몬트라헤트

Montrachet
아래 몬트라체트, 바로 저 너머 바타르 몬트라체트의 넝쿨을 내려다보고 있다. 퓰리니몬트라체트 마을은 저 멀리 있다.

몬트라셰트(Mon-rashay; 프랑스어 발음: [mɔ̃ʁaʃɛ])부르고뉴Côte de Beaune 하위구역에서 샤도네이로 만든 백포도주호칭 도원 콘트라클레(AOC)와 그랜드 크루 포도밭이다. 샤샤뉴몬트라체트(Chassagne-Montrachet)와 퓰리니-몬트라체트(Puligny-Montracet)의 두 공동체의 경계를 가로지르며, 많은 사람들이 세계에서 가장 건조한 백포도주로 여기는 것을 생산한다.[1] 그곳은 네 개의 다른 그랜드 크루 포도밭에 둘러싸여 있는데 모두 "몬트라체트"를 그들 이름의 일부로 가지고 있다. 몬트라체트 자체는 일반적으로 네 곳의 그랜드 크루 이웃보다 우월한 것으로 여겨지고 있으며, 이는 그 높은 가격에 반영되고 있다.

몬트라체트는 Côte de Beaune의 남쪽에 위치해 있는데, Côte d'Or의 남반부인데, 이는 다시 부르고뉴의 하위 지역을 생산하는 여러 와인 중 가장 중요한 와인이다.

몬트라체트 포도원은 거의 똑같이 퓰리그니 몬트라체트와 샤샤뉴 몬트라체트 사이에 있다. 이 두 호칭은 관례대로 가장 유명한 포도원(이 경우 공유된 포도원)의 이름을 본촌의 이름에 붙인다. 샤사뉴 쪽에서 온 포도주는 보통 르 몽트라체트(Le Montrachet)로 알려져 있고, 퓰리니 쪽에서 온 포도주는 몬트라체트(Montrachet)로 알려져 있다.

역사

AD 92년 로마 황제 도미티안은 이탈리아 밖에 새로운 포도나무를 심는 것을 금지했다. 실제로 부르고뉴의 덩굴 중 일부는 경쟁을 줄이기 위해 뜯겨 나갔다. 그 덩굴은 그 지역의 필요를 충족시켰다. 그 칙령은 AD 280년에 무효화되었다. 몬트라체트 포도원은 중세시대에 처음 심어졌다. 설립 연대는 알 수 없으나, 1252년 《몬트 라차즈》의 피에르와 아르노레 드 풀리니 영재 와인은 마이지에르 수도원[fr]에 출품되었다.[2]

19세기 동안 몬트라체트는 부르고뉴와 함께 포도밭 질병의 연속으로 황폐화되었다. 19세기 중반에 오이디움이 일어났다. 19세기 말에 필록세라는 타격을 입었고, 결국 유럽식 덩굴이 미국 육수에 접목됨으로써 극복되었다.

호칭 제어 시스템은 1935년 부르고뉴에서 도입되었다. 몬트라체트와 바타르-몬트라체트(아래 참조)는 둘 다 1937년 AOC 그랜드스 십자군으로 인정받았다.

생산

2008년에는 AOC 내에서 포도밭 표면의 7.99헥타르(19.7에이커)가 생산되었고,[3] 와인 생산량은 349헥톨리트르(9,200 US gal, 7,700imp gal)로 4만7,000병 미만에 불과했다.

AOC 규정

몬트라체트의 와인은 피노 블랑의 최대 15%를 추가할 수 있는 다른 화이트 부르고뉴 와인과 달리 거의 전적으로 샤도네이로 구성되어 있다. 이것들은 대부분의 프랑스 와인과 마찬가지로 포도 품종보다는 원산지로 언급된다. 몬트라체트의 허용 기준 수확량은 헥타르당 40헥톨리터, 최소 포도 성숙도는 12.0% 잠재 알코올이다.[4]

프로듀서

2007년 10월 현재 18명의 소유자와 26명의 생산자가 있었다(소유자는 서로 다른 분과를 소유하거나 다른 생산자에게 임대할 수 있다). 가장 큰 소유자는 조셉 드루힌에게 분부를 임대하는 데 라구이체 가문(1200년부터 귀족 가문)이다. 가장 높은 가격은 일반적으로 0.67헥타르(1.7에이커)를 소유하고 있으며 연간 약 3,000병을 생산하는 도메네 드 라 로마네 콘티가 생산하는 몬트라체트에 부과된다.

부분할의 마지막 매각은 1993년 크레딧 폰시에르 은행(Chédit Fontcier 은행(Chatau de Puligny의 소유주)이 428m2(4606평방피트)를 50만 유로 이상에 사들였을 때 일어났다.

몬트라체 와인은 세계에서 가장 비싼 마른 백포도주로 가격은 75 cl병당 150유로에서 2500유로까지 다양하다. 가격은 생산자의 평판(부르건디에서는 포도밭이 여러 재배농가에 나뉘어 질적으로 상당한 편차가 있을 수 있다)과 빈티지(빈티지)에 따라 달라진다.

몬트라체트와 그 주변국들

Four additional Grand Cru vineyards lie alongside Montrachet and incorporate its name as part of their own; these are Chevalier-Montrachet, which is situated immediately above Montrachet on the slope, Bâtard-Montrachet, which is situated immediately below Montrachet and is separated from it by the Route des Grands Crus, Bienvenues-Bâtard-Montrachet는 바타드-몽트라체트 바로 너머, 퓰리그니-몽트라체트 방향, 그리고 샤사뉴-몽트라체트 방향의 바타드-몽트라체트 바로 옆에 위치한 크리오츠-바타드-몽트라체트에 위치한다. 체발리에-몬트라체트와 비엔날레-바타르-몬트라체트는 전적으로 풀리니-몬트라체트 공동체에 있다. 크리오츠 바타르트 몬트라체트는 전적으로 샤샤뉴 몬트라체트 안에 있다. 바타르-몬트라체트는 몬트라체트 자체와 마찬가지로 두 마을 사이에 갈라져 있다.

그랜드 크루 상관적 위치 포도밭 표면(2007)[5] 평균생산(2003-2007)[5]
몬트라헤트 중앙 7.99헥타르(19.7에이커) 310 hl
바타르몬트라체트 동쪽 11.09헥타르(27.4에이커) 502 hl
체발리에몬트라체트 서쪽 7.08헥타르(17.5에이커) 305 hl
비엔벤투스바타르몬트라체트 북동쪽 3.70헥타르(9.1에이커) 163 hl
크리오스바타르몬트라체트 남쪽 1.57헥타르(3.9에이커) 73 hl

참고 항목

참조

  1. ^ 와인 닥터: 코테 드 뵈네
  2. ^ Jasper Morris MW, Inside Burgundy, Berry Broers and Rudd Press, 2010, 페이지 415
  3. ^ BIVB: 2009년 11월 4일 접속된 Les 호칭 D'Origin Controlleée de Bourgogone
  4. ^ AOC 규정, 1998년 마지막 업데이트
  5. ^ a b 2009년 12월 2일에 접속된 BIVB 페이시

좌표: 46°56′40″N 4°44′16″E / 46.9444°N 4.73778°E / 46.94444; 4.7377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