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용로봇
Military robot군용 로봇은 수송에서 수색 및 구조와 공격에 이르기까지 군사용으로 설계된 자율 로봇 또는 원격 조종 이동 로봇이다.
일부 그러한 시스템은 현재 사용되고 있으며, 많은 시스템이 개발 중에 있다.
역사


광범위하게 정의되어 있는 군사 로봇은 독일 골리앗이 광산과 소련 텔레탱크를 추적한 형태로 제2차 세계 대전과 냉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MQB-1 프레데터 드론은 "CIA 장교들이 첩보를 수집하기 위해 항공로봇을 이용한다는 10년 전의 환상에 대해 실질적인 첫 번째 수익을 보기 시작했다"[1]고 밝혔다.
전통적으로 공상 과학 소설의 주제였지만, 전쟁에 로봇을 사용하는 것은 전쟁을 위한 가능한 미래의 수단으로 연구되고 있다.이미 여러 군대에 의해 여러 대의 군용 로봇이 개발되었다.일부는 현대전의 미래는 자동화된 무기체계에 의해 싸울 것이라고 믿는다.[2]미군은 공대지 미사일로 무장할 수 있고 정찰 역할에서 지휘소로부터 원격으로 운용할 수 있는 RQ-1 프레데터에 집중 투자하고 있다.DARPA는 2004&2005년 모하비 사막의 험준한 지형을 헤쳐나갈 무인 지상차 개발에 민간기업과 대학이 참여하는 대회를 개최해 최종 상금 200만 달러를 받았다.[3]
포병대는 정확한 예측 화재에 필요한 적재 및 탄도 계산을 자동화하는 실험용 무기 시스템 '드래곤 파이어 II'로 화재 지원 요청에 12초간 응답 시간을 제공하는 유망한 연구를 해왔다.그러나, 군사 무기는 완전히 자율화되는 것을 방지한다; 그들은 전쟁 법률에 대한 제네바 협정에 의해 정의된 제한된 화재 지역 내에 목표물이 있지 않도록 하기 위해 특정한 개입 지점에서의 인간의 투입을 요구한다.
자율형 전투기와 폭격기를 개발하기 위한 몇 가지 발전이 있었다.[4]로봇 조종사 훈련 부족, 조종사 훈련 부족, 조종사 훈련 능력 부족(G-포스 양이 많아), 비행 설계 시 생명유지 시스템이 필요 없는 조종사 훈련, 전투기와 폭격기 활용이 특히 유망하다.비행기의 상실이 조종사의 상실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그러나 로봇공학에 대한 가장 큰 단점은 비표준 조건을 수용할 수 없다는 것이다.가까운 미래에 인공지능의 발전이 이것을 바로 잡는 데 도움이 될지도 모른다.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리비아 전문가 패널이 2021년 3월 발간한 보고서에 따르면 2020년 리비아에서 카르구 2 무인기가 사람을 추적해 목표물을 공격했다.살상무기로 무장한 자율적 킬러로봇이 인간을 공격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었을 것이다.[5][6]
예
현재 사용 중


개발중
- 미국 메카트로닉스는 작동하는 자동화된 초소총을 생산해 상업용과 군사용으로 추가 개발하고 있다.
- MIDARS는 여러 대의 카메라, 레이더, 그리고 아마도 화기가 장착된 4륜 로봇으로, 군사 기지나 다른 정부 시설 주변에서 무작위 또는 사전 프로그래밍된 순찰을 자동으로 수행한다.그것은 허가되지 않은 지역이나 다른 프로그램된 조건에서의 움직임을 감지할 때 인간 감독자에게 경고한다.그러면 운영자는 로봇에게 이벤트를 무시하거나 침입자를 처리하기 위해 리모컨을 넘겨받거나 비상사태에 대한 더 나은 카메라 뷰를 얻도록 지시할 수 있다.로봇은 또한 정기적으로 저장된 인벤토리에 배치된 무선 주파수 식별 태그(RFID)를 스캔하여 누락된 항목을 보고한다.
- 프로젝트 알파 연구 무인 효과에 설명된 TAC(Tactical Autonomic Compatant) 유닛: 인간을 루프에서 꺼내라.[11]
- 자율 로터크래프트 스나이퍼 시스템은 미 육군이 2005년부터 개발 중인 실험용 로봇 무기 시스템이다.[12][13]무인자율헬기에 부착된 원격 작동식 저격소총으로 구성돼 있다.[14]그것은 도시 전투나 저격수가 필요한 몇몇 다른 임무에 사용하기 위한 것이다.[15]비행시험은 2009년 여름에 시작될 예정이다.[12]
- '모바일 자율로봇 소프트웨어(Mobile Autonomic Robot Software)' 연구 프로그램은 2003년 12월 미 국방부가 군사용 로봇 개발을 위해 15개의 세그웨이를 구매해 시작한 프로그램이다.[16]이 프로그램은 자율적인 시스템을 위한 소프트웨어를 개발하기 위한 2,600만 달러짜리 펜타곤 프로그램의 일부였다.[16]
효과 및 영향
이점
자율 로봇 공학은 그렇지 않으면 전사할지도 모르는 군인들을 전장에서 제거함으로써 군인들의 생명을 구하고 보존할 것이다.미국 육군 설치 관리 사령부의 리처드 린치 중장과 설치 담당 육군 참모차장은 2011년 회의에서 다음과 같이 말했다.
오늘 전장에서 무슨 일이 일어나고 있는지 생각해 보면...나는 우리의 서비스 구성원들의 생존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우리가 할 수 있는 일이 있다고 주장한다.그리고 여러분 모두 그것이 사실이라는 것을 알고 있다.[17]
미 육군 훈련 및 독트린 사령부의 케네스 로즈 소령은 전쟁에서 로봇 기술의 이점에 대해 다음과 같이 설명했다.[18]
기계는 지치지 않는다.그들은 눈을 감지 않는다.비가 오면 나무 밑에 숨지도 않고 친구들과 말도 안 하고...경계근무의 세부사항에 대한 인간의 주의는 처음 30분 동안 극적으로 떨어진다.기계는 두려움이 없다.
궁극적으로 로봇들이 적 라인 뒤에서 장시간 스스로 작동할 수 있도록 허용한다는 관점에서, 로봇들을 어떻게 더 자율적으로 만들 것인가에 대한 관심도 높아지고 있다.이런 기능을 위해 식물성 물질을 찾아 스스로 에너지를 얻으려는 '정력 자율 전술로봇' 같은 시스템이 시도되고 있다.대부분의 군용 로봇들은 원격으로 작동하며 무기를 장착하지 않는다; 그것들은 정찰, 감시, 저격 탐지, 폭발 장치 중화 등에 사용된다.현재 무기가 장착된 로봇은 원격으로 작동해 자율적으로 생명을 앗아갈 수 없다.[19]로봇 전투에서의 감정과 열정의 부족에 대한 장점도 전시에서 비윤리적인 행동을 현저하게 줄이는 데 유익한 요소로 고려되고 있다.자율 기계는 "진정한 '윤리적' 로봇은 아니지만 전쟁의 법칙(LOW)과 교전규칙(ROE)을 준수하는 로봇"으로 만들어진다.[20]따라서 인간 군인의 경솔한 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피로, 스트레스, 감정, 아드레날린 등은 제거된다; 개인의 결정에 의해 야기되는 전쟁터에는 아무런 영향도 없을 것이다.
위험
휴먼라이츠워치(Human Rights Watch)와 킬러로봇 저지운동(Campaign for Stop Killer Robots) 등 인권단체와 NGO들이 정부와 유엔에 이른바 '레살인의 자율무기체계(Raws)' 개발을 불법화하는 정책을 내놓으라고 촉구하기 시작했다.[21]영국 외무부는 "국제 인도주의 법은 이미 이 지역에 충분한 규제를 제공하고 있다"[22]고 선언하는 등 영국은 이러한 캠페인에 반대했다.
2015년 7월, 1,000명 이상의 인공지능 전문가들이 자율무기 금지를 요구하는 서한에 서명했다.The letter was presented in Buenos Aires at the 24th International Joint Conference on Artificial Intelligence (IJCAI-15) and was co-signed by Stephen Hawking, Elon Musk, Steve Wozniak, Noam Chomsky, Skype co-founder Jaan Tallinn and Google DeepMind co-founder Demis Hassabis, among others.[23][24]
심리학
미국 군인들은 그들과 함께 일하는 로봇들의 이름을 짓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이 이름들은 종종 인간 친구, 가족, 유명인사, 애완동물들을 기리기 위해 쓰이거나 또는 에포니컬하다.[25]로봇에 할당된 '성별'은 로봇 운영자의 결혼 상태와 관련이 있을 수 있다.[25]
일부는 전투 경화 로봇에 가공의 메달을 부착했고, 심지어 파괴된 로봇에 대한 장례식을 치르기도 했다.[25]폭발물 탐지대원 23명의 인터뷰를 보면 인간보다 로봇을 잃는 것이 낫다고 느끼면서도 파괴되면 분노와 상실감도 느꼈다는 것을 알 수 있다.[25]군 장병 746명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 결과 80%가 군용 로봇을 '좋다'거나 '사랑한다'고 답했으며, 항공로봇보다는 지상을 향한 애정이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25]위험한 전투 상황에서 함께 살아남은 것은 군인과 로봇의 유대감을 높였고, 현재와 미래의 인공지능 발전은 군 로봇과의 유대감을 더욱 강화시킬 수 있다.[25]
가상의 매체에서
사진들
참고 항목
- 치사자율무기
- 로봇 전투
- 무인전투항공기
- 동력 외골격
- 네트워크 중심전
- 미사일 유도
- DARPA 그랜드 챌린지
- 다자율 육상 로봇 국제 도전
- 로보 윤리학
- 텔레로보틱스
- 로봇공학 3법칙
- 슈퍼솔더
- 로봇 전쟁(동음이의)
참조
- ^ Steve Coll, Ghost Wars (Penguin, 2005 edn), pp.529, 658 note 6.
- ^ 우주 및 해군 시스템 센터의 로봇과 로봇공학 1999-02-20, 웨이백 머신에 보관
- ^ "Welcome to Grandchallenge". www.grandchallenge.org.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07-10-11.
- ^ Talbot, David. "The Ascent of the Robotic Attack Jet". MIT Technology Review.
- ^ Hambling, David. "Drones may have attacked humans fully autonomously for the first time". New Scientist. Retrieved 2021-05-30.
- ^ "Killer drone 'hunted down a human target' without being told to". New York Post. 2021-05-29. Retrieved 2021-05-30.
- ^ ""Платформа-М": Роботизированный комплекс широких возможностей". arms-expo.ru.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16-03-04.
- ^ 2005-10-26, 웨이백 기계에 보관된 Guardium 군사 로봇
- ^ 2011-01-15년 Wayback Machine에 보관된 한국형 총잡이 theregister.co.uk
- ^ https://www.wionews.com/videos/gravitas-china-deploys-robot-soldiers-along-the-border-with-india-441284/amp
- ^ Schafer, Ron (July 29, 2003). "Robotics to play major role in future warfighting". United States Joint Forces Command.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August 13, 2003. Retrieved 2013-04-30.
{{cite web}}
: CS1 maint : 부적합한 URL(링크) - ^ a b Page, Lewis (21 April 2009). "Flying-rifle robocopter: Hovering sniper backup for US troops". The Register.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4 April 2009. Retrieved 2009-04-21.
- ^ "U.S. Army Tests Flying Robot Sniper". Fox News. 2009-04-22.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09-04-26. Retrieved 2009-04-23.
- ^ Hambling, David (May 2009). "UAV Helicopter Brings Finesse to Airstrikes". Popular Mechanics.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09-04-21. Retrieved 2009-04-21.
- ^ Hambling, David (April 21, 2009). "Army Tests Flying Robo-Sniper". Wired, "Danger Room" blog.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April 23, 2009. Retrieved 2009-04-21.
- ^ a b "Military wants to transform Segway scooters into robots". seattlepi.com. 2003-12-02. Retrieved 2009-04-24.
- ^ 셰릴 펠러린(미군 프레스 서비스) - DoD 뉴스:2011년 8월 17일 발행된 기사, 2015-07-14년 미국 국방부(DoD)가 발행한 웨이백 머신에 보관 [Retrieve 2015-07-28]
- ^ "Robot soldiers". BBC News. 2002-04-12.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11-01-25. Retrieved 2010-05-12.
- ^ Hellström, Thomas (June 2013). "On the moral responsibility of military robots". Ethics and Information Technology. 15 (2): 99–107. CiteSeerX 10.1.1.305.5964. doi:10.1007/s10676-012-9301-2. S2CID 15205810.
- ^ Lin, Bekey, Abney, Patrick, George, Keith (2009). "Robots in War: Issues of Risk and Ethics".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15-11-23.
{{cite web}}
: CS1 maint : 복수이름 : 작성자 목록(링크) - ^ Bowcott, Owen Bowcott. "UN urged to ban 'killer robots' before they can be developed". the Guardian.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15-07-28. Retrieved 2015-07-28.
- ^ Bowcott, Owen. "UK opposes international ban on developing 'killer robots'". the Guardian.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15-07-29. Retrieved 2015-07-28.
- ^ Gibbs, Samuel. "Musk, Wozniak and Hawking urge ban on warfare AI and autonomous weapons". the Guardian.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15-07-27. Retrieved 2015-07-28.
- ^ "Musk, Hawking Warn of Artificial Intelligence Weapons". WSJ Blogs - Digits. 2015-07-27.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15-07-28. Retrieved 2015-07-28.
- ^ a b c d e f Nidhi Subbaraman. "Soldiers <3 robots: Military bots get awards, nicknames ... funerals". NBC News.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13-10-06.
외부 링크
![]() | 위키미디어 커먼즈에는 밀리터리 로봇과 관련된 미디어가 있다. |
- "바이오매스 군사로봇 개발 중"
- EATR: 에너지 자립형 전술로봇 - 2단계 프로젝트
윤리적, 법적 문제
- 게르하르트 다브링거(Hg), 에티카 테멘:무인 시스템의 윤리적, 법적 측면.인터뷰, Wien 2010
- Fairleigh Dickinson University PublicMind 여론조사에 따르면, 일부 의문점으로 해외 미국인을 대상으로 하는 것은 불법이라고 말한다 - 2013년 2월 7일
- 전쟁의 미래: 왜 우리 모두가 두려워해야 하는지(2014-07-21) 로리 톨런, 살롱
- 항공전, 지리적 상상 기록 보관소
- 기계 윤리에 대한 논리적 한계, 치명적인 자율 무기에 대한 결과.또한: 중단 문제가 도덕적인 로봇이 없다는 것을 의미하는가?
- 전쟁 중인 로봇: 위험과 윤리의 문제 - 2009년
단체들
- 미합동군사령부 홈페이지 : "미군 변혁 주도"
- irobot.com, PackBot 및 R-Gator 시스템 구축업체
- Boston Dynamics, BigDog의 건축가
뉴스 기사/언론 보도 자료
- USJFC : '향후 전투에 중요한 역할을 할 로봇'
- "폭탄 처리에서 폐기물 처리까지" 웨이백머신 로봇에 보관된 2015-07-09년 위험, 비상 및 재해 대처 지원(국제전기기술위원회, 2011년 7월)
- 데일리, "전쟁 로봇은 여전히 이라크에 있다"테크, 2008년 4월 17일
- 전투에 더 가까이 다가선 새로운 모델 군인들(SWORowling to Battle(SWORDS)
- TALON 소형 모바일 로봇
- TWG 군사 로봇
- 카네기멜론대학의 이라크행 기웃거리는 로봇
- PackBot 전장 로보틱 플랫폼 웨이백머신에 2015-04-05
- 미니어처 무인항공시스템 - 무인항공기
- 과르디움 자율주행차
- 웨이백 머신에 2015-05-01 보관된 이스라엘 무인 지상 시스템
- 하이테크 군사, 적기에
- 새로운 종류의 전쟁을 개시한다.
- Gerry J. Gilmore (January 24, 2006). "Army's Veteran Bomb-Disposal Robot Now 'Packs Heat'". American Forces Press Service. Retrieved 2008-02-02.
- 전쟁이 끝나면서 로봇 필드 재부팅 직면 2012년 4월 11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