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이클 닐슨

Michael Nielsen
마이클 닐슨
Michael Nielsen.jpg
마이클 닐슨, 사이언스 온라인 런던 2011에서 연설
태어난
마이클 애런 닐슨

(1974-01-04) 1974년 1월 4일 (48세)
국적오스트레일리아인
모교뉴멕시코 대학교
로 알려져 있다.양자 계산 및 양자 정보
수상리처드 C. 풀브라이트 스콜라[1] 칼텍의 톨만상 펠로우
과학 경력
필드물리, 컴퓨터 과학
기관로스 알라모스 국립 연구소
칼텍
퀸즐랜드 대학교
경계 연구소
리커즈 센터
논문양자정보이론 (1998)
박사학위 자문위원칼튼 M. 동굴[2]
웹사이트http://michaelnielsen.org

마이클 애런 닐슨(Michael Aaron Nielsen, 1974년 1월 4일 출생)은 샌프란시스코에 살고 있는 양자 물리학자, 과학 작가, 컴퓨터 프로그래밍 연구원이다.[3]null

2004년에 닐슨은 호주의 "최고의 학문적"으로 특징지어졌고 퀸즐랜드 대학교에서 연방 펠로우쉽을 확보했다; 그 펠로우쉽은 5년 동안이었다.[4]그는 로스 알라모스 국립 연구소에서, 칼텍의 리처드 체이스 톨먼 상 연구원과 경계 물리학 연구소의 수석 교수진으로 일했다.닐슨은 1998년 뉴멕시코 대학에서 물리학 박사학위를 취득했다.[2]null

아이작 츄앙과 함께 그는 양자컴퓨팅에 관한 인기 있는 교과서의 공동저자다.[5]2019년 12월 현재 이 책은 3만6000여 차례 인용됐다.[6]null

2007년, 닐슨은 양자 정보와 계산에서 "과학적 협력과 출판을 위한 새로운 도구 개발"로 그의 연구 분야에서 뚜렷한 변화를 발표했다.[7]그가 종신 재직의 학문적 지위를 포기한 이 작품은 티모시 고워스와의 폴리매스 프로젝트와 같은 "대규모 협력 수학" 프로젝트들을 포함하고 있다.[8]그는 책과 에세이를 쓰는 것 외에 열린 과학에 대한 이야기도 했다.[9]그는 열린 지식 재단의 열린 데이터에 관한 작업 그룹의 일원이었다.[10]null

그는 '재창조 디스커버리'의 저자다.이 책은 닐슨의 열린 과학과 집단 지성에 대한 비전을 설명한다.이 책은 네이처(Nature)에서 호평을 받았고 파이낸셜타임스(FT)가 선정한 2011년 최고의 책 중 하나로 선정되기도 했다.[11][12]null

2015년 닐슨은 온라인 교과서 뉴럴 네트워크와 러닝(Deep Learning)을 출간했다.같은 해 리커즈 센터에 연구원으로 입사했다.[13][14]닐슨은 2017년부터 Y 콤비네이터 리서치 연구원으로 일하고 있다.[15]null

2019년 닐슨은 앤디 마투스탁과 협력하여 양자 컴퓨팅양자 역학을 설명하는 대화형 에세이 시리즈인 매우 호기심 많은 양자 컴퓨팅을 개발했다.[16]패트릭 콜리슨과 함께 그는 과학의 발전이 느려지고 있는지 연구했다.[17]null

닐슨은 샌프란시스코에 산다.[18]null

참고 문헌 목록

  • Nielsen, Michael A; Chuang, Isaac L., 1968- (2010), Quantum Computation and Quantum Information (New ed., 10th anniversary ed.), Cambridge University Press, ISBN 978-1-107-00217-3{{citation}}: CS1 maint : 복수이름 : 작성자 목록(링크)
  • Nielsen, Michael A. (2011). Reinventing Discovery: The New Era of Networked Science. Princeton, N.J: Princeton University Press. ISBN 978-0-691-14890-8. 이 책은 과학의 미래에 관한 그의 수필에서도 다루고 있는 주제를 바탕으로 하고 있다.[19]
  • Nielsen, Michael A. (2015). Neural Networks and Deep Learning. Determination Press.
  • Nielsen, M. A. (2004). "The bits that make up the Universe". Nature. 427 (6969): 16–17. Bibcode:2004Natur.427...16N. doi:10.1038/427016b. (정보 검토: 한스 크리스티안 폰 배이어의 신어(2003년).

참조

  1. ^ http://michaelnielsen.org/blog/michael-a-nielsen/ 마이클 닐슨 정보
  2. ^ a b 수학 계보 프로젝트 마이클 닐슨
  3. ^ "The Recurse Center". Recurse Center. Retrieved 16 March 2017.
  4. ^ Maiden, Samantha (17 June 2004). "'Footbal star' salaries to boost academic research". The Australian. Canberra, ACT. p. 4. ProQuest 357585672.
  5. ^ Nielsen, Michael A.; Chuang, Isaac L. (2000). Quantum Computation and Quantum Information. Cambridge, UK: Cambridge University Press. ISBN 978-0-521-63235-5. OCLC 43641333.
  6. ^ Nielsen, Michael A.; Chuang, Isaac (2002). Quantum computation and quantum information. AAPT.
  7. ^ "Michael Nielsen » Changing fields". Retrieved 19 January 2009.
  8. ^ Gowers, T.; Nielsen, M. (2009). "Massively collaborative mathematics". Nature. 461 (7266): 879–881. Bibcode:2009Natur.461..879G. doi:10.1038/461879a. PMID 19829354.
  9. ^ https://www.youtube.com/watch?v=DnWocYKqvhw TEDxWaterloo - 마이클 닐슨 - 오픈 사이언스
  10. ^ "Working Group on Open Data in Science".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 June 2009. Retrieved 17 April 2009.
  11. ^ Hannay, T. (2011). "A new kind of science?". Nature Physics. 7 (10): 742. Bibcode:2011NatPh...7..742H. doi:10.1038/nphys2109.
  12. ^ Wilsdon, James (28 October 2011). "Reinventing Discovery". Financial Times. Retrieved 9 January 2012.
  13. ^ https://www.recurse.com/blog/93-why-research 리커시 센터 블로그
  14. ^ https://www.recurse.com/blog/83-michael-nielsen-joins-the-recurse-center-to-help-build-a-research-lab 리커시 센터 블로그
  15. ^ "Michael Nielsen's website". Retrieved 15 July 2018.
  16. ^ "Quantum Computing for the Very Curious". 18 March 2019. Retrieved 2 November 2019.
  17. ^ Nielsen, Patrick Collison, Michael (16 November 2018). "Science Is Getting Less Bang for Its Buck". The Atlantic. Retrieved 8 December 2019.
  18. ^ "michael_nielsen (@michael_nielsen) Twitter". twitter.com. Retrieved 8 December 2019.
  19. ^ "Michael Nielsen » The Future of Science". Retrieved 19 January 2009.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