그래스 재단의 첫 번째 목표는 전문 맥그래스 가슴 관리 간호사를 호주에서 필요한 곳에 배치하는 것이다.

맥그래스 가슴 관리 간호사들은 유방암을 앓고 있는 가족을 위해 특별히 훈련시키는 높은 자격을 갖춘 간호사들이다. 맥그래스 유방치유간호사의 역할은 다양하고 광범위하다. 맥그래스 유방치유간호사는 진단 시점부터 의뢰 및 후속 조치까지 환자와 가족의 심리사회, 정서적, 신체적 안녕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9]

간호사들을 위한 최초의 3차 기반 원격교육 프로그램은 1997년 라트로베 대학교가 암협의회 빅토리아와 제휴하여 개척하였다.[10]

맥그래스 유방치유간호사들은 대개 종양학, 유방치유 또는 여성의 건강, 때로는 심리학까지 이력이 있다. 그들은 또한 호주 간호[12] 대학과 라 트로베 대학에서 연구할 수 있는 유방 관리 간호 또는 암 간호 분야의 대학원 자격을[11] 요구한다.[13] 맥그래스 재단은 호주 간호대학을 통해 매년 4개의 장학금을 제공한다.[14]

유방 교육

맥그래스 재단의 두 번째 목표는 호주인들의 유방 교육을 촉진하는 것이다. 겨우 31살에 유방암 진단을 받았을 때, 제인 맥그래스는 사람들이 유방암을 인지함으로써 그들의 건강을 통제할 수 있도록 하는 것에 열정적이었다.[15]

맥그래스 재단의 유방 교육 프로그램은 호주의 모든 사람들이 유방 건강의 중요성을 인지하고 변화를 감지하는 데 자신 있으며 유방암 위험 요인에 대해 잘 알고 있으며 정기적으로 유방을 검사하기 위해 개발되었다.

재단에 따르면, 이 프로그램은 "특히 젊은 여성들이 그들의 몸을 돌보고 알 수 있도록 하고, 그들의 건강과 행복을 증진시키는 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라고 한다.[16] 학교, 직장, 지역사회를 위한 자료와 맥그래스 재단 웹사이트에서 무료로 다운로드할 수 있는 워크북, 프리젠테이션 및 비디오를 포함한다.

파트너십

2008년 맥그래스 재단은 지역사회 제일신용조합과 제휴하여 맥그래스 유방치유간호사들을 위한 기금을 마련하기 위해 맥그래스 핑크 비자를 개발하였다. 맥그래스 재단은 강력한 기업 파트너십 프로그램을 가지고 있으며, 모금과 인지도 지원을 제공하는 몇몇 유명 브랜드와 제휴하고 있다.[17]

맥그래스 재단은 크리켓 오스트레일리아를 포함한 40개 이상의 기업 파트너를 보유하고 있다.[18]

맥그래스는 또한 영국의 성공적인 2010년-11년 재스 캠페인을 이끌던 중 핑크 테스트에서 직접 뛰었던 전 애쉬의 적수였던 앤드류 스트라우스에게도 손을 내밀었다. 시드니에서 만난 앤드류의 아내 루스는 스트라우스가 자신을 돌보기 위해 영국의 크리켓 감독에서 물러난 후인 2018년 12월 29일 희귀한 형태의 폐암으로 세상을 떠났다. 2019년판 '영국의 잿더미'를 앞두고 '주님 시험의 2일차'가 루스 스트라우스 재단에 시드니 시험의 3일차 재단이 맥그래스 재단에 혜택을 주는 것과 거의 같은 방식으로 혜택을 줄 것이라는 발표가 있었다.[19]

논란

맥그래스 재단은 그레이하운드 경주 산업과 관계를 맺고 있었다. 맥그래스 재단은 2015년 언론에 생중계 미팅 의혹이 불거진 뒤 관계를 끊었다.[20]

맥그래스 재단 이니셔티브

맥그래스 재단은 그 비전을 뒷받침하기 위해 매년 다양한 이벤트와 지역사회 기금 모금 계획을 주최한다.

시드니 핑크 테스트 – 매년 1월, 시드니 크리켓 그라운드는 제인 맥그래스를 기리기 위해 시드니 핑크 테스트 3일째에 핑크빛의 바다로 변한다. 시드니 핑크 테스트는 커뮤니티 액션 프로그램인 크리켓 케어스를 통해 크리켓 오스트레일리아와 맥그래스 재단 파트너십의 상징적인 중심축이 되었다.[21]

핑크 스텀프 데이 – 핑크 스텀프 데이는 클럽, 기업, 학교 등이 자신의 크리켓 기술을 뽐낼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 맥그래스 재단을 위해 모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핑크 테스트의 정신을 그들만의 커뮤니티에 가져올 수 있도록 한다. 핑크 스텀프 데이는 매년 2월에 열린다.[22]

Pull On Your Socks – 사람들에게 분홍색 McGrath Foundation 스포츠 또는 일상 양말을 구입하고 McGrath Foundation을 후원하는 모금 행사를 주최하도록 권장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이니셔티브.[23]

맥그래스 재단의 하이 티 – 제인 맥그래스와 가장 친한 친구인 트레이시 베반 맥그래스 재단의 앰배서더 겸 이사가 이 재단의 첫 번째 모금 계획 중 하나로 하이 티를 진행했다. 맥그래스 재단은 지지자들과 연결되고 기금을 모으기 위한 방법으로 시드니와 멜버른에서 하이 티를 계속 개최하고 있다.[24]

대사 및 지지자

트레이시 베반은 제인 맥그래스와 절친한 친구였으며 맥그래스 재단의 공식 대사와 이사직을 맡고 있다. 맥그래스 재단은 "재단 친구"[25]로서 자신들의 주장을 뒷받침하는 많은 호주 연예인들과 스포츠 스타들이 있었다.

게다가 바미군은 영국이 핑크 테스트에 출전할 때를 위해 맥그래스 재단을 지지하는 분홍색 셔츠를 생산했다.[26]

참조

  1. ^ "Glenn and Jane McGrath Transcript". Enough Rope (Interview). Interviewed by Andrew Denton. Sydney: ABC Television. 24 May 2004. Retrieved 23 April 2013.
  2. ^ Brown, Alex (22 June 2008). "Jane McGrath dies". The Sydney Morning Herald. Sydney.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8 March 2015. Retrieved 23 April 2013.
  3. ^ "About the McGrath Foundation". McGrath Foundation. Retrieved 17 March 2020.
  4. ^ NEWS, SBS (22 June 2018). "Jane McGrath's last legacy 10 years on". SBS NEWS. Retrieved 22 June 2018.
  5. ^ Hutchens, Gareth. "McGrath Foundation breast care nurses to get $20.5m in new funding". The Guardian. Retrieved 17 March 2020.
  6. ^ "Sydney Test to go even pinker". Sydney: Cricket Australia. 10 November 2009.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2 April 2011. Retrieved 22 April 2013.
  7. ^ "McGrath Specialist Breast Care Nurses". Australian Government Department of Health Rural and Regional Health Australia.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6 March 2016. Retrieved 17 March 2020.
  8. ^ "The McGrath Foundation welcomes Federal Government commitment to continue to fund McGrath Breast Care Nurses" (Press release). McGrath Foundation. 7 January 2013. Retrieved 23 April 2013.
  9. ^ "McGrath Foundation > Our Mission > Our Nurses > Frequently Asked Questions". www.mcgrathfoundation.com.au. Retrieved 15 March 2017.
  10. ^ [1]
  11. ^ "Become a McGrath Breast Care Nurse". www.mcgrathfoundation.com.au. Retrieved 15 March 2017.
  12. ^ http://www.acn.edu.au/postgraduate
  13. ^ http://www.latrobe.edu.au/she
  14. ^ "Archived copy".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3 September 2015. Retrieved 24 September 2015.CS1 maint: 제목으로 보관된 복사본(링크)
  15. ^ 맥그래스, 제인, 글렌. A Love For Life, 2000년 시드니.
  16. ^ "Launch of World Leading Lurve Curve Program". McGrath Foundation. 1 August 2013. Retrieved 17 March 2020.
  17. ^ 우리 회사 파트너 29.9.15에 접속해서
  18. ^ http://www.mcgrathfoundation.com.au/AboutUs/OurCorporatePartners.aspx
  19. ^ Matt Roller ESPN CricinfoRuth Strauss Foundation을 지지하는 재 테스트 동안 Rord's red testing 동안 붉게 물들일
  20. ^ 그레이하운드 레이싱대한 맥그래스 재단의 성명 29.9.15에 접속,
  21. ^ http://www.pinktest.com.au/
  22. ^ http://www.pinkstumpsday.com.au/
  23. ^ "Archived copy".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2 August 2015. Retrieved 29 September 2015.CS1 maint: 제목으로 보관된 복사본(링크)
  24. ^ "Archived copy".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9 September 2015. Retrieved 29 September 2015.CS1 maint: 제목으로 보관된 복사본(링크)
  25. ^ http://www.mcgrathfoundation.com.au/AboutUs/OurFriends.aspx
  26. ^ 맥그래스 재단을 지원하는 바미 아미 핑크 셔츠 2017-18 잿더미 5차 테스트 더 바미 아미 트위터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