캄보디아의 군주국
Monarchy of Cambodia캄보디아의 군주제는 캄보디아 왕국의 국가 원수다. 현대에 있어서 왕의 권력은 상징적인 인물의 권력에 한정되어 있다. 군주제는 1970년에서 1993년까지 폐지된 것을 제외하고 적어도 서기 68년부터 존재해왔다. 1993년 이후 캄보디아의 왕은 선출된 군주로서 캄보디아를 세계에서 몇 안 되는 선출 군주국 중 하나로 만들었다. 국왕은 여러 고위 정치인과 종교인으로 구성된 왕실평의회에서 30세 이상의 앙두옹 왕의 남자 후손 중에서 종신토록 선출된다.
역할
1993년 공포된 캄보디아의 헌법은 왕의 역할을 주로 의례적인 것으로 규정했다. 국왕은 "통치는 하되 통치하지는 말라"[1]고 선언했을 뿐 아니라 "국민통합과 연속성의 상징"[2]이라고 했다.
왕은 헌법이 요구하는 국가의 중요한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에는 다음이 포함되지만 이에 국한되지는 않는다.
- 캄보디아 총리와 내각 임명.[3]
- 캄보디아 국회와 캄보디아 상원 등 두 입법기관의 개원을 놓고 소집.[4][5]
- 캄보디아 왕립군 최고사령관을 역임함.[6]
- 국왕이 국정현안을 보고받는 월례로 수상을 만난다.[7]
- 입법부에 의해 제정된 법률과 내각에 의해 제안된 법률에 효력을 부여하는 왕실 강령/결정에 서명하는 것.[8]
- 국가 기관의 기능을 가능하게 하는 "최고 결정권자"의 역할을 한다.[9]
- 대사로부터 신임장을 받는 것.[10]
- 감형 및 사면권 보유.[11]
- 치안 최고 위원회를 주재한다.[12][13]
- 상·헌재[14][15] 등 국가기관에서 활동할 정수의원 임명
- 국가 명예의 수여.[16]
그 왕은 또 예를 들어, 국가 significance[17]의 종교적인 의식과 전통이 크메르 nation,[18]와 자선 인도 주의적 causes,[19]에 대한 지원을 적분과 해외 캄보디아를 대표할 때 u. 등을 관장하는 것의 자격으로 국가 수반으로서의 다른 역할 명시적으로 헌법에서 언급되지 않은 것을 충족한다발음하는 ondertaking유익한 해외 [20]방문 과거에 여성 통치자가 있었지만, 1993년 헌법은 현재 여성이 왕위에 오르는 것을 금지하고 있다.[21]
궁중부
현재 공삼올 장관이 추밀자문회의와 함께 감독하고 있는 궁중부는 왕의 이복형인 노로돔 라나리드 왕자가 왕을 보좌하고 이에 따라 군주로서의 직무를 수행하도록 조언한다.
신화사
캄보디아(68-1431)
푸난 (68–627)
주문 | 모나크 | 외국 텍스트의 이름 | 군림하다 |
---|---|---|---|
01 | 소마왕후 | 리제 (전통 크메르 콜: 냐크) | 68-1996년 1세기 |
02 | 카우딘야 1세 | 혼티안 (전통 크메르 콜: 프레아 통) | 1세기 후반 |
03 | 알 수 없는 | 알 수 없는 | 2세기 후반 |
04 | 헌판황 | 흐엉판쿠아앙 | 2세기 말엽 |
05 | 판판 | 혼판판판 | 198-201 |
06 | 스레이 메아라 | 반슈만 또는 반슈완 | 201–225 |
07 | 알 수 없는 | 반준성 | 225 |
08 | 알 수 없는 | 반잔 | 225-244 |
09 | 알 수 없는 | 판장 | 244 |
10 | 알 수 없는 | 반순 | 244-289 |
11 | 알 수 없는 | 알 수 없는 | 289-357 |
12 | 알 수 없는 | 톈주전탄 | 357-410 |
13 | 카운디냐 2세 | 차오첸루 | 410-434 |
14 | 스린드라바르만 1세 | 칠리투아바모 | 434–435 |
15 | 알 수 없는 | 알 수 없는 | 435-438? |
16 | 알 수 없는 | 알 수 없는 | 438?-484 |
17 | 자야바르만 카운디냐 | 셰이바모 | 484–514 |
18 | 루드라바르만 | 류투아바모 | 514–550 |
푸난-첸라 전쟁: 550–627 | |||
19 | 피라크바르만 1세 | 알 수 없는 | 550-600 |
20 | 멘터락트바르만 1세 | 알 수 없는 | 600–615 |
21 | 엔터락트바르만 1세 | 알 수 없는 | 615-627 |
첸라(550-802)
크메르 제국(802–1431)
주문 | 모나크 | 개인 이름 | 군림하다 |
---|---|---|---|
28 | 자야바르만 2세 | 자야바르만 | 802–835 |
29 | 자야바르만 3세 | 자야바손 | 835–877 |
30 | 인드라바르만 1세 | 인드라바르만 | 877–889 |
31 | 야소바르만 1세 | 야소바스턴 | 889–900 |
32 | 하르샤바르만 1세 | 하르샤바르만 | 900–925 |
33 | 이샤나바르만 2세 | 이사나바르만 | 925–928 |
34 | 자야바르만 4세 | 자야바르만 | 928–941 |
35 | 하르샤바르만 2세 | 하르샤바르만 | 941–944 |
36 | 라젠드라바르만 1세 | 라제드라바르만 | 944–968 |
37 | 자야바르만 5세 | 자야바르만 | 968–1001 |
38 | 우다야디티타바르만 1세 | 우다야디티타바르만 | 1002 |
39 | 자야비라흐바르만 | 자야비라흐바르만 | 1002–1006 |
40 | 수리아바르만 1세 | 수리아바르만 | 1006–1050 |
41 | 우다야디티타바르만 2세 | 우다야디티타바르만 | 1050–1066 |
42 | 하르샤바르만 3세 | 하르샤바르만 | 1066–1080 |
43 | 니파틴드라바르만 | 니파틴드라바르만 | 1080–1113 |
44 | 자야바르만 6세 | 자야바르만 | 1080–1107 |
45 | 다라닌드라바르만 1세 | 다라닌드라바르만 | 1107–1113 |
46 | 수리아바르만 2세 | 수리아바르만 | 1113–1150 |
47 | 다라닌드라바르만 2세 | 다라닌드라바르만 | 1150–1156 |
48 | 야소바르만 2세 | 야소바르만 | 1156–1165 |
49 | 트라이부바나디티타바르만 | 트라이부바나디티타바르만 | 1165–1177 |
참침략: 1177–1181 | |||
50 | 자야바르만 7세 | 자야바톤 | 1181–1218 |
51 | 인드라바르만 2세 | 인드라바르만 | 1218–1243 |
최초의 태국 주요 왕국은 1238년 수코타이에서 포쿤시 인타라싯에 의해 인드라바르만 통치 기간 동안 만들어졌는데, 이 지역은 이전에 라보가 앙코르에게 종속되어 통치했던 지역이었다. | |||
52 | 자야바르만 8세 | 자야바르만 | 1243–1295 |
53 | 인드라바르만 3세 | 스레이 인드라바르만 | 1295–1307 |
54 | 인드라자야바르만 | 스레이 자야바르만 | 1307–1327 |
55 | 자야바르만 9세 | 자야바마 보롬메스바라 / 자야바르만 파라메슈하라 | 1327–1336 |
56 | 트라삭 파엠 | 최폰헤아 | 1336–1340 |
57 | 니페스 배트 | 포네아 크레악 | 1340–1346 |
58 | 시테안 레체아 | 시단타 라자 | 1346–1347 |
59 | 롬펑 레체아 | 트로석 펙 또는 폰헤아 최이 또는 스리람팡 파라마라자 | 1347–1352 |
샴 침공: 1352–1357 | |||
60 | 바사트 | 바크라사트 | 1356–1359 |
61 | 소랴봉 | 소랴봉 | 1357–1363 |
62 | 보롬 레체아 1세 | 보로마라마 | 1363–1373 |
63 | 솜마사옥 | 솜마사옥 | 1373–1393 |
샴 침공: 1393년(5개월). | |||
64 | 인 레체아 | 나코닌 | 1394-1421 |
65 | 페네아 프레크 | 알 수 없는 이름 | 1421 |
66 | 바롬 레체아 2세 | 포네아 야트 | 1405–1431 |
중기(1431–1863)
차크토무크 시대 (1431년–1525년)
이름 | 초상화 | 개인 이름 | 군림하다 |
---|---|---|---|
포네아 야트 ពញាយ៉ាត | 포네아 야트 ពញាយ៉ាត | 1431–1463 | |
노레이 레이마티프테이 នរាយ រាមាធិបតី | 노레이 레체아 នរាយណ៍រាជាទី១ទ | 1463–1469 | |
레체아 레이마팁타이 រាជា រាមាធិបតី | 스레이 레체아 ស្រីរាជា | 1469–1475 | |
스레이 소리요티 2세 ស្រីសុរិយោទ័យទី២ | 라자드히라하 | 1472–1475 | |
톰모 레체아 1세 ធម្មោ រាជា ទី១ | 다르마라자드히라하 | 1476–1504 | |
스레이 수콘토르 ស្រីសុគន្ធធោ | 담크하트 수콘토르 | 1504–1512 |
캄보디아 내전: 찬 라자와 스데치 간 전쟁: 1516–1525
សម័យកាលសង្គ្រាមស៊ីវិលរវាង ចន្ទរាជា និង ស្តេចកន ពីឆ្នាំ ១៥១៦ ដល់ ១៥២៥
롱벡 시대 (1525–1594)
스레이 산토르 시대 (1594–1620)
우동시대, 캄보디아 중세, 1620–1863)
이름 | 초상화 | 개인 이름 | 군림하다 | ||
---|---|---|---|---|---|
최체타 2세 ជ័យជេដ្ឋាទី២ | 1618–1628 | ||||
오테이 레체아 1세 ឧទ័យរាជាទី១ | 아웃티 ឧទ័យ | 1628–1642 | |||
톰모 레체아 2세 ស្រីធម្មរាជាទី២ | 포네아 토 ពញាតូ | 1628–1631 | |||
앙통 레체아 អង្គទងរាជា | 포네아 누 ពញានូ | 1631–1640 | |||
바톰 레체아 បទុមរាជា | 앙 논 អង្គនន់ | 1640–1642 | |||
레이마십타이 1세 រាមាធិបតីទី១ | 포네아 찬 ពញាចន្ទ | 1642–1658 | |||
바롬 레체아 5세 បុរមរាជា ទី៥ | 앙소 អង្គសូរ | 1658–1672 | |||
최체타 3세 ជ័យជេដ្ឋា ទី៣ | 1672–1673 | ||||
프레아 케오 2세 ព្រះកែវហ៊្វាទី២ | 앙치 អង្គជី | 1673–1674 | |||
바톰 레체아 3세 បទុមរាជាទី៣ | 앙난 | 1674 | |||
최체타 4세 ជ័យជេដ្ឋា ទី៤ | 앙소르 | 1675 – 1695, 1696 – 1699, 1700 – 1702 및 1703 – 1706 | |||
아우티 1세 ឧទ័យទី១ | 앙융 អង្គយ៉ង | 1695–1696 | |||
바롬 레이마팁타이 បរម រាមាធិបតី | 앙엠 | 1699-1700 및 1710 – 1722 | |||
톰모 레체아 3세 សេដ្ឋា ទី២ | 앙탐 | 1702 – 1703, 1706 – 1709 및 1736 – 1747 | |||
사타 2세 សេដ្ឋា ទី២ | 앙최 អង្គជ័យ | 1722-1736년 및 1749년 | |||
톰모 레체아 4세 ស្រីធម្មរាជា | 앙엠 អង្គឯម | 1747 | |||
레이마팁타이 3세 រាមាធិបតីទី៣ | 앙통 អង្គទង | 1748 – 1749, 1755 – 1758 | |||
최체타 5세 ជ័យជេដ្ឋា ទី៥ | 앙성궁 អង្គស្ងួន | 1749–1755 | |||
오테이 레체아 2세 ឧទ័យរាជា ទី២ | 앙톤 អង្គតន់ | 1758–1775 | |||
레암 레체아 ព្រះរាមរាជា | 앙 논 2 អង្គនន់ទី ២ | 1775–1779 | |||
네레이 레체아 3세 នារាយណ៍រាជាទី ៣ ។ | 앙엥 អង្គអេង | 1779 – 1782, 1794 – 1796 | |||
섭정, 앙찬이 미성년자: 1796 – 1806 | |||||
오테이 레체아 3세 ឧទ័យរាជា ទី៣ | 앙찬 អង្គចន្ទ | 1806–1834 | |||
앙 메이 អង្គម៉ី | 캣 트레이 | 1834–1841 | |||
하리하크 레메아 이사라팁타이 ហរិរក្សរាមាឥស្សរាធិបតី | 앙궁 អង្គដួង | 1841–1860 |
[필요하다]
모던 캄보디아 (1860–현재)
캄보디아의 프랑스 보호국(1863~1953)
이름 | 초상화 | 집 | 출생 | 죽음 | 전임자와의 관계 |
---|---|---|---|---|---|
노로돔 프롬바리락 ព្រះនរោត្ដម ព្រហ្មបរិរក្ស 1860년 10월 19일 – 1904년 4월 24일 (43년, 188일) | 노로돔 | 1834년 2월 3일 앙코르 보레이 | 1904년 4월 24일 프놈펜 나이 : 70세, 81일 | 앙두옹의 아들 | |
시소왓참차크라퐁 ស៊ីសុវត្ថិ ចមចក្រពង្ស 1904년 4월 27일 – 1927년 8월 9일 (23년, 104일) | 시소왓 | 1840년 9월 7일 몽콜보리 | 1927년 8월 9일 프놈펜 연령: 86세, 336일 | 노로돔의 이복동생 | |
시소왓 모니봉 ស៊ីសុវត្ថិ មុនីវង្ស 1927년 8월 9일 – 1941년 4월 23일 (13년, 257일) | 시소왓 | 1875년 12월 27일 프놈펜 | 1941년 4월 23일 캄포트 나이 : 65세, 117일 | 시소왓의 아들 | |
노로돔 시아누크 바르만[22] នរោត្តម សីហនុ វរ្ម័ន 1941년 4월 24일 – 1955년 3월 2일 (13년, 312일) | 노로돔 | 1922년 10월 31일 프놈펜 | 2012년 10월 15일 베이징 나이:89세, 350일 | 시소왓 모니봉의 외손자 |
캄보디아 제1왕국 (1953–1970)
이름 | 초상화 | 집 | 출생 | 죽음 | 전임자와의 관계 |
---|---|---|---|---|---|
노로돔 수라마릿 នរោត្តម សុរាម្រិត 1955년 3월 3일 – 1960년 4월 3일 (5년, 31일) | 노로돔 | 1896년 3월 6일 프놈펜 | 1960년 4월 3일 프놈펜 나이 : 64세, 28일 | 노로돔 시아누크의 아버지 | |
시소왓 모니봉 코사막 니어티라스 세레이바타나 ស៊ីសុវត្ថិមុនីវង្ស កុសុមៈនារីរ័ត្នសេរីវឌ្ឍនា 1960년 6월 20일 – 1970년 10월 9일 (10년, 111일) [a] | 노로돔 시소왓 | 1904년 4월 9일 프놈펜 | 1975년 4월 27일 베이징 나이: 71세, 18일 | 노로돔 수라마릿의 군주 배우자 |
캄보디아 제2왕국 (1993년–현재)
왕실의 상징들
참고 항목
메모들
인용구
- ^ 캄보디아 왕국 헌법 제2장 제7조
- ^ 캄보디아 왕국 헌법 제2장 제8조
- ^ 캄보디아 왕국 헌법 제1장 제119조
- ^ 캄보디아 왕국 헌법 제7장 제82조
- ^ 캄보디아 왕국 헌법 제8장 제106조
- ^ 캄보디아 왕국 헌법 제2장 제23조
- ^ 캄보디아 왕국 헌법 제2장 제20조
- ^ 캄보디아 왕국 헌법 제2장 제26조 및 제28조.
- ^ 캄보디아 왕국 헌법 제2장 제9조
- ^ 캄보디아 왕국 헌법 제2장 제25조
- ^ 캄보디아 왕국 헌법 제2장 제27조
- ^ 캄보디아 왕국 헌법 제2장 제21조
- ^ 캄보디아 왕국 헌법 제134조.
- ^ 캄보디아 왕국 헌법 제8장 제100조
- ^ 캄보디아 왕국 헌법 제137조 제1장.
- ^ 캄보디아 왕국 헌법 제2장 제29조
- ^ "캄보디아 왕,......"
- ^ "캄보디아 마크는..."
- ^ "100만 달러의 왕실 선물...."
- ^ GB타임즈 "시 주석이 베이징에서 캄보디아 국왕을 만나다"
- ^ Jeldres, Julio A. (2 April 1999). "Cambodia's Monarchy: The search for the successor". The Phnom Penh Post.
- ^ "Constitution of Cambodia 1947" (PDF). 6 May 1947. Retrieved 27 July 2021.
- ^ "Cambodian Queen is Dead in Peking". The New York Times. 28 April 1975. Retrieved 23 June 2020.
참조
- 크메르 타임즈의 "칸타 보파에게 100만 달러의 왕실 선물"
- 신화네에서 "캄보디아는 왕실 쟁기행렬로 농번기의 시작을 알린다"
- 신후아넷에서 매년 열리는 물 축제에서 캄보디안 왕
- "The Constitution of the Kingdom of Cambodia" (PDF). World Intellectual Property Organization.
- GB타임즈 "시 주석이 베이징에서 캄보디아 국왕을 만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