몬트로즈(밴드)
Montrose (band)몬트로즈 | |
---|---|
![]() 몬트로즈, 1975년왼쪽 위에서 시계 방향으로: 앨런 피츠제럴드, 로니 몬트로즈, 새미 헤이거, 데니 카마시. | |
배경 정보 | |
기원. | 캘리포니아, 미국 |
장르 | 하드록 |
액티브 년수 | 1973년~1987년, 1987년, 2001년~2012년(일반적으로) |
라벨 | 워너 브라더스 |
과거 멤버 | 로니 몬트로즈 – 기타 Sammy Hagar – 보컬 Bill Church – 베이스 데니 카르마시 – 드럼 Steve Smith – 드럼 Alan Fitzgerald – 베이스 Bob James – 보컬 Jim Alcivar – 키보드 랜디 조 홉스– 베이스 글렌 레치 – 베이스 Johnny Edwards – 보컬 제임스 코탁– 드럼 |
몬트로즈는 1973년에 결성된 미국의 하드 록 밴드였고 기타리스트이자 창립자인 로니 [1]몬트로즈의 이름을 따왔다.이 밴드의 원래 라인업에는 보컬 새미 하가가 참여했는데, 그는 후에 솔로 가수로서 그리고 미국의 하드 록 밴드 반 헤일런의 리드 보컬로 더 큰 명성을 얻었다.원래 4명은 베이시스트 빌 처치와 드러머 데니 카마시였다.[2]그 그룹은 1977년 초에 해체되었다.
역사
몬트로즈 밴드를 결성하기 전에 기타리스트 로니 몬트로즈는 (미래 몬트로즈 베이시스트 빌 처치와 함께) 테드 템플먼이 프로듀싱한 밴 모리슨의 투펠로 허니 앨범과 비버 & 크라우즈, 허비 핸콕의 앨범에서 연주하는 등 성공적인 세션 뮤지션이었다.그는 또한 에드거 윈터 그룹의 멤버로 베스트셀러 앨범 They Only Come Out at [2]Night (1972)의 히트 싱글 "프랑켄슈타인"에서 연주했다.
기타의 로니 몬트로즈, 리드 보컬의 새미 하가, 베이스의 빌 처치, 드럼의 데니 카르마시로 구성된 오리지널 몬트로즈 라인업은 로니 몬트로즈가 에드거 윈터 [2]그룹을 떠나기로 결정한 1973년 초에 결성되었다.Hagar와 Carmassi 둘 다 이전에 함께 일했고 샌프란시스코 지역 커버 밴드에서 영입된 반면, Bill Church와 Ronnie Montrose는 가수 Van Morrison과 프로듀서 Ted Templeman과의 세션 작업에서 알게 되었습니다.이 이전 인맥을 통해 밴드는 템플맨의 데모를 듣고 새롭게 결성된 그룹이 워너 브라더스와 계약을 맺는 데 도움을 주었다.아직 공식적으로 이름이 없으며 '로니 몬트로즈와 친구들'이라는 이름으로 광고되고 있는 이 밴드는 1973년 4월 21일 KSAN FM의 톰 도나휴 쇼에서 45분 분량의 라디오 방송을 통해 공식 데뷔했다.이 방송은 사우살리토의 레코드 플랜트에서 녹음된 밴드의 10곡의 전곡을 다루었으며, 그들의 1집 앨범 ("우주정거장 5번" 제외)과 미발표곡 "Roll Me Nice", "You're Out of Time", "Roll Over Beethoven"으로 구성되어 있다.이 방송은 2017년 그들의 첫 [citation needed]앨범 디럭스 버전으로 발매되기 전까지 수년간 밀레니엄 레코딩으로 유통되었다.
그들의 데뷔 앨범인 테드 템플맨이 프로듀싱한 몬트로즈는 1973년 [2]말 워너 브라더스에서 발매되었습니다.비록 이 앨범은 미국 빌보드 [3]차트 133위를 정점으로 발매 당시 큰 인기를 끌지는 못했지만, 수 십 년 동안 100만 장 이상 팔리며 플래티넘 지위를 [2]획득하는 세계적인 잠자리 히트곡임이 입증되었다.종종 '레드 제플린에 대한 미국의 답변'으로 언급되는 이 곡은 앨범의 곡들을 녹음하거나 커버 버전을 연주한 하드 록과 헤비 메탈 밴드 아이언 메이든 사이에서 영향력이 있는 것으로 여겨진다.몬트로즈는 처음에 디 [citation needed]앤서니에 의해 관리되고 예약되었다.
몬트로즈의 원래 라인업을 떠난 첫 번째 멤버는 베이시스트 빌 처치로, 그는 테드 템플먼이 [2]프로듀싱한 밴드의 두 번째 앨범인 Paper Money (1974년)[4]의 앨런 피츠제럴드로 대체되었다.그룹의 하드 록/프로토메탈 사운드의 일차원성과 상업적으로 시들해진 인기에 이미 환멸을 느낀 로니 몬트로즈는 밴드의 스타일, 구성, 리드미컬, 그리고 소닉 범위를 넓히고 일반적으로 고에너지 인텐시(High-energy Intensi)를 완화함으로써 페이퍼 머니의 공식을 바꿀 것을 주장했다.이 그룹의 첫 [citation needed]번째 앨범을 정의한 ty and metalic crunch.이 밴드의 상징적인 데뷔에서 크게 벗어난 스타일, 비평가들의 미온적인 반응, 그리고 팬들의 엇갈린 반응에도 불구하고, 페이퍼 머니는 처음에 [citation needed]몬트로즈보다 두 배나 더 많이 팔렸다.이 앨범은 [3]빌보드 200에서 65위에 오르며 이 밴드의 가장 높은 차트 발매였다.
기타리스트이자 창립자인 로니 몬트로즈와 보컬리스트인 새미 하가는 1974-75년 유럽 투어에서 페이퍼 머니를 홍보하기 위해 극에 달했고, 하가는 1975년 [4]2월 그룹에서 헤어졌다.그는 로스앤젤레스에 기반을 둔 보컬 밥 제임스로 [4]대체되었다.사운드를 더욱 확장하고 변화시키기 위해, 밴드는 키보드 연주자 짐 알시버를 [4]영입했다.드러머 데니 카마시와 베이시스트 앨런 피츠제럴드의 페이퍼 머니 리듬 섹션은 [2]남아 있었다.몬트로즈의 새로운 5중주 라인업은 1975년 4월 5일 샌프란시스코 윈터랜드 볼룸에서 라이브로 데뷔했다.이 시점에서 이 그룹은 프로듀서 테드 템플맨과 헤어졌다.몬트로즈는 로니 몬트로즈가 제작한 워너 브라더스 프레젠츠라는 두 장의 앨범을 더 발매했다. 에어로스미스로 [2]유명한 잭 더글러스가 제작한 몬트로즈!(1975년)와 점프 온 잇(1976년).두 앨범 모두 보컬은 밥 제임스가,[4] 키보드는 짐 알시버가 맡았다.Jump On It 앨범에서 Alan [2]Fitzzgerald는 베이스로 대체되었고, 이후 앨범 홍보를 위한 투어에서는 베이스 연주자가 없는 4인조로 연주했고, 키보드 베이스로 짐 알리시바를 이용했다.
몬트로즈는 1975년부터 1977년까지 워너 브라더스 프레젠츠와 점프 온 잇 시대에 상업적인 인기를 최고조에 달했는데, 이 시기에는 밴드가 주로 큰 아레나와 스타디움 베누에서 공연하며 미국과 캐나다 전역에서 힘든 투어 일정을 지켰다.롤링 스톤스, 키스, 피터 프램튼, 예스, 러시, 이글스, 저니, 에어로스미스를 포함한 주요 아티스트들과 함께 이 법안을 공유하고 중간 규모 [citation needed]지역에서 자신들의 쇼를 헤드라인으로 장식한다.이 기간 동안 워너 브라더스 프레젠트가 빌보드 200에서 [3]79위에 오르면서 몬트로즈는 두 번째로 높은 차트 순위에 올랐다.
Edgar Winter Group에서 근무하는 동안 거의 치명적인 암페타민 과다복용의 결과로, 로니 몬트로즈는 이 기간 동안 강한 개인 약물/알코올 반대 입장을 관찰했는데, 이는 모든 몬트로즈 밴드 멤버들이 마약과 무알코올 공연에 [citation needed]대한 엄격한 정책을 준수해야 한다는 그의 주장에서 잘 드러났습니다.
1976년 12월 31일 윈터랜드에서 밴드의 공연에 이어 보컬 밥 제임스가 탈퇴한 후 몬트로즈는 그룹으로 폭발했고 로니 몬트로즈는 1년 후 1978년 1월에 발매된 솔로 인스트루멘털 앨범 Open Fire로 다시 등장했다.이 기간 동안 그 기타리스트는 재즈 퓨전 드러머 토니 윌리엄스와도 함께 일했다.1979년, 몬트로즈는 짐 알시바르와 앨런 피츠제럴드, 드러머 스킵 질레트, 스코틀랜드 보컬 데이비 패티슨과 함께 진보적인 하드 록 틀에서 감마라는 새로운 그룹을 결성했다.이 밴드의 데뷔곡인 감마 1은 1979년에 발매되었습니다.그들의 두 번째 발매인 감마 2(1980년)는 몬트로즈의 드러머였던 데니 카마시가 스킵 질레트를 대체하고 베이스 연주자인 글렌 레치가 나이트 [2]레인저의 창립 멤버가 된 앨런 피츠제럴드를 대신했다.
포스트몬트로즈
새미 하가는 몬트로즈 이후 성공적인 솔로 경력을 쌓았고, 초기 단계에서는 몬트로즈 드러머 데니 카마시의 동생인 전 몬트로즈 멤버 빌 처치와 드러머 빌리 카마시가 참여했다.헤이거는 "Your Love Is Driving Me Crazy", "I Can't Drive 55", "Heavy Metal", "There's One Way To Rock"과 같은 톱 히트 앨범들을 많이 가지고 있다.1985년 7월, Hagar는 Van Halen에 합류했다.
1987년 로니 몬트로즈는 가수 조니 에드워즈, 드러머 제임스 코탁(둘 다 밴드 버스터 브라운 출신), 그리고 감마의 피츠제럴드 대신 베이시스트 글렌 레치와 함께 몬트로즈의 새로운 라인업을 형성했다.이 밴드의 라인업은 Mean(1987년)이라는 앨범을 발매했다.Kottak은 계속해서 독일 하드 록 밴드 Kingdom Come과 Scorpions에 [2]합류할 것이다.
새미 헤이거, 빌 처치, 데니 카르마시, 로니 몬트로즈와 함께 한 몬트로즈의 오리지널 라인업은 새미 헤이거의 Marching to Mars(1997) 앨범에서 "Leaving the Womb"를 선보이며 재결합했고 2003년과 [citation needed]2005년 헤이거 콘서트에서 앙코르 때 함께 무대에 올랐다.
로니 몬트로즈는 2001년부터 사망할 때까지 키스 세인트 존(새미 헤이거)이 보컬로 출연하고 척 라이트, 리키 필립스, 데이브 엘프슨, 믹 마한, 팻 토프 등 베테랑 하드록 연주자들이 번갈아 출연하는 몬트로즈 라인업과 함께 공연을 계속했다.드럼은 [2]에그라소, 드럼은 바비 블로처(래트)다.로니는 2007년부터 2009년까지 전립선암과 성공적으로 투병했고 2009년부터는 정규 공연을 하고 인터뷰를 하는 등 음악적으로 더 활발해졌다.특히 2009년 몬트로즈(키스 세인트 존, 믹 브라운, 숀 맥냅과 함께)는 웨스트 페스트에서 공연했으며, 7만 [citation needed]명의 관중을 위한 제40회 우드스톡 재결합이었다.몬트로즈 오리지널 라인업의 재회는 2012년 10월 새미 하가의 카보 와보 나이트클럽에서 1회 공연할 예정이었다.로니가 죽기 전 하반기에, 로니는 베이스의 댄 맥나이, 드럼의 스티브 브라운,[citation needed] 보컬의 랜디 스콜과 함께 그의 과거 노래 카탈로그의 감마 곡과 다른 곡들을 그의 라이브 쇼에 다양화하고 포함시키기 위해 "로니 몬트로즈 밴드"를 만들었다.
임상 우울증과 오랜 투병 끝에 로니 몬트로즈는 2012년 [5][2]3월 3일 목숨을 끊었다.2013년 4월 27일, 몬트로즈는 새미 하가, 데니 카마시, 빌 처치와 함께 로니 몬트로즈를 기리는 올스타 헌정 콘서트에 참여했고, 조 새트리아니는 [6]리드 기타를 연주했습니다.
회원들
- 로니 몬트로즈 – 기타 (1973년-1977년, 1987년)
- 데니 카르마시 - 드럼 (1973년-1977년)
- 새미 헤이거– 보컬 (1973년~1975년)
- Bill Church – 베이스 (1973-1974
- 앨런 피츠제럴드 – 베이스 (1974년-1976년)
- 밥 제임스 – 보컬 (1975~1977년)
- Jim Alcivar – 키보드 (1975-1977)
- 랜디 조 홉스– 베이스 (1976년)
- 글렌 레치 – 베이스 (1987년)
- 조니 에드워즈 – 보컬 (1987년)
- 제임스 코탁– 드럼 (1987년)
타임라인

음반 목록
스튜디오 앨범
연도 | 스튜디오 앨범 | 미국 | 인정. |
---|---|---|---|
1973 | 몬트로즈 | 133 |
|
1974 | 지폐 | 65 | |
1975 | 워너 브라더스몬트로즈 선물! | 79 | |
1976 | 잽싸움 | 118 | |
1987 | 의미하다 | 165 |
컴필레이션 앨범
싱글
- 록 더 네이션(1974년)
- "Bad Motor Scooter"(영국, 1974년)
- '우주정거장 5호'(1974년)
- '지폐'(1974년)
- '접속'(1975년)
- 'I Got the Fire'(일본, 1975년)
- '마드리치' (1975년)
- '뮤직맨' (1976)
- '점프 온 잇'(일본, 1976년)
- '렛츠고' (1977년)
- '우주정거장 5호'(1980년 영국 재발매) 71번[8] 영국
「 」를 참조해 주세요.
레퍼런스
- ^ "Montrose Biography, Songs, & Albums". AllMusic. Retrieved November 15, 2021.
- ^ a b c d e f g h i j k l m "Montrose – Biography & History". AllMusic. Retrieved November 18, 2017.
- ^ a b c "Montrose". Billboard. Retrieved November 18, 2017.
- ^ a b c d e Colin Larkin, ed. (1999). The Virgin Encyclopedia of Heavy Rock (First ed.). Virgin Books. p. 300. ISBN 0-7535-0257-7.
- ^ "Archived copy".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November 12, 2014. Retrieved November 12, 2014.
{{cite web}}
: CS1 maint: 제목으로 아카이브된 복사(링크) - ^ "Ronnie Montrose tribute review: Powerful reminder". Sfgate.com. April 30, 2012. Retrieved November 18, 2017.
- ^ "Gold & Platinum". RIAA. Retrieved May 18, 2020.
- ^ Roberts, David (2006). British Hit Singles & Albums (19th ed.). London: Guinness World Records Limited. p. 376. ISBN 1-904994-10-5.
외부 링크
- 디스코그스의 몬트로즈 음반 목록
- Ronnie Montrose 웹 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