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이클 밴다
Michael Banda마이클 알렉산더 반데르 푸르텐(Michael Alexander Van Der Poorten) 출생인 마이클 밴다(Michael Banda, 2014년 8월 29일 ~ )는 영국노동혁명당 총서기로 가장 잘 알려진 스리랑카 사회주의 활동가였다.
초기 생활과 영국으로의 이전
스리랑카에서 태어난 반다는 동생 토니와 함께 캔디 트리니티 칼리지에 다녔다. 두 사람은 힐라리 아베야라트네 교사로부터 볼셰비키-레닌주의 인도 정당, 실론, 제4인터내셔널 소속 트로츠키주의 단체인 버마에 가입할 것을 확신했다. 1950년 당은 스리랑카 사마사마자당(LSSP)으로 통합되었고, 이 무렵 반다 형제는 스리랑카를 떠났다.[1] 그들은 당시 제4인터내셔널인 유고슬라비아에서 조셉 브로즈 티토의 정권을 지지하며 2년을 보냈다.[2] 그 후 그들은 영국으로 이민을 갔고, 그곳에서 게리 힐리가 이끄는 제4인터내셔널의 영국 계열사인 더 클럽에 가입했다.[1]
두각을 나타내다.
클럽은 1953년 제4인터내셔널을 떠나 큰 분열을 겪었으며, 힐리를 중심으로 반다가 다수파의 선두적인 지지자였다.[1] 특히 반다는 티토에 대해 비판적인 태도를 갖게 된 것에 대해 국제 사회의 대표적인 인물인 미셸 파블로를 공격했다.[3]
반다 형제는 이 단체의 출판물을 디자인하고 인쇄하는 데 주도적인 역할을 하였으며, 사회주의 노동 연맹으로 변모하는 등 주도적인 인물로 남아 있었다. 1969년 일간지 《노동자신문》의 창간을 공동주최하였고, 마이크 반다가 초대 편집장이 되었다.[1][4]
1973년 다시 당명을 변경하여 노동혁명당(WRP)이 되었다. 반다는 중국 문화대혁명을 지지하고 그 단체를 자신의 지위에 올려놓았다.[5] 힐리는 1978년 WRP 총서기로 힐리의 뒤를 이었지만, 힐리는 당의 가장 유명하고 영향력 있는 인물로 남아 있었다.[6] 1979년 총선에서 반다는 그의 출생명으로 뉴햄 북동부 지역의 당을 대표했으나 득표율 0.4%에 그쳤다.[7]
WRP에서 분할
WRP는 1985년 힐리의 비서가 다수의 여성 회원들을 성폭행했다고 주장하면서 큰 분열을 겪었다. 반다는 10월에 힐리를 파티에서 제명했다.[8] 그러나 힐리를 지지하는 WRP 회원인 바네사 레드그레이브는 이러한 주장이 거짓이며, 제명은 "...우파로 이동했기 때문에 WRP를 해산하고자 하는 반다씨의 정치적 프레임 조작의 일부"라고 주장했다.[9][10]
힐리와 그의 지지자들은 계속해서 자신들이 WRP라고 주장했고, 반다의 집단은 두 사람을 차별화하기 위해 노동자혁명당(노동자언론)으로 알려지게 되었다. 반다는 WRP가 주도적 위원이었던 제4인터내셔널(ICFI)의 국제위원회를 해체해야 한다고 주장하며 '국제위원회를 왜 묻어야 하는지, 제4인터내셔널이 건설되어야 하는 이유 27가지'를 썼다. 이런 일은 일어나지 않았지만, 노동자 언론 단체가 ICFI에서 분리되었고, 그 그룹의 ICFI 지지자들은 탈퇴하여 사회주의 평등당이 된 것을 발견했다.[5]
마르크스주의 철학 포럼
공산당 포럼은 마이크 반다가 노동혁명당(노동자언론)에서 제명된 이후 1986년 결성된 단명 정치단체였다. 반다는 그의 정치를 계속 재평가했고 1986년에 "트로츠키즘이란 무엇인가? 아니면 '진짜 트로츠키 제발 일어설래?'라는 문서로 트로츠키와 트로츠키주의 운동이 오인되었다고 주장하는 문서다.[5] 이러한 입장은 노동신문 단체 대다수와 달랐고, 그래서 반다는 그해 공산당 포럼을 결성하기 위해 떠났다. 이 단체는 정통 트로츠키주의에서 멀어졌다.[citation needed] 이것은 곧 "마르크시스트 철학 포럼"으로 이름이 바뀌었지만 1987년에 해체되었다.[11][12]
분할 후
반다는 일시적으로 스리랑카로 돌아왔고, 그곳에서 그는 LSSP의 콜빈 드 실바와 정치를 논의했다.[5]
반다는 영국으로 돌아오면서 쿠르드족 공동체를 위한 캠페인에 시간을 할애해 쿠르드족 연대위원회와 쿠르드족 평화 캠페인을 벌였다. 그는 점점 더 건강이 나빠진 후 2014년 2014년에 사망했다.[1][13]
참조
- ^ a b c d e 코린 로츠, "마이크 반다(1930-2014)", A World To Win, 2014년 9월 14일
- ^ Alex Mitchell, Come the Revolution. 회고록, 222페이지
- ^ 샘 본슈타인과 알 리처드슨, 전쟁과 국제, p.212
- ^ Alex Mitchell, Come the Revolution. 회고록
- ^ a b c d 데이비드 노스, 우리가 지키는 유산
- ^ 코린 로츠와 폴 펠드만, 게리 힐리: 혁명적인 삶, 페이지 275
- ^ 사설탐정, 445-470번, 페이지 65
- ^ Dennis Tourish and Tim Wohlforth, On the Edge: 좌우 정치 숭배, 페이지 166-170
- ^ Horsnell, Michael (5 November 1985). "Vanessa Redgrave denies WRP 'lies'". The Times. London. p. 36. (필요한 경우)
- ^ 켈빈 알렉산더, "레드그레이브스는 힐리 편지가 위조되었다고 주장합니다," The Guardian, 1985년 11월 5일
- ^ 피터 바버리스 외, 영국 및 아일랜드 정치 기구 백과사전, 페이지 154, 170
- ^ 영국과 아일랜드 정치 단체 백과사전, By Peter Barberis, John McHugh, Mike Tyldesley, p.154, p.170
- ^ "A World to Win Resources Mike Band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