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가트로피크
Megha-Tropiques![]() | |
미션형 | 날씨 |
---|---|
연산자 | ISRO/CNES |
COSPAR | 2011-058a |
새캣 | 37838 |
웹사이트 | meghatropiques |
임무 기간 | 3년(계획)[citation needed] |
우주선 속성 | |
제조사 | 아이스로 |
힘 | 와트 |
미션의 시작 | |
출시일자 | 2011년 10월 12일 |
로켓 | PSLV-CA C18 |
발사장 | 사티시 다완 FLP |
계약자 | 아이스로 |
궤도 매개변수 | |
참조 시스템 | 지리학 |
반주축 | 7,238.45km(4,497.76mi)[1] |
편심성 | 0.0009922[1] |
페리기 고도 | 860km(mi)[1] |
아포기 고도 | 874km(543mi)[1] |
기울기 | 19[1].98도 |
마침표. | 102.15분[1] |
신기루 | 2015년 1월 25일 01:35:41 UTC[1] |
메가-트로피크는 기후변화의[2] 맥락에서 열대 대기권의 물 순환을 연구하기 위한 위성 임무 인도 우주 연구 기구(ISRO)와 프랑스 중앙 국가 우주 공간(CNES)의 협력 노력인 메가-트로피크는 2011년 10월 PSLV 로켓에 의해 궤도에 성공적으로 배치되었다.
메가 트로피크는 2003년 처음 폐기됐으나 이후 인도가 기여도를 높이고 전체 비용을 낮추면서 2004년 부활했다.[3][4] 메가 트로피크는 GEWEX(Global Energy and Water Cycle Experience)의 진전으로 열대기후와 기후과정을 이해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으며, 열대기후 수자원 및 에너지 예산에 대한 신뢰할 수 있는 통계를 얻는다.[5] 메가-트로피크는 MAHASRI와 완료된 GAME 프로젝트와 같은 현재 지역 몬순 프로젝트에서 다른 데이터를 보완한다.[6][7] 메가-트로피크는 또한 주요 열대 기후 시스템의 진화를 묘사하려고 한다. 초점은 열대지방의 반복적인 측정이 될 것이다.[8]
디자인
메가-트로피크는 수증기, 응축수(클라우드 및 침전물), 복사속 등 대기 엔진의 세 가지 상호 관련 성분을 동시에 관측할 수 있는 기구를 제공하여 장기간에 걸쳐 열대간 영역의 반복적인 샘플링을 용이하게 한다. 그것의 마이크로파 방사선계인 다주파 마이크로파 스캐닝 방사선계는 지구 강수량 측정 임무의 다른 요소들의 방사선계를 보완한다.
페이로드
기구는 정지궤도 위성에서 다른 사람들에게 역할을 수행한다. 여기에는 전자레인지 기구가 필수적이다.
- 마이크로파 분석 및 비 대기 구조 감지(MADRAS)는 원뿔형 스캔(증거 각도 56°)이 있는 마이크로파 이미저로 SSM/I 및 TMI 개념에서 가깝다. 임무의 주요 목적은 클라우드 시스템의 연구로서, 대류 시스템과 관련된 높은 수준의 얼음 구름을 연구하기 위해 주파수(150 GHz)를 추가했으며, 183 GHz에서 음향 계기에 상대적인 창 채널 역할을 한다.
- 습도 수직 프로파일 탐색을 위한 경보 발생기(SAPIR)는 183GHz에서 수증기 흡수대 부근에 6채널이 있는 음향기기다. 이러한 채널은 표면에서 약 10km(6.2 mi)까지 비교적 좁은 가중 기능을 제공하여 구름 없는 대류권에서 수증기 프로파일을 검색할 수 있다. 스캔은 입사각 50°까지 크로스 트랙이다. nadir의 해상도는 10km(6.2mi)이다.
- 스캐너 for Radiation Budget(Scarner for Radiation Budget, ScaRaB)는 스캐닝 복사 예산 기구로, 이미 러시아 위성에서 두 차례 발사됐다. ScaRaB의 기본 측정은 태양계 채널(0.2~4µm)과 총 채널(0.2~200µm)의 두 개의 넓은 채널에서의 방사성으로, 장파 분산을 유도할 수 있다. nadir에서의 해상도는 870km (540mi)의 궤도에서 40km (25mi)가 될 것이다. 원래 복사로부터 플럭스를 유도하기 위한 데이터의 보정 및 처리 절차는 CNES와 LMD에 의해 설정되고 시험되었다.
- 온도 및 습도의 수직 프로파일링을 위한 무선 오컬레이션 센서(ROSA)가 이탈리아에서 공급되어 온도와 습도의 수직 프로파일링을 위해 제공됨.[9]
발사하다
메가 트로피크 위성은 2011년 10월 12일 극지위성발사체(PSLV-C18)를 통해 인도우주연구기구가 적도로 20도 기울어진 867km(539mi) 궤도에 성공적으로 안착했다.[10] PSLV-C18은 2011년 10월 12일 오전 11시 안드라 프라데시 스리하리코타에 위치한 사티시 다완 우주센터(SHAR)의 첫 발사대에서 발사되었다. 위성은 첸나이 SRM대학이 구축한 10.9kg(24lb) SRMSAT, 칸푸르(인도기술연구원)의 3kg(6.6lb) 원격 감지 위성 주그누(jugnu) 등 3개의 마이크로 위성과 함께 궤도에 올려졌다.IIT 칸푸르)와 룩셈부르크의 28.7kg(63lb)[11][12]급 선박사트-1호.
참조
- ^ a b c d e f g "MEGHA-TROPIQUES Satellite details 2011-058A NORAD 37838". N2YO. 25 January 2015. Retrieved 25 January 2015.
- ^ 미션 설명 웨이백 머신에 2012-02-13 보관. MEGHA-TROPIKES: 기후 변화의 맥락에서 열대 대기의 물 순환.(접근일 06-21-2008)
- ^ 인도와 프랑스 부활, 2009-04-05년 웨이백머신, Peter B. de CLDING and K.S. JAYARAMAN에 보관된 재설계 메가-트로피크 미션 2004년 2월 24일
- ^ ISRO와 프랑스 우주국, CNES, 2008-05-17년 11월 12일 웨이백 머신에 보관된 Megha-Tropiques Satellite Mission에 대한 서명 MOU
- ^ "About GEWEX". Gewex.org. Retrieved 2010-12-05.
- ^ "Monsoon Asian Hydro-Atmosphere Scientific Research and Prediction Initiative". Mahasri.cr.chiba-u.ac.jp.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11-07-22. Retrieved 2010-12-05.
- ^ "GEWEX Asian Monsoon Experiment". Hyarc.nagoya-u.ac.jp. Retrieved 2010-12-05.
- ^ "Launch Info". Spacemart.com. Retrieved 2010-12-05.
- ^ http://www.oosa.unvienna.org/pdf/pres/stsc2009/symp-03.pdf
- ^ "Archived copy".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11-10-15. Retrieved 2011-10-17.CS1 maint: 제목으로 보관된 복사본(링크)
- ^ "ISRO launches Megha-Tropiques satellite to study monsoon".
- ^ "PSLV-C18 carrying weather satellite launched - The Times of India". The Times Of Indi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