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 센터

Met Center
메트 센터
Metcenter.jpg
이전 이름메트로폴리탄 스포츠 센터 (1967-1982)
위치시더 애비뉴 남부 7901번지
미네소타 55420, 블루밍턴
좌표44°51′30″N 93°14′24″w / 44.85833°N 93.24000°W / 44.85833; -93.24000좌표: 44°51′30″N 93°14′24″W / 44.85833°N 93.24000° / 44.85838; -93.24000
소유자메트로폴리탄 체육 시설 위원회
연산자메트로폴리탄 체육 시설 위원회
역량16,000개(개수)
15,000(아이스하키)
건설
부서진 땅1966년[1] 10월 3일
열린1967년 10월 21일
닫힌1993년 4월 13일
철거됨1994년 12월 13일
공사비580만 달러
(2020년 4500만 달러[2])
건축가패티 [3]건축가
구조 엔지니어K.[3]M. 클라크 엔지니어링
서비스 엔지니어브러시 & 모로[3]
일반 도급업자맥널티 건설 회사.[4]
세입자
미네소타 노스 스타즈 (NHL) (1967–1993)
미네소타 머스크리스 (ABA) (1967–1968)
미네소타 피퍼스 (ABA) (1968–1969)
미네소타 벅스킨스 (WTT) (1974)
미네소타 필리스 (WBL) (1978–1980)
미네소타 킥스 (NASL) (1979–1981)
미네소타 스트라이커 (MISL) (1984–1988)

메트 센터미니애폴리스 교외인 미국 미네소타 블루밍턴에 서 있던 실내 경기장이었다. 미네소타 아이스사가 1967년 완공한 이 경기장은 메트로폴리탄 스타디움 바로 북쪽에 자리 잡고 1만5000여 명이 자리했다. 1967년부터 1993년까지 미국프로하키리그(NHL) 미네소타 노스스타즈의 홈구장이었다. 그것의 첫 15년 동안, 그것의 공식 명칭은 메트로폴리탄 스포츠 센터였다; 더 친숙한 짧은 명칭은 1982년에 채택되었다.

메트의 다른 세입자들 중에는 1968-69시즌 마이애미로 이적하기 바로 전 한 시즌을 뛰었던 ABA의 미네소타 머스크리스가 포함되어 있었다. 리그는 디펜딩 챔피언 피츠버그 피퍼스를 블루밍턴으로 옮기며 대응했지만 피퍼스는 시즌을 마치고 피츠버그로 복귀하기 위해 떠났다. NASL미네소타 킥스는 1979년부터 1981년까지 메트에서 두 번의 실내 시즌을 뛰었다. 메이저리그 미네소타 스트라이커스는 1984년부터 1988년까지 메트 센터에서 실내 축구를 했다. 소년 고등학교 하키 대회도 1969년부터 1975년까지 그곳에서 열렸다.

아레나에서는 1980년 9월 세서미 스트리트 라이브의 첫 공연 등 엔터테인먼트 관련 쇼도 열렸다.

역사

메트 센터는 수년 동안 NHL에서 가장 훌륭한 경기장 중 하나로 여겨졌다. NHL 선수들 중, 메트는 빠른 얼음과 좋은 조명으로 알려져 있다. 선수들도 라커룸과 훈련시설에 대한 칭찬이 많았다. 팬들은 경기장의 조준선도 매우 높은 점수를 주었다. 메트는 결코 화려한 편의시설을 자랑하지 않았고, 현대적인 경기장에 비해 비좁은 콩쿠르와 프릴이 거의 없었다(1980년대에 고급 스위트룸이 일부 추가되었지만). 스포츠 시설로서, 1988년 이전에 건설된 대부분의 미네소타 스포츠 시설(예: 메트로폴리탄 스타디움, 휴버트 H)에서 반복된 주제인 실용주의라고 가장 잘 표현할 수 있다. 험프리 메트로돔). 메트로돔과 마찬가지로 메트 센터는 평생 동안 다양한 고등학교 하키와 농구 경기를 개최하면서 미네소타 스포츠 장소로 활용도가 높았다.

1993년 노스 스타즈가 텍사스주 댈러스로 이적한 뒤 댈러스 스타즈가 된 뒤 1994년 12월 13일 메트 센터는 세 차례의 통제된 붕괴로 철거되었다. 이 일련의 붕괴는 최초 폭발(단 하나만을 의도했던 것)이 생방송으로 이 건물을 무너뜨리는 데 눈부시게 실패한 후 요구되었다.[5] NHL은 2000년 확장 미네소타 와일드세인트 폴Xcel 에너지 센터에서 경기를 시작했을 때 미네소타로 돌아왔다. 한편, 메트 센터의 콘서트 사업에서 많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메트 센터의 연간 방문객인 할렘 글로베트로터스타겟 센터로 옮겨갔다.

경기장이 철거된 후 몇 년 동안 그 부동산은 몰 오브 아메리카에 넘쳐나는 부지로 작용했다. 2004년에 이케아 매장이 이 부동산의 서쪽 끝에 문을 열었고, 새로운 아메리칸 대로가 이 부동산의 동쪽 끝을 통해 다시 홍보되었다. 나머지 부지는 장기적으로 Mall of America 2단계 부지가 될 계획이며, 그 중 이케아는 앵커 스토어가 될 것이다.

주목할 만한 사건

참조

  1. ^ "Break Ground Monday for Hockey Arena". Winona Daily News. September 30, 1966. p. 14. Retrieved May 6, 2014.
  2. ^ 1634–1699:McCusker, J.J.(1997년).얼마나 리얼 머니에 그렇죠?역사적 가격 지수를 사용하여 경제 미국의 안의 돈 가치에 관한 Deflator로:.부칙 et Corrigenda(PDF).미국 골동품 협회입니다.1700–1799:McCusker, J.J.(1992년).얼마나 리얼 머니에 그렇죠?역사적 가격 지수 이용 돈은 가치관의 경제 미국(PDF)의 Deflator로.미국 골동품 협회입니다.1800–present:연방 준비 은행이 미니애 폴리스의."소비자 물가 지수(추정)1800–".Retrieved 1월 1일 2020년이었죠.
  3. ^ a b c "Met Center Artist Rendering". Metropolitan Sports Facilities Ice Contractor: Minnesota Ice LLC Commission. Retrieved May 6, 2014.
  4. ^ "North Stars Get Okay on Arena Plans". Winona Daily News. October 21, 1966. p. 11. Retrieved May 6, 2014.
  5. ^ "Met Center Demolition ~ but the building still stands..mp4".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21-12-21.
  6. ^ [[[Black Cat (song)#Music video]] "Black Cat (song) - Wikipedia"]. en.m.wikipedia.org. Retrieved 2017-01-02. {{cite web}}: 수표 url= 가치(도움말)

외부 링크

선행자
제1경기장
본고장
미네소타 노스 스타스

1967 – 1993
성공자
선행자 호스트 오브 더
NHL 올스타전

1972
성공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