믹 한리

Mick Hanly
믹 한리
태어난 (1949-07-03) 1949년 7월 3일 (72)
기원아일랜드 리머릭 카운티 리머릭
장르
직업음악가, 싱어송라이터
계기
  • 보컬스
  • 기타를 치다
년 활동1972-현재
관련 행위
웹사이트mickhanly.com

한리(Mix Hanley, 1949년 7월 3일생)는 아일랜드 출신의 가수 겸 작곡가다.[1] 1970년대에 그는 처음에는 미첼 돔나일, 그 다음엔 앤디 어바인, 그리고 최근에는 도날 루니와 함께 몇몇 민속음악 듀오들을 결성했다.[2] 1982년부터 1985년까지 그는 Moving Hearts의 멤버였다.[3] 한리는 메리 블랙(1988)이 처음 취재한 'Past the Point of Rescue'(1988)와 미국인 예술가케첨(1991)이 함께 취재한 작품으로 유명하다.[3][4]

초년기

한리는 리머릭시에서 자랐고 그의 음악적 관심사는 주로 50년대와 60년대에 락앤롤이었다. 그는 스스로 기타를 연주하는 법을 배웠고 1958년 라이브 데뷔는 초등학교 콘서트에서 "리빈 인형"을 공연하는 데 동행했다. 1970년 학교를 떠난 뒤 갈웨이 시의 E.S.B.(전기공급판)에 가입했다. 세안 OO 리아다를 통해 민속음악을 발견하고 클레어 우이유안 피리 윌리 클랜시를 연주한 뒤 민속음악 공연장인 골든키에서 우디 거트리와 폴 사이먼 소재를 연주했다.[3]

경력

1972년 초 미셀 돔나일(Micheahl OO Domhnaill)을 만나 먼로라는 듀오를 결성했다. 그들은 브리트니를 자주 순회하며 다른 지역 음악가들과 만나고 방문하는 아일랜드 음악가들을 만났다. 이 기간 동안 브리타니는 앨런 스티벨, 트라이 옌, 소네리엔 두 같은 예술가들이 막 등장하면서 대대적인 민속 부흥을 즐기고 있었다.[5] 1974년 한리와 돔나일(O Domhnaill)은 싱글 '그린모어의 언덕'을 녹음했고, 그룹 플랑시와 함께 조연으로 순회 공연을 했다. Planxty의 일부 멤버인 Liam O'Flyn, Donal Lunny, Matt Molloy의 도움을 받은 후.Hanly와 O Domhnaill은 Polydor Records와 계약을 맺고 앨범인 Celtic Folkweave를 녹음했다.[5]

먼로는 1975년 O 돔나일(O Domhnaill)이 투미 밴드에 합류하면서 갈라섰고, 한리는 브리트니로 돌아와 떠돌이 아일랜드 민중의 트러블도르의 삶을 살았다. 그는 1977년 아일랜드로 돌아와 멀리건 레이블인 A Kiss In the Morning EarlyAs I Good Over Blackwater with Lunny, 어빈, 몰로이, 패디 글래킨, 노엘 힐, 파이퍼 피터 브라운, 데클란 시노트의 두 앨범을 녹음했다. After the release of his debut solo album, Hanly regularly embarked on Irish and European tours with Irvine, after the demise of the Planxty,[6] including at 'The 4th Irish Folk Festival' in Germany (30 April 1977)[7] and the following year, when they were joined on stage by Liam O'Flynn at 'The 5th Irish Folk Festival' (28 April 1978).[8]

1982년부터 1985년까지 그는 Moving Hearts의 멤버였다.[3] 한리는 메리 블랙(1988)이 처음 취재한 'Past the Point of Rescue'(1988)와 미국인 예술가케첨(1991)이 함께 취재한 작품으로 유명하다.[3][4]

선택된 음반 목록

  • 켈트족 포크위브 (Polydor, 1974년)
  • A Kiss in the Morning Early (A Kiss in the Morning Early)
  • 내가 블랙워터를 넘어갔을 때(Mulligan, 1980년) – Andy Irvine과
  • 여전히 치료되지 않음(WEA, 1987년)
  • All I Remember (1989년)
  • 사마귀 & 올 (원형 타워, 1991년)
  • Happy Like This (Round Tower, 1994)
  • 미팅 장소 라이브(Doghouse, 1998년) (Doghouse, 1998)
  • 목마(도그하우스, 2000)
  • Wish Me Well (Doghouse, 2004)
  • 믹한리&프렌즈 라이브 (Doghouse, 2011)
  • 홈랜드 (Celtic Collections, 2016)

참고 문헌 목록

  • Hanly, Mick (2005). Wish Me Well: Notes on My Sleeve. Ireland: Gill & Macmillan. ISBN 0-7171-3890-9.

참조

  1. ^ "Mick Hanly Biography & History". AllMusic. Retrieved 4 February 2019.
  2. ^ Long, Siobhan (26 May 2018). "Mick Hanly and Donal Lunny on the move: this week's traditional highlights". The Irish Times. Retrieved 4 February 2019.
  3. ^ a b c d e Curtis, P. J. (3 March 2013). "Biography". Retrieved 4 February 2019.
  4. ^ a b "Mick Hanly Marks 25th Anniversary of 'Past The Point Of Rescue'". IMRO. 10 November 2017. Retrieved 4 February 2019.
  5. ^ a b O'Regan, John. "Mícheál Ó Domhnaill, 1951-2006". The Green Man Review.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5 January 2013. Retrieved 5 February 2018.
  6. ^ 전기 – 제5장. 앤디 어바인의 웹사이트를 방문하십시오. 2013년 7월 30일 회수
  7. ^ InterCord INT 180.038, 1977년 도로에서 열린 제4회 아일랜드 민속 축제의 소매 노트.
  8. ^ 제5회 아일랜드 민속 축제 인터코드 INT 180.046, 1978년의 소매 노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