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바일 IPTV
Mobile IPTV![]() |
모바일 IPTV는 사용자가 IP 기반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영상·오디오·텍스트·그래픽 서비스를 포함한 멀티미디어 트래픽을 송수신할 수 있는 기술로 서비스 품질, 경험 품질, 보안, 이동성, 대화형 기능 등을 지원한다. 모바일 IPTV를 통해 사용자는 모바일 기기를 이용해 IPTV 서비스를 볼 수 있다.
기술적 접근 방식
모바일 TV 플러스 IP
이 접근방식은 기존의 디지털 방송망을 사용하여 IP 기반 오디오, 비디오, 그래픽 및 기타 광대역 데이터 서비스를 모바일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셀룰러 네트워크와 같은 광역 무선 네트워크가 통합되어 상호작용성을 지원한다. 이 접근방식의 활동은 디지털비디오방송(DVB)-CBMS(방송과 모바일 서비스의 융합)와 월드DMB를 포함한다. 또한, DVB-IPI(IPI: IP Infrastructure)는 IP 네트워킹을 통해 모바일 기기로 및 모바일 기기를 통해 오디오/비디오 서비스를 전달할 수 있는 개방형 DVB 표준이다. DVB-CBMS는 DVB-H를 통해 양방향 이동 IP 기반 방송 프로토콜 규격을 개발하고 있다. DVB-CBMS는 이미 1단계를 완료했으며 현재 2단계에서 작업 중이다. 월드DAB 포럼은 IP 기반 서비스를 지원하기 위해 유레카 147을 강화·확장하고 있다.
Eureka 147은 원래 디지털 라디오 어플리케이션용으로 개발되었고 비디오 서비스를 지원하도록 확장되었다. 이 접근법이 기술적으로 모바일 IPTV로 분류되더라도, 방송망의 이용은 IP의 개성을 상실할 수 있다.
IPTV + 모바일
IPTV 서비스는 당초 셋톱박스 등 고정 단말기를 대상으로 했지만, FMC(Fixed-Mobile Convergence) 트렌드의 후원으로 이동성 지원 요건 문제가 아웃 성장으로 제기됐다. 뛰어난 활동은 미국의 ATIS, 오픈 IPTV 포럼, 국제적으로 ITU-T FG IPTV이다. 모바일 IPTV 사양 개발은 초기 단계에 있다. 현재 ITU-T FG IPTV는 이동성과 무선특성에 관한 요구사항을 수집하고 있다. ATIS는 아직 모빌리티 지원에 관심을 보이지 않고 있다. 오픈 IPTV 포럼에서는 모바일 사용자에게 IP 멀티미디어를 전달하기 위한 3GPP의 사양 집합인 IP 멀티미디어 서브시스템(IMS)을 기반으로 한 모빌리티 서비스가 전면 출시된다.
무선 전화의
OMA(Open Mobile Alliance) BCAST는 IP 기반 모바일 방송 네트워크를 위해 일하고 있다. 그것의 목표는 모바일 방송을 위한 엔드투엔드 프레임워크를 정의하고 필요한 지원자 집합을 컴파일하는 것이다. 그것의 특징은 베어러 불가지론적이며, 이는 모든 방송 유통망이 그것의 전송 수단으로 채택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나 OMA BCAST는 현재까지 이동단말기에만 적용가능하며, 2단계에서 고정단말기에 적용할 수 있도록 사양을 확대하는 것에 관심을 보이고 있다.
인터넷
인터넷 비디오 서비스는 보통 인터넷 TV 또는 웹 TV라고 불린다. 이 접근방식은 누구나 콘텐츠 제공자, 서비스 제공자 또는 소비자가 될 수 있다. 최상의 서비스 모델을 기반으로 하기 때문에 서비스 품질이 보장되지 않는다.
기술적 장애물
모바일 IPTV는 기기당 최소 1개의 무선 인터페이스가 있다. IPTV 서비스의 특성상 최소 2~3Mbit/s의 대역폭이 제공되어야 하며,[citation needed] 4G 무선 네트워크 서비스가 널리 보급될 때까지 무선 링크 대역폭은 일반적으로 고화질 및 초고화질 텔레비전 화질 비디오 서비스를 수용할 만큼 충분히 넓지 않다.
모바일 IPTV는 소스(예: 스트리밍 미디어 서버)와 목적지(예: 모바일 단말기) 사이에 적어도 하나의 무선 링크를 가정하기 때문에 무선 링크의 사용과 관련된 기술적 장애물이 존재한다.
대부분의 모바일 단말기는 데스크탑 PC에 비해 작은 디스플레이, 저전력 프로세서, 제한된 저장 공간을 가지고 있다.
이동 단말기가 정지해 있어도 이동 단말 주변의 장애물이 수신 신호에 영향을 미쳐 패킷 손실이 발생할 수 있다. 무선 링크를 통해 전달되는 패킷은 섀도잉, 고속/저속 페이딩 등 다양한 신호 저하에 노출된다.
현재 '사각지대'가 없는 모든 지리적 지역을 커버하기 위해 무선 네트워크를 구축할 수 없기 때문에 일부 지역에서는 서비스가 제한되고 있다. 단, 수직적 인수인계(다른 네트워크 간 인수인계)를 채택함으로써 커버리지 문제를 완화할 수 있다.
무선 링크의 특성은 다양한 원인에 의해 달라질 수 있으며, 변화 속도는 매우 갑작스러울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직 인도는 소스와 싱크 사이의 경로, 대역폭, 물리적 MAC 주소, IP 주소를 빠르게 변경할 수 있다. 따라서 상대적으로 정적인 유선 컴퓨터 네트워크 환경을 위해 고안된 일부 해결책이 제대로 작동하지 않을 수도 있다.
미들웨어
미들웨어를 구축함으로써, 서비스 제공자는 IPTV 서비스의 사용을 원격으로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미들웨어는 IPTV 서비스를 다른 플랫폼에 적응시키는 투명한 방법의 역할을 한다. 지금까지 셋톱박스에 대해 잘 알려진 미들웨어 애플리케이션은 몇 가지 있지만, 너무 커서 모바일 기기에서 구현할 수 없다.
참고 항목
참조
관련 출판물
- 박수홍과 정성호, "이동 IPTV: 접근, 도전, 표준 및 QoS 지원", IEEE 인터넷 컴퓨팅, 13권, 이슈 3, 페이지 23–31, 2009년 5-6월
- 박수홍, 정성호, 황철주, 모바일 IPTV, IPTV의 가치 확대, 제7회 네트워킹 국제회의, 페이지 296~301, 2008. (DOI 10.1109/ICN 2008.8)
- 수홍공원, 황철주, 엘알. 비 NGN을 위한 모바일 IPTV 요구사항, TTA 기술보고서(TTAR-08.0001) 2008년 2월
- 자마, 나와 아흐메드. T, 모바일 IPTV 서비스 제공을 위한 DVBT와 WLAN의 교차 계층 연동, IEEE 방송거래, Vol. 53, 1번, 페이지 382–390, 2007
- Mushtaq, Mubashar; Ahmed, Toufik, P2P 기반 모바일 IPTV: 도전과 기회, 컴퓨터 시스템 및 애플리케이션, 2008. AICCSA 2008. 2008년 3월 31일 – 2008년 4월 4일 IEEE/ACS 국제 컨퍼런스:975 - 980(DOI 10.1109/AICCSA.28.449363)
- 칼슨. C와 월든. P, Mobile TV – 컨텐츠에 의한 살거나 죽거나, IEEE 40회 연례 시스템 과학 하와이 국제 회의, 페이지 51–60, 2007
- J. She, F. Hou, P.-H. Ho, L.–L. Xie, "IPTV over WiMAX: 주요 성공 요인, 도전 및 해결책", IEEE 커뮤니케이션 매거진, 제45권, 제8권, 페이지 87–93, 2007년 8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