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이크로앵글리그래피

Microangiography
마이크로앵글리그래피
목적작은 혈액이나 림프관의 방사선 촬영

미세혈관조영술(/micromarokroʊndndiindiərfifi/MY-kroh-AN-jee-OG-rə-pee)은 장기의 작은 혈액이나 림프관방사선 촬영으로 구성된 혈관조영술의 일종이다.대부분의 다른 유형의 혈관 조영술은 지름이 200µm 미만인 혈관의 영상을 생성할 수 없지만, 미세 혈관 조영술은 바로 그것이다.[2]미세혈관영상은 조영제를 혈액이나 림프계에 주입한 후 방사선 촬영이 확대된 결과물이다.따라서 혈관과 주변 조직 사이에 대조가 있는 영상을 얻는다.장기의 미세혈관 병변을 감지하기 위해 자주 사용된다.다만 종양 유발 소혈관 시각화를 통해 종양을 검출하는 데도 마이크로앵글리오그래피를 활용할 수 있다는 의견이 제시됐다.종양 성장이 더 빨리 진행되기 전에 혈관화가 필요하기 때문이다.[3]흔히 쓰이는 종류로는 형광, 실리콘 고무, 싱크로트론 방사선 미세혈관 촬영 등이 있다.

공통유형

형광 마이크로앵글로리그래피

FMA로도 알려져 있는 형광 미세혈관조영술은 미세생물의 변화를 시각화하고 수량화하기 위해 사용된다.[4]형광표지나 조영제가 다른 것 대신 사용된다는 점에서 다른 형태의 미세혈관조영술과는 다르다.플루오레세인인도시아닌 녹색이 이런 목적으로 자주 사용된다.[citation needed]

레이저 도플러 홀로그래피

디지털 홀로그래피에 의한 레이저 도플러 영상은 망막 혈류를 아이 펀더스에 비침습적으로 노출시킨다.

레이저, 초고속 카메라, 상품 그래픽 카드, 최첨단 통계 필터링 알고리즘을 이용한 컴퓨터 영상이 혈관조영술의 경쟁 대안으로 떠오르고 있다.이러한 종류의 비침습적 미세혈관 촬영 기법은 망막과 맥락막의 내측혈류 프로파일을 밝히기 위해 안구조직에 유리하게 적용될 수 있다.[6]홀로그래피에 의한 레이저 도플러 영상은 인간 내 맥락막 혈관의 국소 혈류를 고대비 시각화하여 최첨단 인도시아닌 녹색 혈관 조영술에 버금가는 공간 해상도를 제공한다.[citation needed]

실리콘 고무 마이크로앵글리오그래피

이러한 형태의 미세혈관조영술은 조직 내 혈관조직의 분포를 묘사하는 3차원 이미지를 생성한다.그것은 일반적으로 미세생물의 변화를 결정하는 데 사용된다.[citation needed]

싱크로트론 방사선 미세혈관 조영술

이러한 유형의 미세혈관조영술은 단색 싱크로트론 방사선과 고화질 비디오 시스템을 사용하여 직경이 100µm 미만인 작은 보조 동맥의 이미지를 제공한다.[2]

참고 항목

참조

  1. ^ "microangiography". The Free Dictionary.
  2. ^ a b Takeshita, Satoshi; Isshiki, Takaaki; Mori, Hidezo; Tanaka, Etsuro; Eto, Koji; Miyazawa, Yoshimichi; Tanaka, Akira; Shinozaki, Yoshiro; Hyodo, Kazuyuki; Ando, Masami; Kubota, Misao; Tanioka, Kenkichi; Umetani, Keiji; Ochiai, Masahiko; Sato, Tomohide; Miyashita, Hideo (1997). "Use of Synchrotron Radiation Microangiography to Assess Development of Small Collateral Arteries in a Rat Model of Hindlimb Ischemia". Circulation. 95 (4): 805–808. doi:10.1161/01.CIR.95.4.805. PMID 9054734. Retrieved 2009-06-10.
  3. ^ "Micro-angiography for tumor vessel imaging" (PDF). Retrieved 2009-06-10.
  4. ^ Bollinger A, Amann-Vesti BR (June 2007). "Fluorescence microlymphography: diagnostic potential in lymphedema and basis for the measurement of lymphatic pressure and flow velocity". Lymphology. 40 (2): 52–62. PMID 17853615.
  5. ^ 푸요, 레오, 미셸 파크스, 마티아스 핑크, 호세 알랭 사헬, 마이클 아틀란."레이저 도플러 홀로그래피를 이용한 초로이드 정관 촬영"생물의학 광학 표현 10번, 2번(2019): 995-1012.
  6. ^ 푸요, 엘, 엠 파크스, 엠핑크, J-A. 사헬, M.아틀란 "인간 망막의 생체내 레이저 도플러 홀로그래피"바이오메디컬 광학 익스프레스 9호(2018): 4113-41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