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 컨트롤 기호
Media control symbols이 글은 검증을 위해 인용구가 추가로 필요하다. – · · 책 · · (2013년 9월) (이 템플릿 하는 |
디지털 전자제품, 아날로그 전자제품 및 엔터테인먼트에서 미디어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영화를 보거나 오디오를 듣는 과정을 제정, 변경 또는 조정하기 위해 미디어 컨트롤 또는 플레이어 컨트롤을 포함할 수 있다.이러한 널리 알려진 기호들은 지배적인 설계로 알려진 예를 들어, 다수의 소프트웨어 제품에서 발견될 수 있다.
기호
물리적 장치와 미디어 플레이어 소프트웨어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아이콘들이다.그것들은 일반적으로 휴대용 미디어 플레이어, VCR, DVD 플레이어, 레코드 플레이어, 리모컨, 테이프 플레이어, 멀티미디어 키보드에서 발견된다.이들의 적용은 ISO/IEC 18035에 설명되어 있다.[1]
주요 상징물은 1960년대로 거슬러 올라가는데, "일시 중지"라는 단어를 외국 시장에서 사용되는 몇몇 언어로 번역하는 것이 어려워서, 그 10년 동안 Ampex에서 릴 투 릴 오디오 레코더 컨트롤에 사용하기 위해 발명되었다고 한다.Pause 기호는 기존의 스퀘어 Stop 기호와 Caesura를 조합한 것으로, 중단 또는 "Stutter Stop"[2][3]의 개념을 환기시키기 위한 것이었다.
기호 | 유니코드 | 이름/함수 | ISO 7000 / IEC 60417 | |
---|---|---|---|---|
![]() | U+23F5 ⏵, U+25B6 ▶ | 놀이 | #5107B 정상 주행, 정상 속도 | "표시된 방향에서 정상 실행(예: 테이프)을 시작하는 방법으로 스위치 또는 스위치 위치를 식별하는 것" |
![]() | U+23F8 ⏸ | 일시 중지 | #5111B 일시 중지, 중단 | "간헐적으로 작동을 멈추고 장비를 작동 모드로 유지하는 제어 장치 또는 표시등을 식별하기 위해" |
![]() | U+23EF ⏯ | 재생/일시 중지 전환 | — | |
![]() | U+23F4 ⏴, U+25C0 ◀ | 역행 | — | |
![]() | U+23F9 ⏹, U+25A0 ■ | 멈추다 | #5110B 정지 | "제어장치 또는 표시기를 식별하여 활성 기능을 정지한다." |
![]() | U+23EA ⏪ | 뒤로(뒤로 빠르게) | — | |
![]() | U+23E9 ⏩ | 빨리감기 | #5108B 빠른 실행, 빠른 속도 | "표시된 방향에서 정상보다 빠른 실행(예: 테이프)이 시작되는 스위치 또는 스위치 위치를 식별하기 위해 |
![]() | U+23EEE ⏮ | 시작 또는 이전 파일/추적/장치로 건너뛰기 | (#5862 이전, 이전 파트 재생) | "이전 섹션의 상단으로 건너뛰기 위한 제어 장치 또는 표시기를 식별하려면 섹션을 재생한 다음 중지하십시오. |
![]() | U+23ED ⏭ | 끝 또는 다음 파일/추적/장치로 건너뛰기 | #5861 다음, 다음 파트를 재생하려면 #1116 화살표 방향으로 고정된 위치로 정상 속도로 이동 | "다음 부분을 재생할 컨트롤이나 표시등을 식별한 후 정지한다." |
![]() | U+23FA ⏺ | 기록하다 | #5547 녹음, 일반 | "사전 설정 또는 기록 모드 시작 컨트롤 식별" |
![]() | U+23CF ⏏ | 꺼내기 | #5459 배출 | "꺼내기 기능에 대한 컨트롤을 식별하기 위해." |
![]() | U+1F500 🔀/🔀️ | 셔플 | — | 주어진 리스트에서 임의로 노래를 재생하는 것.보통 이 노래는 진정한 무작위성 중에서 선택되는 것이 아니라, 노래가 너무 자주 반복되는 것을 막기 위해 특정한 규칙을 따른다. |
![]() | U+1F501 🔁, U+1F503 🔃 | 반복(무제한) | #0026 자동 사이클, 반자동 사이클, #5557 자동 역회전 연속 | "수동 개입 없이 계속 반복되는 기계 기능의 자동 시퀀스를 나타내기 위해." "테이프가 한계에 다다를 때마다 자동으로 테이프 작동 방향을 역전시키는 기능 또는 셀렉터 컨트롤을 식별한다." |
U+1F502 🔂/🔂️ | 한 번 반복 | 또는 일반적으로 전체 재생 목록이나 디스크 대신 단일 항목(노래 또는 비디오)을 반복하십시오. | ||
U+2139 ℹ | 정보 | #6222 정보, 일반; 도움말, 일반 | "제어장치를 식별하여 장비 상태를 조사하기 위해" | |
U+1F504 🔄 | 다시 로드, 새로 고침 | — | ||
재생, 다시 재생, 처음부터 재생 | #5125A 재점검 | "녹화된 프로그램 내에서 빠른 액세스를 허용하는 제어 장치 또는 표시기를 식별하여 방금 재생된 섹션을 반복한다." |
대중문화에서
소비재
대중문화에서 놀이 삼각형은 미디어 컨트롤 기호의 가장 널리 사용되는 것임에 틀림없다.여러 면에서, 이 상징은 음악 문화와 더 광범위하게 디지털 다운로드 시대와 동의어가 되었다.이처럼 지금은 티셔츠, 포스터, 문신 등 이 기호를 형상화한 물건들이 대거 등장하고 있다.비디오 게이머와 기술 애호가들 사이에서 특히 인기 있는 파워 기호를 통해 비슷한 문화적 언급도 관찰할 수 있다.
브랜딩
미디어 기호는 라이브 음악 장소에서 스트리밍 서비스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광고에서 찾을 수 있다.2012년 구글은 로고에 플레이 기호를 사용하여 디지털 다운로드 스토어를 구글 플레이로 리브랜딩했다.[4]플레이 기호는 2017년부터 구글 소유 동영상 공유 사이트 유튜브의 로고 역할을 하기도 한다.[5]텔레비전 방송국 소유주 모건 머피 미디어와 TEGNA는 그들의 웹사이트를 공중파 TV 방송국과 더 연결하기 위해 방송국의 로고에 연극 기호를 도입하기 시작했다.
어플라이언스 및 기타 기계 장치에 사용
최근에는 실행/정지/일시정지 기능을 나타내기 위해 미디어 기호를 사용하는 장치가 확산하고 있다.마찬가지로, 이러한 기능과 관련된 사용자 인터페이스 프로그래밍은 미디어 플레이어의 그것에도 영향을 받았다.예를 들어, 어플라이언스가 꺼져 있을 때 재생/일시 정지 버튼이 있는 일부 와셔와 건조기는 꺼진 상태를 유지하도록 프로그래밍되어 있다.장치가 작동 중일 때 조명이 켜져 있고 워셔/드라이어가 일시 정지 상태일 때 버튼이 깜박인다.이러한 유형의 프로그래밍은 이전의 CD 플레이어와 유사하며, 일시 중지 상태에서도 이러한 방식으로 플래시를 설정한다.[6]
어플라이언스 외에도 실행/중지/일시 중지 기능이 필요한 경우가 많고 이론적으로 단어 대신 또는 단어 외에 미디어 기호를 사용할 수 있다.최근 몇 년 동안, 몇몇 운동 기계 제조업자들은 이것을 하기로 선택했다.연습 장비에 이러한 기호를 사용할 때 눈에 띄는 차이점은 이러한 기계들이 보통 비상 정지 버튼을 포함하고 있다는 것이다.일반적으로 이 기능은 비상사태에도 버튼이 사용될 수 있을 때 사각형이 아닌 빨간색 팔각형의 정지 기호 기호로 표시된다.
참고 항목
참조
- ^ "ISO/IEC 18035:2003 Information technology -- Icon symbols and functions for controlling multimedia software applications". 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Standardization. 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Standardization. Retrieved 27 January 2018.
- ^ "Origin of play, stop, pause, etc. buttons? - Straight Dope Message Board". 2015-04-03. Retrieved 2016-09-03.
- ^ "The Secret Histories of Those @#$%ing Computer Symbols". Gizmodo. 2010-08-16. Retrieved 2016-09-03.
- ^ "Introducing Google Play: All your entertainment, anywhere you go". Official Google Blog. Retrieved 2017-01-14.
- ^ "YouTube has a new look and, for the first time, a new logo". The Verge. Retrieved May 7, 2018.
- ^ "Sony Portable CD Player Operating Instructions (Page 7)" (PDF). Sony.com. Sony Corporation. Retrieved 14 January 20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