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essage to Love

Message to Love
사랑에게 보내는 메시지:섬 오브 와이트 페스티벌 1970
Paul Rodgers Isle of Wight 1970.JPG
밴드 프리(Free)의 폴 로저스(Paul Rodgers)가 "올 라이트 나우" 공연 중
연출자머레이 레너
작성자머레이 레너
생산자머레이 레너
편집자
  • 그레그 셸던(공연 순서)
  • 스탠리 워나우 (스탠 워나우 역)
  • 에이나르 웨스터룬드
생산
동행이
캐슬 뮤직 픽처스
배포자스트랜드 해제
출시일
  • 1995년 10월 9일 (1995-10-09) (영국)
  • 1997년 2월 21일 (1997-02-21) (미국)
러닝타임
127분
나라미국
언어영어

Message to Love1970년오브 와이트 페스티벌의 장편 다큐멘터리 영화다.머레이 레너 감독이 연출하고 제작하는 이 영화는 지미 헨드릭스, , 더 도어스와 같은 인기 록 공연과 조니 미첼, 마일즈 데이비스 같은 포크, 재즈 아티스트들의 공연을 포함한다.이 영화의 제목은 헨드릭스의 노래에서 따온 것이다.

재정적인 어려움 때문에, Message to Love는 1995년 산호세 영화제에서 상연된 후, 행사 27년 후인 1997년에야 개봉되었다.[1]1997년 캐슬 커뮤니케이션/소니 레거시에서도 사운드 트랙 앨범을 발매했다.

배경

이 영화는 1970년 8월 26일-30일에 열렸던 주요 프로그램인 이 혼란스러운 축제와 관련된 무수한 문제들을 코믹하게 묘사하는데, 여기에는 게이트 충돌, 무대 위로 수많은 군중들의 습격, 무대 밖에서 야유를 받는 크리스 크리스토퍼슨, 그리고 좌석에 앉으면서만 심해진 관객들에 대한 리키 파르의 항의 등이 포함된다.uation이 악화되었다: "우리는 이 축제를 열었어, 이 개자식들아, 많은 사랑을 가지고!우린 1년 동안 너희 돼지들을 위해 일했잖아!우리의 벽을 허물고 파괴하고 싶어?그럼 지옥에나 가!"게다가, 주말에 있었던 몇몇 공연들, 특히 지미 헨드릭스의 마지막 영국에서의 빌드 공연에서뿐만 아니라, 티켓 가격을 놓고 몇몇의 근거리들이 일어났다.[2]

생산

촬영은 8대의 카메라를 사용했으며,[3] 175시간의 16mm와 35mm의 Ektachrome 영상을 촬영했으며, 이후 약 78분의 음악과 41분간의 인터뷰와 발표로 편집되었다.[1]헤드라이너는 모두 잡혔고, 슬라이 스톤시카고만 촬영 허가를 거부했다.[4]

해제

이 영화의 1996년 버전은 15개의 증명서가 주어졌고 1999년 연장판은 18개의 누드 등급이 매겨졌다.[5]BBC2는 영화제 25주년을 맞아 이 영화를 초연했다.VHS는 한 달 후에 캐슬에 의해 공개되었다.Region 1 DVD는 1997년에 발매되었고, Region 2 DVD는 Castle에 의해 2003년에 발매되었다.

영화 출연 순서별 공연

  1. 지미 헨드릭스 : "Message to Love"(일요일) †
  2. 후: "젊은 남자 블루스" (토요일)
  3. 프리: "올 라이트 나우"(일요일)
  4. : "Sinner Boy"(금요일)
  5. Tiny Tim: "There'll Always Be a England"(토요일)
  6. 존 세바스찬: "레드 아이 익스프레스" (토요일)
  7. 도노반: "바람을 잡아라" (일요일) 조각
  8. 10년 후: "가끔 울지 않을 수 없어" (토요일)
  9. The Doors: "When the Music's Over" (토요일)
  10. 무디 블루스: "White Satin" (일요일)
  11. 크리스 크리스토퍼슨: "나와 바비 맥기" (수요일)
  12. 조니 미첼: "우드스톡" (토요일)
  13. 미첼: "빅 옐로 택시"
  14. 마일즈 데이비스: "Call It Anything"(토요일)
  15. 레너드 코헨: "수잔느" (일요일)
  16. 에머슨, 레이크 & 파머: "전시회에서의 사진" (토요일)
  17. 헨드릭스 : "머신 건" †
  18. 헨드릭스 : "부두 차일드 (빛 귀환)"
  19. 조안 배즈: " 잇 비" (일요일)
  20. 제스로 툴: "나의 일요일 느낌" (일요일)
  21. The Doors: "The End"(토요일) †
  22. 위대한 각성: "놀라운 은혜"
  23. 헨드릭스: "포시 레이디"
  24. 더 후: "벌거벗은 눈"
  25. 밥 딜런: "Desolation Row" (최종 크레딧을 통해 재생되는 스터디 버전)

"†"는 CD에 수록되지 않은 곡을 나타낸다.

리셉션

Message to Love
점수 검토
출처순위
올뮤직[6]
로튼 토마토100%[citation needed]
TV 가이드[7]

타임 아웃 매거진은 "이 음악은 문즈, 프리, 크리스토퍼슨(결국 무대 밖으로 뛰쳐나온 사람), 후, 마일즈 데이비스(황혼을 맞이한 사람), 제드로 툴(Jethro Tull) 등 주변에서 처음 듣는 모든 사람들에게 모범적인 것이지만, 이 음악을 진정으로 사로잡을 만한 가치가 있는 것은 사운드 비트의 희극이다"[8]라고 말했다.

TV Guide는 "Lerner의 날카롭고 황폐하게 웃긴 영화는 수익에 의해 자금을 지원받게 되어 지금까지 가장 큰 사상자 중 하나로 남아있다"고 말했다.르르너는 그 시대 최고의 라이브 음악은 물론 우스꽝스러운 백스테이지 휠링과 딜링까지 모두 담아냈다.[7]

오스틴 크로니클은 "Message to Love는 와이트와 같은 축제의 상업주의와 충돌하는 한 세대의 이념을 강조하는 훌륭한 일을 하기 때문에 축제가 격분했던 5일 동안 레너가 포착한 수준 높은 공연을 쉽게 잊을 수 있다"고 말했다.[1]

데스레트 뉴스는 "공연은 훌륭하지만 '완벽한' 접근법은 단순히 좋은 음악 다큐멘터리에서 훌륭한 다큐멘터리로 격상시킨다"고 전했다.[9]인디펜던트는 이 영화가 "음악을 통해 빠르게 전달된다면 두 배 더 재미있을 것"이라고 제안했다.[10]

버라이어티지는 전문적으로 편집한 이 영화가 "원래 비슷한 시대 사진보다 훨씬 깊은 역사적 통찰력을 갖고 있다"면서 "이미지는 상태가 좋고 음질은 우수하다"[11]고 평가했다.1997년 보스턴 영화평론가협회 시상식에서 이 영화는 최우수 다큐멘터리상 후보에 올랐다.롤링 스톤은 그들의 가장 위대한 록 다큐멘터리 목록에서 21위를 차지했다.[12]아마존닷컴은 이 영화를 역대 최고의 음악 다큐멘터리 목록에 37위에 포함시켰다.[13]뮤직홀릭스는 레전드 뮤직 다큐멘터리 목록에서 37위에 올랐다.[14]그것은 10대 음악 축제 다큐멘터리 목록에 5위에 올랐다.[15]

사운드트랙

사랑에게 보내는 메시지:섬 오브 와이트 페스티벌 1970
라이브 앨범 기준
다양한 예술가들
방출된1996년 10월 29일 (1996-10-29)
녹음된1970년 8월 26일-30일
장소와이트 섬 애프턴 다운
장르., 포크, 재즈
길이144:00
라벨소니 뮤직
프로듀서존 애슬리

Message to Love 사운드트랙 앨범은 1997년에 2-CD로 발매되었다.그것은 또한 일부 트랙 사이에 놓인 영화의 대화도 포함하고 있다.

트랙리스트

디스크 1

  1. 무료 – "All Right Now" – 4:
  2. Jethro Tull – "My Sunday Feeling" – 4:24
  3. 레너드 코헨 – "수잔느" – 4:27
  4. Jimi Hendrix – "Foxy Lady" – 5:31
  5. Hendrix – "부두 차일드(Slight Return)" – 8:56
  6. 10년 후 – "한 개의 코드에 울림/연장을 막을 수 없음" – 11:50
  7. 크리스 크리스토퍼슨 – "나와 바비 맥기" – 5:44
  8. 조니 미첼 – "빅 옐로우 택시" – 3:46
  9. Mitchell – "우드스톡" – 4:04
  10. Emerson, Lake & Palmer – "Blue Rondo á la Turk/Pictures at a Exhibition/Drum Solo" – 7:35
  11. The Doors – "음악이 끝나면" – 11:46

디스크 2

  1. The Who – "Young Man Blues" – 5:54
  2. The Who – "Naked Eye" – 6:23
  3. Tiny Tim – "There'll Always Be a England" – 1:15
  4. – "Sinner Boy" – 5:11
  5. Joan Baez – "Let It Be" – 3:53
  6. 무디 블루스 – "White Satin의 밤" – 5:23
  7. 도노반 – "바람을 잡아라" – 3:51
  8. 가족 – "위버의 대답" – 7:22 (영화에는 없음)
  9. 존 세바스찬 – "레드 아이 익스프레스" – 3:58
  10. 마일스 데이비스 – "Call It Anything" – 14:56
  11. 위대한 각성 – "놀라운 은혜" – 3:47
  12. 밥 딜런(Bob Dylan) – "Desolation Row" – 11:43

레거시

최근 몇 년 동안 Lerner의 16mm 콘서트 영상은 다양한 완전 성능의 DVD 릴리즈를 만들기 위해 용도 변경되었다.

참조

  1. ^ a b c Hernandez, Raoul (20 June 1997). "The Wight Stuff – Message to Love: Isle of Wight Festival". The Austin Chronicle. Retrieved 31 July 2020.
  2. ^ Shapiro, Harry; Glebbeek, Cesar (1991). Jimi Hendrix: Electric Gypsy (1st US ed.). New York City: St. Martin's Press. pp. 447–450, 465, 695–698. ISBN 0-312-05861-6.
  3. ^ Schudel, Matt. "Murray Lerner, Oscar-winning Documentarian Who Captured Rock History, Dies at 90". The Washington Post. Retrieved 31 July 2020.
  4. ^ Message to Love DVD 라이너 노트, Michael Heatley
  5. ^ "MESSAGE TO LOVE – THE ISLE OF WIGHT MUSIC FESTIVAL 1970 British Board of Film Classification". www.bbfc.co.uk.
  6. ^ 언터버거, 리치.올뮤직에서 사랑으로 메시지 보내기
  7. ^ a b "Message To Love: The Isle Of Wight Festival TV Guide". TVGuide.com. Retrieved 31 Jul 2020.
  8. ^ "Message to Love: The Isle of Wight Festival". Time Out Worldwide. Retrieved Jul 31, 2020.
  9. ^ Vice, Jeff (4 April 1997). "Film review: Message to Love: The Isle of Wight Festival". Deseret News. Retrieved 31 Jul 2020.
  10. ^ "review". The Independent. 28 August 1995. Retrieved 31 July 2020.
  11. ^ Variety Staff (12 February 1996). "Message to Love". Retrieved 31 July 2020.
  12. ^ Grow, Tim Grierson, Sam Adams, Eric Hynes, David Fear, Jason Newman, Kory; Stone, Rolling (15 August 2014). "40 Greatest Rock Documentaries". Retrieved 31 July 2020.
  13. ^ Murray, Noel (17 April 2019). "The 50 Best Music Documentaries of All Time". Vulture. Retrieved 31 July 2020.
  14. ^ Gerlitz, Hadar (29 October 2019). "Legendary Music Captured on Film: The Best Music Documentaries Ranked". Musicoholics. Retrieved 31 July 2020.
  15. ^ Cutris-Horsfall, Thomas (18 March 2020). "Top 10 Music Festival Documentaries". Festicket. Retrieved 31 July 2020.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