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림푸스의 마르세우스

Methodius of Olympus
17세기 프레스코 마릴리우스의 순교
심포지엄의 파피루스 파편, 5세기 또는 6세기의 것으로 알려진 오라티오 8의 파피루스 파편, 마데리우스(몬테라트 애비 도서관, P)의 작품 원고로 가장 일찍 알려져 있다.몬츠. 로카 4.57)[1]

올림푸스의 탈리오스(Daid c.311)는 오늘날 교회 아버지로 여겨지는 기독교의 주교, 교회주의 작가, 순교자였다. 그는 6월 20일에 기념된다.[2]

인생

오리가넨의 첫 번째 조직적인 반대자의 생애에 대해 살아남은 보고는 거의 없다; 이 짧은 설명조차도 많은 어려움을 준다. 에우세비우스는 그의 교회 역사에서 그를 언급하지 않는데, 아마도 그가 오리겐의 다양한 이론에 반대했기 때문일 것이다. 따라서 세인트 제롬은 그에 대한 초기 설명을 제공한다.[3] 그에 따르면, 마릴리우스는 리시아올림포스 주교였고 그 후 타이레 주교였다. 후에 그리스 작가는 자신이 타이어의 주교라는 것에 대해 아무것도 알지 못한다.[4] 그리고 에우세비우스에 따르면 티라노는 디오클레티아의 박해 중에 타이어의 주교였고 순교자로 죽었다고 한다. 박해 후에 파울리누스가 그 도시의 주교로 선출되었다. 이후 정보원은 그를 올림포스의 주교가 아니라 리시아의 파타라의 주교로 만든다. 그가 두 시야를 동시에 잡을 수 있었을 것이라는 추측이 있었지만, 이것은 가능성이 거의 없다.[5]

제롬은 더 나아가 마료비우스가 마지막 박해, 즉 막시미누스 데이아(311년) 휘하에서 순교를 당했다고 진술하고 있다. 그는 이어 "일부 사람들이 주장하는 바"라고 덧붙이긴 하지만, 이것이 칼치스의 데키우스발레리안 아래에서 일어났을지도 모른다고 말하지만, 그에 의해서조차 불확실한 것으로 추론된 이 진술(ut allii possent)은 그럴 것 같지 않다. 마도리우스의 후속 주교로 티레를 언급한 것과 관련한 여러 가지 오류들을 해소하기 위해 다양한 시도가 있었는데, 그가 박해 중에 티레로 이송되어 그곳에서 사망했을 가능성이 있다.

작동하다

밀리우스는 종합적인 철학적 교육을 받았으며, 다작하고 세련된 작가일 뿐만 아니라 중요한 신학자였다. 연대기적으로 그의 작품은 3세기 말과 4세기 초까지만 일반적인 방법으로 배정될 수 있다. 그는 위대한 알렉산드리아인 오리지앵의 다양한 견해와 싸웠다는 점에서 신학문학의 역사에서 특별한 중요성을 갖게 되었다. 는 특히 부활할 때의 인간의 육체는 세상 영원에 대한 그의 생각뿐 아니라 삶에서 가졌던 것과 같은 육체가 아니라는 자신의 교리를 공격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는 오리지앵의 위대한 봉사를 교회 신학에서 인정하였다.

오리지앵처럼 플라톤의 철학에 강한 영향을 받아 성경우화적 설명을 크게 이용한다. 그의 수많은 작품들 중 오직 한 작품만이 그리스어로 된 텍스트로 우리에게 내려왔다: 처녀성에 관한 대화, 심포지엄 또는 처녀성에 관한 대화(Symposion e peri hagneias.[6] 플라톤의 심포지엄을 참고하여 구성된 이 대화에서 그는 아레테의 정원에서 열 처녀의 축제적인 식사를 묘사하고 있는데, 그 자리에서 참여자들은 각각 기독교의 처녀성과 그 숭고한 우수성을 찬양한다. 그것은 예수를 교회의 신랑으로 찬양하는 것으로 끝을 맺는다. 그리스어로 된 몇몇 다른 글들의 더 큰 조각들은 보존되어 있다; 우리는 슬라보닉의 오래된 버전에서 나온 다른 작품들을 알고 있다. 비록 몇몇은 축약되어 있지만.

다음과 같은 작품들이 대화 형식으로 되어 있다.

  1. 자유 의지(peri tou autexousiou)에서 악의 기원에 대한 Gnistic 관점을 공격하고 인간의 자유의지를 증명하는 중요한 논문.
  2. 부활(Aglaophon e peri tes anastaseos)에서는 인간이 삶에서 가지고 있는 같은 육체가 부활할 때 청렴성에 각성될 것이라는 교리가 특히 오리지엔에 반대하여 제시된다.

이 두 글의 그리스어 원문의 상당 부분이 보존되어 있지만, 우리는 다음의 짧은 4개 논문 중 슬라브어 버전만 가지고 있다.

  1. 드비타, 삶과 이성적인 행동에 대해, 특히 이 삶에서 만족과 다가올 삶의 희망에 대해 권한다.
  2. 시비스(De cibis), 유대인의 식이법칙, 레위티쿠스에 언급된 어린 소에 대해 구약성서 음식입법 및 붉은 소(Num, xix)에 대한 우화적 설명을 곁들인 것이다.
  3. 나병에 관한 데 레프라(De lepra)는 시스텔리우스(Methodius)에게 구약성서의 신비적 감각에 관한 에우불리우스(Methodius)와 시스텔리우스의 대화로 나병에 대해 언급하였다(Lev, Xiii)
  4. 상구이(De sanguisuga), 속담 거머리(Prov, xxx, 15평방)와 본문에는 "하늘이 하나님의 영광을 드러낸다"(S. 16세, 2)라고 적혀 있다.

제롬은 더 이상 현존하지 않는 다른 글들 중에서 기독교에 반대하는 책을 출판한 네오플라토니스트 포르피리를 상대로 한 방대한 저작물, 오리지앵을 상대로 한 파이오니사에 대한 논문, 창세기 및 칸티클레스 칸티클에 대한 논평 등을 언급하고 있다. 다른 작가들은 "순교자들에 관한 연구"와 "제논"이라는 대화를 "말레디우스"에게 돌렸다; 후자에서는 세계의 영원에 대한 오리겐의 교리에 반대한다. 그레고리 아부엘 파라지는 마드리우스에게 가부장들을 다루는 어떤 종류의 일을 맡겼다.[7]

7세기 사이비-메토디우스의 대재앙은 그에게 거짓으로 귀속된다. 그의 잔치일은 9월 18일이다. 그의 작품의 판본으로는 P.G., XIII; Jan, S. Malodii 오페라 외 S.가 있다. 마도리우스 플라토니잔스 (Halle, 1865); 본베츠치, 마도리우스 올림푸스: 나, 슈리프텐(Leipzig, 1891)

교리

예수 그리스도의 처녀성

마드리우스는 예수 그리스도가 처녀로 남았다고 가르쳤다. 그의 일생을 남자들에게 본보기로 삼았다.

"그렇다면 주님과 진리와 빛이 세상에 내려온 것은 무엇이었을까? 그는 자신의 육체를 처녀성에 있어서 청렴한 상태로 보존했다. 그러니 우리도 하나님을 닮게 되려면 그리스도의 순결을 열망하도록 힘써라.(심포시움 1.5)

메모들

  1. ^ Brice C. Jones (22 May 2018). "The Earliest Manuscript of Methodius of Olympus and an Unattested Saying about the Nile". Retrieved 4 June 2018.
  2. ^ "Saint Methodius of Olympus". September 18, 2013.
  3. ^ 드 비리스 일러스트리부스, 83장
  4. ^ 히스토리아 에클레시아스타, 8세, 시이.
  5. ^ G. S, "메토디우스", W. 스미스와 H. 와이스의 "에드", "기독교 전기, 문학, 종파, 교리의 사전" (런던, 1882년) vol. III, 페이지 909.
  6. ^ 16세, 16세, 27-220세 Peterogia Graeca에서.
  7. ^ Hebraeus, Bar (2003). The Chronography of Gregory Abû'l Faraj, the Son of Aaron, the Hebrew Physician, Commonly Known as Bar Hebraeus: Being the First Part of His Political History of the World. ISBN 978-1-59333-055-2.

참조

  • 이 글에는 현재 공개 도메인에 있는 출판물의 텍스트가 통합되어 있다.

추가 읽기

  • 카타리나 브라흐트(edd.), 올림푸스의 마릴리오스: 베를린, 월터 드 그루터, 2017년 예술과 새로운 관점들
  • 패터슨, L. G. (로이드 조지), 올림푸스의 마릴리오스: 신주권, 인간의 자유, 그리스도의 삶(Washington: Catholic University of America Press, 1997).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