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주리 벨웨더

Missouri bellwether
미주리 주의 위치

미주리주1904년부터 2004년까지 한 번의 미국 대통령 선거(예외 1956년)를 제외하고 모두 미주리주가 당선자를 뽑았다는 점을 주목하는 정치 현상이다. 펜실베이니아, 네바다, 플로리다, 위스콘신 같은 주들이 최근 몇 년간 정치적 추세를 나타내는 거의 틀림없이 더 강력한 지표였지만, 미주리는 20세기 내내 일관된 부동주였다. 2008년 선거에 앞서 미주리주 링컨 카운티는 벨웨더 주의 유일한 벨웨더 카운티였다고 한다.[1] 미주리는 또한 줄기세포[2] 연구와 학교 상품권과 같은 핫버튼 사회적 이슈에 대한 미국의 견해의 전조로 여겨졌다.[3] 일부 경제학자들은 또한 국가가 소비자 신뢰실업과 같은 경제 추세에 대한 전조라고 생각했다.[4]

정치사

1904년부터 2004년까지 미주리주의 선거인단은 언제나 대통령 선거의 승자에게만 돌아갔는데, 단 한 가지 예외는 1956년 드와이트 아이젠하워 대통령의 압도적인 재선 때 미주리주의 일리노이 주지사 애들라이 스티븐슨에게 돌아갔다. 국가가 국민적 합의를 가지고 투표하는 정확성에는 1960년, 1976년, 2000년의 매우 경쟁적인 선거가 포함된다.

2006년, 미주리주의 호전적인 지위는 현직 공화당 상원의원인 짐 탤런트(Jim Talent)와 민주당 주 감사인 클레어 맥카스킬(Claire McCaskill)의 상원의원 경합으로 다시 주목받았는데, 이는 어느 당이 의회를 장악하는 데 필수적인 것으로 여겨졌다.[5][6] 또한, 미주리주는 줄기세포 연구에 대한 전국적인 관심을 이 논쟁적인 이슈에 대한 주류 정서의 지표로 끌어낸 투표권인 미주리 수정안 2호를 가지고 있었다.[7] 2006년 선거일에, 맥카스킬과 수정헌법 2조는 미주리 유권자들 사이에서 가까스로 과반수의 지지를 받았다. 맥카스킬과 다른 다섯 명의 민주당 동료들의 승리로 미국 상원에서 그들의 당이 권력을 되찾을 수 있었다.[8] 미주리주는 2012년 하원의원에 이어 다시 언론의 집중적인 관심을 받았다. 토드 아킨(R, MO-2)은 이른바 '합법적 강간'과 관련해 논란이 되는 발언을 했다. 맥카스킬은 이 발언 이전에 민주당 현역 의원 중 가장 취약한 인물 중 한 명으로 여겨졌으나 2012년 선거에서 거의 16점 차로 승리했다.

2008년 대통령 예비선거에서, 주 정부는 그들의 당의 후보인 존 매케인 (공화당)과 버락 오바마 (민주당)를 계속해서 확보했던 주요 정당 후보들에게 투표했다. 미주리주2016년에도 같은 방식으로 민주당 경선에서 힐러리 클린턴에게 근소한 차이로 표를 던졌는데, 이는 사실상 공화당 경선에서 상대 후보인 버니 샌더스 후보와 동률을 이룬 것이다. 클린턴은 러닝메이트가 주와 상당한 인연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미주리주를 트럼프에게 18%포인트 이상 패했다.

가능한 원인

위치와 인구 통계는 미주리 주의 지위의 원인으로 가장 자주 언급된다. 2004년에 시카고 트리뷴은 미주리를 "미국의 인구통계학적, 경제적, 정치적 구성을 거의 정확하게 반영하는 호전적 국가"[9]라고 불렀다. 미국의 현재 정치구조의 축소판인 미주리주는 세인트루이스의 두 개의 블루 코스트를 가지고 있다. 빨간색 중부와 남부 지역이 있는 루이스와 캔자스 시티(빨간색 주 및 파란색 주 참조).[citation needed]

미래 벨웨더 상태

미주리는 더 이상 영원한 그네 주라고 생각되지 않는다. 1964년 이후, 민주당이 지지한 유일한 세 명의 민주당원은 남부인 린든 B였다. 존슨,[10][11] 지미 카터, 빌 클린턴. 2008년, 미주리주는 민주당 버락 오바마 후보의 상당한 선거인단 승리에도 불구하고, 패배한 공화당 후보 존 매케인 후보에게 근소한 차이로 표를 던졌다. 미주리주는 2012년 미트 롬니 후보를 10%포인트 가까이 낙선시키는 것을 선호했는데, 이는 미국 나머지 지역에서 오바마 후보의 또 다른 의미 있는 승리에도 불구하고 말이다. 2016년2020년 미주리주는 트럼프가 후반기 선거에서 패배했음에도 불구하고 이번에도 도널드 트럼프에게 강력한 공화당 표를 던졌다. 이로써 미주리주가 패배한 공화당을 지지한 것은 네 번의 대통령 선거 중 세 번째가 되었다. 미주리주는 1996년 빌 클린턴 이후 민주당 후보가 3차례 당선됐음에도 불구하고 지지하지 않고 있다.

미주리 주의 지난 29대 대통령 선거의 정확도는 현재 89.66%이다. 이 비율은 1944년, 1960년, 2020년을 제외하고 1896년 이후 모든 대선의 승자에게 투표해 온 오하이오 주와 동등한 수준이다. 네바다주는 1976년2016년 두 가지 예외만 제외하고 1912년 이후 모든 대통령 선거의 승자가 차지하고 있다. 뉴멕시코는 1976년, 2000년, 2016년을 제외하고 1912년 주정부 수립 이후 모든 대통령 선거의 승자에게 투표했다.

미주리 주의 다른 지역과 같은 영향을 끼치지 않은 더 중요한 국가적 현상 중 하나는 이민자, 특히 라틴 아메리카계 이민자들의 유입이다. 최근 분석가들과 언론인들은 오하이오,[12] 뉴멕시코,[13] 펜실베니아와 같은 주들을 보다 정확한 정치문화적 종달새로 지목해 왔다.[14]

또한 21세기 미주리 주의 유권자들은 20세기보다 훨씬 덜 도시화되었다. 1900년, 성(聖)의 총인구가 되었다. 루이스(57만5238명)와 캔자스시티(16만3752명)는 미주리 주 인구(310만665명)의 24%를 차지했고, 1950년에는 세인트루이스 주 인구까지 합쳤다. 루이스(85만6796명)와 캔자스시티(45만6622명)는 주 인구(395만4653명)의 33%로 성장했다. 그러나 얼마 지나지 않아 세인트루이스의 인구. 루이스는 급격한 하락을 시작했지만 캔자스시티의 하락은 거의 정적에 가까운 상태로 남아 있어 현재 주는 대체로 보수적인 시골, 교외, 소도시 유권자들이 주를 장악하고 있다.2000년까지 성인의 총인구는 다음과 같다. 루이스(34만8189명)와 캔자스시티(44만1545명)는 미주리(559만5211명) 인구의 14%로 줄었다.

이 시프트는 세인트의 작은 지리적 크기의 직접적인 산물이다. 1876년 경계를 허문 루이스 시티는 주요 도시 중심지들 사이에서 거의 독특하다. 인구일 루이스 카운티는 이러한 수치에 포함되는데, 미주리 주의 주요 대도시 거주자 대 시골 거주자 비율이 미국 전체와 밀접하게 일치한다.

Slate 칼럼니스트 Chris Suellentrop은 현재 주가 "기상증자일 뿐"이라고 말했다. 그것은 나라를 흔들지 않고, 나라를 흔들지 않는다..." 그리고 미주리주는 다음 새로운 트렌드가 어떻게 될 것인가보다 하나의 트렌드가 주류인가를 더 잘 보여주는 지표다.[15]

참고 항목

참조

각주

  1. ^ 미주리 벨웨더 카운티 미정 선거, NPR 웹사이트 2008년 10월 17일자 기사
  2. ^ Stltoday.com 줄기세포 대결참여하는 교회 2006-08-21 웨이백 머신보관
  3. ^ "The Heritage Foundation".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06-08-24. Retrieved 2006-08-20.
  4. ^ 비즈니스 관점 미주리 경제: 개요[데드링크]
  5. ^ 벨웨더 주(州)로 보이는 미주리 주의 취약한 상원의원을 돕기 위해워싱턴 포스트 대통령
  6. ^ 미주리주 2단계 보도 미주리 2단계
  7. ^ 2006년 투표에서 팸 솔로와 게일 프레스버그 줄기세포연구가 주요 이슈를 석권하다
  8. ^ 마이클 가웬다 아메리카가 변화를 위해 투표하다
  9. ^ Witt, Howard (November 3, 2004). "Bush leads in bellwether state". Chicago Tribune. Retrieved June 24, 2012.
  10. ^ Shesgreen, Deirdre (June 24, 2012). "Missouri slips from political bellwether status this fall". USA Today. Retrieved June 24, 2012.
  11. ^ Weigel, David (October 3, 2012). "Swung State". Slate. Retrieved July 19, 2015.
  12. ^ 폭스뉴스 오하이오 특별선거가 '06년 벨웨더'가 될 도 있다
  13. ^ CNN 쇼올드 스테이트스: 뉴멕시코
  14. ^ Franklin & Marshall 펜실베니아 패러독스 2006-09-03 웨이백 머신보관
  15. ^ 스윙어즈: 미주리 주의 안내서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