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시시피 아이스독스
Mississauga IceDogs미시시피 아이스독스 | |
---|---|
![]() | |
도시 | 온타리오 주 |
리그 | 온타리오 하키 리그 |
회의. | 동부 |
나누기 | 중앙의 |
설립. | 1997년 1월 21일( |
조작 완료 | 1998-2007년 |
홈 아레나 | 허쉬 센터 |
색상 | 빨강, 검정, 흰색 |
프랜차이즈 이력 | |
1998–2007 | 미시시피 아이스독스 |
2007년 ~ 현재 | 나이아가라 아이스독스 |
미시소가 아이스독스는 캐나다 온타리오주 미시소가에 있었던 주니어 아이스하키 팀이다.그들은 1998년부터 2007년까지 온타리오 하키 리그에서 뛰었다.매각이 팀을 세인트루이스로 이전시켰다. 2007-08시즌 온타리오주 캐서린스, 지금은 나이아가라 [1]아이스독스라고 불린다.
역사
1998년부터 2002년까지 아이스독스는 매년 OHL 센트럴 디비전에서 꼴찌를 하며 거의 성공을 거두지 못했다.이 건설 단계에서는 구단주 돈 체리를 포함해 4년간 6명의 감독이 있었다.미시소가는 매년 1차 드래프트를 통해 제이슨 스피자에서 가장 높은 평가를 받는 NHL 유망주 중 한 명을 포함해 올해의 신인 2명을 선발했다.
2002-03시즌, 아이스독스는 센트럴 디비전에서 4위를 차지하며 프랜차이즈 역사상 처음으로 플레이오프에 진출하였으나, 첫 라운드에서 오타와 67과의 5경기 만에 패하였다.
2003-04년은 아이스독스의 최고의 시즌이었다.이 팀은 센트럴 디비전에서 디비전 챔피언 토론토 세인트루이스에 2점 뒤진 2위를 차지했다. 마이클스 메이저스, 동부 컨퍼런스 전체 3위
플레이오프 1회전에서 아이스독스는 오샤와 제너럴스를 7경기에서 꺾고 사상 첫 플레이오프 시리즈를 승리했다.아이스독스는 2라운드에서 배리 콜츠에게 3승 2패로 뒤졌지만 7경기 만에 복귀해 시리즈 우승을 차지했다.그 후 깜짝 아이스도그는 세인트루이스에서 경기를 뒤집었다.동부 콘퍼런스 챔피언십의 마이클스 메이저스는 바비 오르 트로피를 수상하고 온타리오 하키 리그 결승에 진출하기 위해 6경기 만에 출전했다.그 꿈은 OHL 결승에서 4경기 연속 겔프 스톰에게 떨어지면서 허쉬 센터에서 열린 네 번째 경기에서 패하면서 끝났다.
2004-05 시즌은 아이스독스의 또 다른 기록 수립 시즌이었다.그들은 사상 첫 센트럴 디비전 우승을 차지했고 동부 콘퍼런스에서 81점으로 1위를 차지했다.정규시즌의 성공에도 불구하고 아이스독스는 플레이오프 1라운드에서 8번 시드의 세인트루이스에게 역전당했다.마이클스 메이저 5경기 출전.2005-06년, 아이스독스는 재건을 시작했고 다시 플레이오프에 진출하지 못했다.
소유권 변경
2006년 7월 12일 토론토 세인트루이스의 소유주인 유진 멜닉. Michael's Majors와 NHL의 Ottawa Seneters는 미시시피 아이스도그를 구입했다.2006-07 시즌 후, 멜닉은 아이스독스를 매각하고 메이저를 미시소가의 [2]허쉬 센터로 옮겼다.2007년 1월 8일, 토론토 사업가 톰 비토브는 나이아가라 [3]폭포로의 이주를 계획하고 팀을 인수하자고 제안했지만 시의회는 새로운 [4]경기장을 건설하자는 제안을 거절했다.대안으로, 팀은 세인트루이스에 접근했다. 시내 중심부에 있는 잭 게이트클리프 아레나로 팀을 옮긴 것에 대한 카타르시스입니다.세인트캐서린스 시의회는 2007년 4월 23일 임대 계약에 대한 투표를 실시하여 통과시켰다.빌 버크는 아이스독스를 사서 세인트루이스로 팀을 옮겼다.나이아가라 [1]아이스독스로 알려진 2007-08시즌에 맞는 카타르인.아이스독스는 2007년 4월 1일 미시시피에서 마지막 경기를 치렀고, 동부 콘퍼런스 8강 5차전에서 서드베리 울프스에 패했다.
선수권 대회
코치
전 구단주이자 하키 해설자인 도널드 S. 체리는 3년 동안 5명의 감독을 거친 후 2001-02시즌 아이스독스를 감독하기 위해 벤치 뒤로 물러났다.그 팀은 지금까지 최고의 시즌을 보냈지만 플레이오프에는 진출하지 못했다.아이스독스는 그 해 OHL에서 가장 많이 팔린 로드팀 중 하나였는데, 많은 관중들이 돈 체리 코치를 만나고 사인을 받기 위해 경기에 참석했기 때문이다.
- 1998-99 피터 스터전 & 짐 헐턴
- 1999 ~ 2000 J.헐튼, 제프 워드 & 스티브 체리
- 2000–01 릭 바이브
- 2001–02 돈 체리
- 2002–03 스티브 루지크
- 2003-06 그렉 길버트 (3시즌)
- 2006-07 마이크 켈리
플레이어
미시시피 아이스독스는 4년 연속 신인 드래프트 1위를 차지해 신인왕 2명을 배출했으며 총 10명의 졸업생들이 내셔널 하키 리그에서 뛰었다.
수상자
NHL 동문
시즌별 실적
정규 시즌
범례: OTL= 연장전 패배, SL = 승부차기 패배
계절 | 게임. | 수상해 | 잃다 | 묶었다 | OTL | SL | 포인트 | % | 목표들 위해서 | 목표들 그에 반대하여 | 서 있는 |
---|---|---|---|---|---|---|---|---|---|---|---|
1998–99 | 68 | 4 | 61 | 3 | — | — | 16 | 0.118 | 145 | 426 | 제5중부 |
1999–2000 | 68 | 9 | 56 | 1 | 2 | — | 21 | 0.154 | 160 | 346 | 제5중부 |
2000–01 | 68 | 3 | 56 | 7 | 2 | — | 15 | 0.110 | 157 | 380 | 제5중부 |
2001–02 | 68 | 11 | 47 | 6 | 4 | — | 32 | 0.235 | 212 | 327 | 제5중부 |
2002–03 | 68 | 23 | 31 | 11 | 3 | — | 60 | 0.441 | 212 | 231 | 제4중부 |
2003–04 | 68 | 36 | 21 | 7 | 4 | — | 83 | 0.610 | 217 | 199 | 제2센트럴 |
2004–05 | 68 | 34 | 21 | 12 | 1 | — | 81 | 0.596 | 207 | 172 | 제1센트럴 |
2005–06 | 68 | 21 | 40 | — | 5 | 2 | 49 | 0.360 | 192 | 299 | 제5중부 |
2006–07 | 68 | 43 | 21 | — | 0 | 4 | 90 | 0.662 | 326 | 251 | 제2센트럴 |
총 | 612 | 184 | 354 | 47 | 21 | 6 | - | 0.301 | 1828 | 2631 |
플레이오프.
- 1998-99 플레이오프 탈락.
- 1999-2000 플레이오프 탈락.
- 2000-01 플레이오프 탈락.
- 2001-02 플레이오프 탈락.
- 2002-03 콘퍼런스 8강전에서 오타와 67의 4게임 대 1로 패했다.
- 2003-04 콘퍼런스 8강전에서 오샤와 제너럴스를 4승 3패로 꺾었다.
컨퍼런스 준결승에서 배리 콜츠를 4승 3패로 꺾었다.
패배한 세인트루이스마이클의 메이저스는 컨퍼런스 파이널에서 4승 2패를 기록했다.
결승전에서 겔프 스톰에게 4 대 0으로 패했다. - 2004-05 세인트루이스에 패소.마이클의 메이저스는 컨퍼런스 8강전에서 4승 1패로 승리했다.
- 2005-06 플레이오프 탈락.
- 2006-07 컨퍼런스 8강전에서 Sudbury Wolves에게 4 대 1로 패했다.
유니폼 및 로고
아이스독스의 색상은 빨강, 흰색, 검정, 은색이다.이 로고는 돈 체리의 애완견인 불테리어 블루의 이름을 따서 만들어졌다.그것은 아이스독스 이름 위에 단풍잎을 배경으로 으르렁거리는 개를 보여준다.원래 로고(오른쪽 안쪽)는 단풍잎이 구석에 있는 큰 글자 "M" 앞에 빨간 눈을 가진 로봇화된 개처럼 보였다.이 로고는 소유권 변경으로 시즌 5 이후 재설계되었다.
아레나
미시시피 아이스독스는 401, 403, 410번 고속도로가 만나는 곳 근처에 있는 미시시피 북동부의 허쉬 센터에서 홈경기를 했다.허쉬 센터는 2000년에 OHL 올스타전을 주최했다.
- 용량 = 5,196
- 얼음 크기 = 200' x 85'
- 허쉬 센터 - OHL 아레나 & 트래블 가이드
「 」를 참조해 주세요.
레퍼런스
- ^ a b 세인트캐서린스 표준 - 온타리오, 캘리포니아[영구 데드링크]
- ^ [1] 2006년 8월 10일 Wayback Machine에서 아카이브 완료
- ^ http://www.mississauga.com/mi/sports/story/3836022p-4438674c.html[영구 데드링크]
- ^ 노스베이 너겟 - 온타리오, 캘리포니아[영구 데드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