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르세데스-벤츠 O305
Mercedes-Benz O305이 글은 검증을 위해 인용구가 추가로 필요하다. – · · 책 · (2009년 12월 (이 템플릿 하는 방법과 ) |
메르세데스-벤츠 O305 | |
---|---|
개요 | |
제조사 | 메르세데스-벤츠 |
생산 | 1969–1987 |
조립 | 서독 만하임 |
차체 및 섀시 | |
클래스 | 완행버스 버스 섀시 |
보디 스타일 | 1층 버스 싱글데커 연결식 버스 이층버스 |
문 | 1개 또는 2개 도어(단일 데커/이중 데커 버스) 2개 또는 3개 도어(절연 버스) |
바닥형 | 계단진입 |
파워트레인 | |
엔진 | 메르세데스-벤츠 OM407.908 133kw 리어 언더플로어(디젤) 메르세데스-벤츠 OM407HG.295 리어 언더플로어(LPG) 메르세데스-벤츠 OM407.913 리어 언더플로어(CNG) |
전송 | 메르세데스-벤츠 3단 자동 |
치수 | |
길이 | O305: 11.0m / 11.3m 1974년 이후: 11.1m O305G: 17.1m |
폭 | 2.5m |
높이 | 3.0m 또는 4.0m |
연대기 | |
후계자 | 메르세데스-벤츠 O405 |
메르세데스-벤츠 O305는 1969년부터 1987년까지 서독 만하임에서 메르세데스-벤츠가 제작한 싱글 데크, 더블 데크, 관절형 버스였다. 완전한 버스나 버스 섀시로 제작되었으며, 독일 VöV-Standard-Bus 통일 설계를 각색한 메르세데스-벤츠로, Büssing, Magirus-Deutz, MAN, Ikarus, Gréf/Steyr, Huliez, 르노, 페가수스 등 여러 버스 제조업체가 생산했다. O305는 1층 버스로 사용하도록 설계되었으나, 나중에 2층 차체를 수용하도록 재설계되었다.
독일.

메르세데스-벤츠는 1967년에 O305 시제품을 출시했고, 만하임에서 1969년에 생산을 시작했다. 1970년에 이어 약간 길어진 스탠다드 얼버랜드버스 교외 모델(11.3m)이 1972년에 O307 등급으로 대체되었다. 1974년부터 O305는 더욱 강력한 엔진과 독특한 노래 소음으로 쉽게 들을 수 있는 후륜 차축을 받았다.
관절형 버전은 O305G라고 명명되었다. 1970년대 중반, 포켄드러지 롤링 스톡 제조사는 엔진과 동력 열차를 후면에 배치한 변속기 개념을 개발했다. 메르세데스-벤츠가 특허를 획득한 후 햄버거 호흐반 대중교통 사업자에 의해 1977년형 시제품이 배치되었다. 1978년에 제작이 시작되었다.
O305T라는 이름의 최초의 개조된 트롤리버스 버전이 카이저슬라우테른에 배치된 후, 다임러-벤츠는 BBC-세체론 전기장비(O305GT)를 탑재한 5대의 연결식 버스를 구축하여 1985년부터 카이저슬라우테른과 베르겐 트롤리버스 시스템, 그리고 마지막으로 루마니아의 브라쇼브에 서비스를 제공하였다. 1983년에 4개의 듀얼 모드 버스 유형이 건설되어 에슬링겐과 에센에 배치되었다. 스투트가르터 스트라젠바넨 대중 교통 회사와 웨셀에서 20개의 하이브리드 전기 변형 모델이 사용되었다. 1979년 브라질의 CMTC는 1980년까지 O305T 1대를 시험용으로 수입했다.[1]
1984년부터 O305는 독일 스탠더드-리니엔버스 메르세데스-벤츠 O405의 2세대로 대체되었다. O305는 1987년 초에 생산이 중단되었다.
홍콩
홍콩에서, O305는 영국 이외의 지역과 영연방 국가들로부터 구매된 최초의 버스 모델이었다. 총 41대의 버스가 도입되었는데, 1983년에는 프로토타입이, 1985년에는 다른 버스들이 도입되었다. 2001/2002년 홍콩과 호주의 버스 애호가 그룹에 의해 보존되고 있는 3개를 제외하고 모두 철회되었고 이후 폐기되었다.[2]
배경과 역사
오랜 기간 동안 홍콩의 프랜차이즈 버스 운영자들은 영연방 국가에서 생산된 2층 버스를 구매하도록 법으로 의무화되었다. 메르세데스-벤츠는 1983년 이 요건을 폐지한 뒤 2축 11m짜리 2층 데크를 카우룽모터버스(KMB)에 공급했다.[3]
O305 시승기는 1983년 8월 4일에 등록되었다. KMB는 성공적인 실험에 이어 1985년에 전면 디자인과 환기 시스템이 개선된 40대를 추가로 주문하였다. 41대의 버스에는 모두 알렉산더 RH 차체가 장착되었다.
KMB는 이후 비슷한 길이의 3축 2층 버스를 인수하는 정책을 채택했다. 메르세데스-벤츠는 O305의 3축 버전을 제공하지 않았기 때문에, KMB가 더 이상 메르세데스-벤츠 버스를 구매하지 않았다.
가동중
당초 첫 버스는 105번 국도를 운행했는데, 이 노선은 라이치콕과 승완 사이를 운행했다. 그러나, 이 모델에 대해서는 크로스 하버 터널의 환경이 적합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터널 당국이 이용하는 견인차에 의해 이들 버스를 견인할 경우 섀시가 손상될 수 있으므로, 전체 함대를 재할당하여 위엔롱과 촨완/카우룽 사이를 운행하는 고속 노선에 투입하였다. O305는 최고속도가 시속 120km를 넘을 정도로 속도와 파워로 유명했다.
이 버스들은 1990년대 중반까지 윈롱의 간선 노선에 대한 서비스를 제공했다. 새로운 버스(특히 에어컨이 있는 버스)가 트렁크 서비스에 사용 가능해짐에 따라, 벤츠는 북구와 타이포로 재배포되어 2002년 11월 22일 은퇴할 때까지 그곳에서 근무했다.
이들 버스에는 KMB가 설계한 독특한 리버리가 있었지만, 모두 재분배 직전 KMB 비에어컨버스의 표준 리버리로 리버리가 되돌아왔다.
싱가포르
1982년 싱가포르 버스 서비스(SBS)는 시범적으로 6월 윌로우브룩 체격의 메르세데스 벤츠 O305 2층 버스 1대를 인수했다. 1년 뒤 SBS도 1982년 영국 커머셜모터쇼에 출품한 알렉산더 R형 바디메이크 시제품으로 메르세데스 벤츠 O305 2층 시승기를 두 번째 들여왔다. 이 버스들은 1990년대 중반에 은퇴했다.[4]
이 재판에 만족한 SBS는 1984년 알렉산더-R 차체가 달린 메르세데스-벤츠 O305 2층 버스 200대를 구입했다.[5] 그들은 모듈식 W3D 080 R 변속 장치가 장착된 11,412cc OM 407h 엔진을 특징으로 했다. 길이 11.1m, 면허 용량 109명의 이들은 싱가포르에서 가장 큰 무공기 조건의 2층 버스였다. 이들은 1984년부터 1987년까지 취역했으며 평생 앙모 키오, 토아 페이오, 후강 버스 정류장에 배치됐다. 철수는 1996년에 시작되었고 마지막 유닛은 2001년 말에 은퇴했다.
호주.
퍼스
퍼스는 메르세데스-벤츠 O305를 운용한 최초의 호주 도시였다. 첫 번째 장치는 1975년에 MTT(Metropolitan Transport Trust)와 함께 서비스를 시작했다.[6] 1975년과 1986년 사이에 11년 동안 400 O305개가 넘게 구매되었다. Transperth(1986년 MTT가 재브랜드됨에 따라)와 그것의 계약자들은 비록 마지막이 철회되기까지는 2012년이 되었지만 1999년 10월에 이 상당한 규모의 O305의 선단을 철수하기 시작했다.
시체들은 화물선 산업, JW 볼튼, 힐킵, 하워드 포터에 의해 만들어졌다.[6] 퍼스에는 특이한 O305가 운용되고 있었다. 예를 들어 JW 볼튼이 현지에서 조립한 Mauri(이탈리아) 차체를 특징으로 한 444와 LPG 연료 엔진을 장착한 실험 버스(OG305) 007이 있다. 1984년 008호주 최초의 CNG 연료 버스가 운행을 시작했다. 시범 가스버스의 성공으로 1980년대 초 2대의 O305(270/1)가 LPG운전으로 전환되었고, 1987년 CNG 연료 O305G가 주문되어 009로 운행되었다. 1990년대 초에 26개의 O305가 CNG로 전환되었다.
퍼스는 또한 호주에서 최초로 관절형 메르세데스-벤츠 O305G를 운영한 도시였다. 1979년 18개, 1980년 3개, 1986/87년 19개로 3개 묶음을 구입했다. 첫 번째와 두 번째 배치에는 JW 볼튼과 하워드 포터가 차체 작업을 완료했으며 OM 407h 240 hp(177 kW) 자연 흡기 엔진을 탑재했다. 부진을 극복하기 위해 3차 배치의 버스(하워드 포터 차체를 특징으로 하지만 VöV-II 설계에 따라 제작됨)에는 OM 407hA 280 hp(206 kW) 터보차지 엔진이 장착되었다.
시드니
대중 교통 위원회와 그 후계자들은 가장 큰 O305를 운영했고, 1,287 O305와 30개의 관절형 O305Gs를 구입했으며, 모두 시드니 및 뉴캐슬에서 사용하기 위해 압류금속공사가 탑승했다.
원래 갤바스트레스 마크 1 차체가 장착된 200대의 메르세데스-벤츠 O305는 1977년 5월부터 1978년 8월까지 시제품 마크 2 차체로 제작된 O305가 납품되었다.[7][8] 이어 호주에서 가장 많은 버스 주문량을 유지하고 있는 갤버스트레스 마크 2 550대를 주문했다. 이것들은 1978년 10월부터 1980년 11월 사이에 배달되었다.[8][9][10] 마크 1s에 실린 시체는 VöV 전면과 결혼한 기존 PMC 몸체였지만, 마크 2s는 하단 지붕선과 두 잎 문으로 이루어진 VöV 설계였다.[11]
추가 주문은 1981년 8월부터 1983년 10월까지 Galvastress Mark 3 보디와 함께 182대의 O305가 시제품 Mark 4 보디로 제작되어 서비스를 시작했다.[10][12] 차체 수정은 경미했으며, 가장 눈에 띄는 것은 환기를 개선하기 위한 4피스 미닫이창으로의 복귀와 127mm 예시가 비인기임이 입증된 후 전후방에 모두 203mm의 높은 경로 번호로 복귀한 것이다. 마크 3 차체는 또한 30 O305G 연결 버스에도 사용되었다. 1981년 9월에 시범단위가 납품되었고 1983년 9월부터 1984년 5월까지 생산단위가 이어졌다.[10][13]
1984년 7월부터 1987년 8월 사이에 355대의 마크 4 O305s의 함대가 인도되었다.[10][14] 이것들의 섀시는 약간 수정되어 ABS가 장착되었다.[15]
철수는 1989년에 시작되었고, 최종 예는 2012년 10월에 철회되었다. 철수 당시 이들 버스 중 일부는 누적 운행거리가 100만㎞를 넘었다.[16]
캔버라
액션은 1981년 11월부터 1985년 3월 사이에 85대의 안사이어가 탑승한 메르세데스-벤츠 O305의 함대를 인도했다.[17] 그들은 표준 메르세데스-벤츠 "스툴비" 전선으로 지어졌다. 1990년대 초에 리퍼브된 후, 첫 번째는 1995년에 판매되었고 그 후 1999년까지 몇 차례 다른 간격으로 판매되었다. 모두 시드니, 멜버른 대도시권을 중심으로 민간 버스회사에 판매됐으며 뉴질랜드로 수출돼 오클랜드, 웰링턴 등에서 영업하고 있다.
앤서니는 또한 1983년 2월부터 4월까지 5대의 메르세데스-벤츠 O305G 연결 버스를 탑승시켰다. 이것들은 1997/98년에 호주의 사설 버스 회사에 팔렸다.[18]
애들레이드
주 교통 당국은 O-Bahn 버스웨이에서 서비스를 위해 41대의 O305와 51대의 O305G 연결 버스를 구입했다.[19][20] 이 섀시는 톤슬리의 미쓰비시 자동차 공장에서 심하게 개조되었다. 강체 버스는 240마력(177kW)으로, 관절형 버스는 280kph(207kW)로 증가했으며, 교외 노선에서 100km/h의 속도로 운행한 최초의 버스였다.
뉴질랜드
오클랜드
오클랜드 지역 당국과 그 후임자들은 300대 이상의 벤츠 O305 버스를 보유하고 있었는데, 2005년까지 이 버스를 계속 사용하고 있었다. 이들 중 상당수는 다른 버스 사업자에게 판매되거나 이동 주택을 포함한 다른 용도로 전환되었다. 모두 뉴질랜드 자동차 차체, VoV 차체를 면허에 따라 제작했다.
오클랜드 시를 섬긴 후, 일부는 더 많은 교외 사용을 위해 DesignLine과 Fairfax Industries에 의해 저층 차체로 재건되었다.[21]
뉴플리머스
뉴플리머스시티운송은 메르세데스-벤츠 O305 버스 7대를 다음 두 가지 주문에 걸쳐 구입했다.[21]
- 1976년에 구입한 4개(오클랜드 지역 당국 주문 후).
- 1984년에 3개 구입.

이스라엘
에그리드 이스라엘은 O305를 대량 구매했으며, 하아르가즈, 메르바킴 등 현지에서 만든 시신과 메르바스 벤츠 사체가 포함된 시신도 있었다.[22][23][24][25]
영국
셀넥
사우스이스트 랭커셔 노스이스트 체셔 여객운송 집행부는 1973년 O305 2대를 구입해 43석의 좌석과 이중 도어를 갖춘 북부 카운티 기관들을 갖추게 했다. 그들은 레이랜드 내셔널과 메트로-스캐니아스를 상대로 평가되었다.[26]
루턴 공항
루턴 공항은 1981년 4월 훌리에즈 프레임을 기반으로 한 렉스 서비스 기관이 납품한 O305G 연결 버스 3대를 1981년 구매했으며, 35석만 장착해 대량의 입석 및 수화물 공간을 확보했다. 공공도로가 아닌 공항 내에서 사용했기 때문에 좌측 핸들링이었다. 그들은 영국에서 서비스를 시작한 최초의 후기 '푸셔' 예술가들이었다.[27]
참조
- ^ http://onibusbrasil.com/blog/2011/04/22/hoje-62-anos-a-historia-do-brasil-e-do-trolebus/
- ^ 메르세데스-벤츠 O305(ME1-ME41) 버스 데이터 파일
- ^ 1983년 3월 12일 알렉산더의 HK Mercommercial Motor
- ^ Davis, Mike; Phillips, Ron (2005). Singapore Buses Volume 1 Singapore Bus Service Part 2. DTS Publishing (published 2006). ISBN 9781900515269.
- ^ 1983년 8월 20일 상업용 모터 주문 최대 알렉산더
- ^ a b Tilley, Bruce (1985). Bus Fleets MTT Perth. Elizabeth, South Australia: Railmac Publications. p. 8. ISBN 0-949817-47-3.
- ^ 주 교통 기관 처분 목록 1 호주 버스 기단 목록 표시
- ^ a b Travers, Greg (1984). Bus Fleets UTA Sydney & Newcastle. Elizabeth, South Australia: Railmac Publications. pp. 12, 14. ISBN 978-0-949817-28-0.
- ^ 주 교통 당국 폐기 목록 2개 오스트레일리아 버스 기단 목록 표시
- ^ a b c d Sydney Bus Fleets - Publication S1. Sydney: Historic Commercial Vehicle Association. 1994. p. 89.
- ^ Travers, Greg (1982). From City to Suburb a fifty year journey. Sydney: Historic Commercial Vehicle Association. p. 192. ISBN 0-9596016-2-7.
- ^ 주 교통 당국 폐기 목록 3개 오스트레일리아 버스 기단 목록 표시
- ^ 주 교통 당국 폐기 목록 Artics Australian 버스 목록
- ^ 주 교통 당국 폐기 목록 4s 오스트레일리아 버스 기단 목록
- ^ Mk4 데이터시트 시드니 버스
- ^ "Tickets please drive me to the moon". 20 August 2006. Retrieved 22 April 2017.
- ^ 캔버라 메르세데스-벤츠 O305 플리트 리스트 ACT 버스 위키
- ^ 캔버라 메르세데스 O305G 함대 목록 ACT 버스 위키
- ^ O305 엄격한 오스트레일리아 버스 기단 목록
- ^ Australian Bus Fleet Lists에서 O305 목록 작성
- ^ a b 메르세데스 벤츠 0305 옴니버스 협회
- ^ 메르세데스 O305 1973 에그리드
- ^ 1974년 메르세데스 O303 에그리드
- ^ 메르세데스 1980 6076680 에그리드
- ^ 메르세데스 1980 7077980 에그드
- ^ SELNEC는 2000년 plus Commercial Motor 1972년 12월 1일 31페이지까지 버스를 선정한다.
- ^ 웹 상의 메르세데스-벤츠 O305G 버스 목록
외부 링크
위키미디어 커먼스의 메르세데스-벤츠 O305 관련 매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