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른햄의 무어 파크

Moor Park, Farnham
무어파크 하우스 앞쪽

영국 서리 파르남 무어 파크콤프턴의 옛 예배당인 강가 60에이커(0.24km2)에 달하는 건물이다.[1] 그 터는 이전에 웨이(북쪽 가지)를 가로질러 와벌리 사원의 폐허로 향하는 지역 민속촌에 자리잡은 동굴인 루들람 수녀의 동굴까지 확장되었다.

20세기 초의 분쟁 해결 이후, 대중은 그 지대의 길이만큼의 통로로 접근할 수 있다. 이 건물은 1630년부터 시작되었지만 그 세기 후반, 그리고 1750년과 1800년에 크게 변경되었다. 그것의 이전 명칭은 모어하우스콤프턴 홀이다. 이곳은 17세기 말에 철학적 작가 겸 풍자작가 조나단 스위프트의 본거지였으며, 19세기에는 당대 최고의 화신학자 조지 컴베자연주의자인 찰스 다윈의 방문을 받아 수서요법 수련회 역할을 했다.

무어공원으로의 접근

무어파크레인

노스다운스웨이는 부지 북쪽의 포장도로를 따라 달리며 런폴드의 숲을 지나 동쪽으로 뻗어 있다.

도로는 접근이 가능하지만, 도보로 더 많은 볼거리를 제공한다. 그라운드에서 장거리 도보여행의 큰 자극인 그린스앤드웨이가 집 앞을 지나 무어파크 자연보호구역, 루들람 수녀 동굴로 이어져 그라운드 맨 끝에는 모두 웨이벌리 사원으로 가는 다리가 있다.

북부 브리지웨이가자 마차를 몰고 다니던 무어 파크 레인(Moor Park Lane)은 주차장이 있는 파른햄의 셰퍼드 앤 플럼즈 퍼브에 있는 A31 도로와 집을 연결한다. 여러 채널이 있는 초원의 한 쪽에는 하이밀이 있는데, 하이밀은 2등급으로 분류되어 있고 빅토리아 시대에 그림 엽서에 등장하는 인공 폭포의 일부가 숨겨져 있다(그리고 건조하다).[2]

중세 시대

적어도 434에이커 (176 ha)가 있던 튜더 시대 이후 콤프턴의 햄릿의 웨이 강 옆에 집이 한 채 세워져 있었는데, 그 중 200에이커는 파른함에서 분리되었다. 19세기 이전의 의미에서는 주인이 무료 워렌의 권리를 갖지 않았기 때문에 결코 '공원'이 아니었다. 에드워드 1세 35년(1307년 제안)을 위한 'Feet of Fargets for the County for the County'는 스테판 드 트롤레부르크와 그의 아내 사이의 리차드 드 웨스트브룩의 아들 로버트에 대한 'Farnham'의 부동산 액션을 기록하고 있다.[3]

1307년 그들이 그것을 보유했든 아니든 콤프턴 홀은 윈체스터의 주교의 무한정 장기 임대(2020년 197파운드에 상당함)에 의해 다음과 같이 언급된 가족들에 의해 관례적으로 4s의 임대료(2020년 197파운드에 상당함)로 보유되었다. 윌리엄 웨스트브룩/웨스트브룩이 1516년부터 1537년까지 아무 문제 없이 사망할 때까지 억류하고 있었는데, 1571년 헨리 스틴테에게 1년에 40대의 임대료를 받게 된 플로렌스 스칼렛과 엘리자베스 헐의 남성 손자들에게 이 사이트가 전해지자 그들고달밍으로 이사했다. 5~6년 후, 리차드 크레스웰 그 후 앤서니 백지가 받았다. 나중에, 주인 로버트 애쉬튼은 그것을 그의 조카 존 코튼에게 임대했다. 리차드 클라크 경의 1632년 사망 재산의 일부를 구성했다.[3]

스위프트의 후원자 윌리엄 템플 경

약 1686년 그 집은 클라크 영지에서 윌리엄 템플 경에 의해 매입되었고, 그 이름의 허트포드셔 저택의 이름을 따서 무어 파크라고 개명한 사람이 바로 그였다. 후자의 재산은 또한 그가 강변의 가장 가까운 곳에 세운 5에이커(2.0 ha)의 웅장한 정원에도 영향을 주었다.[3][4] 이것들은 영국 헤리티지에 의해 별도로 열거되어 있고, 그들의 입법 권한에 따라 행동하고,

조너선 스위프트

템플이 조나단 스위프트를 비서로 채용한 것은 무어 파크에 있을 때였고, 스위프트가 <욕조 이야기>와 <전투>를 쓰고 템플의 여동생의 동반자 역할을 한 가난한 과부의 딸 에스더 존슨을 만난 것은 바로 여기서였다. 스위프트는 그녀에게 "스텔라"라는 별명을 붙여주며 그녀의 가정교사 겸 멘토 역할을 했고, 두 사람은 에스더의 여생 동안 친밀한 관계를 유지했는데, 일부는 1716년에 몰래 결혼했다고 믿었다.[5] 스위프트는 이곳에서 지내는 동안 많은 유명한 템플의 손님들을 만났다: 윌리엄 3세, 존 드라이든, 조셉 애디슨, 리차드 스틸 등.

1770-1900

템플은 1699년에 죽었다. 그는 웨스트민스터 사원에 묻혔지만, 그의 특별한 소망에 의해 그의 마음은 그가 가장 좋아하는 창가 자리 근처에 있는 무어 공원의 해시계의 아래 은색 관에 안치되었다. 그는 무어 파크를 남편 존 템플과 결혼해 1770년 사망한 손녀 엘리자베트에게 맡겼는데, 그는 무어 파크를 관르브랜드 홀의 니콜라스 베이컨의 아들 바실 베이컨에게 맡겼다.[3] 별거 중인 아들 찰스 윌리엄스는 (남매의 상속자가 없어) 후계자로 베이컨의 이름을 재개했고, 그 집은 1858년 사들인 라 트로베 베이트만 휘하의 수서치료센터가 되었다.[3] 여기서 찰스 다윈은 1859년 에드워드 위크스테드 레인으로부터 으로 수혈 치료를 받았다. 그는 이곳에서 당구를 쳤으며 "나라가 걷기에 매우 쾌적한 곳이라 가끔 2주 동안 꼭 와야겠다고 생각한다"고 적었다. 그는 "이번 한 주 동안 나에게 한 좋은 일이 정말 놀랍고 전혀 설명할 수 없는 일"이라고 썼지만, 후에 더 건강이 나빠졌고, 아들에게 100m에 달하는 자랑스러운 크룩스베리 언덕을 절반 이상 올라갈 수 없다고 말했다.

무어 공원 전투

무어공원 전투장소 옆 시계 달린 대문집

템플의 후손 중 한 명인 윌리엄 로즈 경은 1897년 판햄 도시구의회에 무어 공원의 숙소 문을 닫을 계획이며 "서면 권한 없이는 어떤 사람도 출입할 수 없다"고 알렸다.[6] 의회는 로즈의 변호사에게 "무어 파크에 대한 권리를 의심하지 않았고 그러한 권리를 보존하기 위해 모든 적절한 수단을 동원하기 위해 어떤 대가를 치르더라도 해결되었다"고 말했다. 사태는 급속히 악화되었다. 로즈는 폐쇄를 강행할 것을 결심했고 의회는 필요하다면 강제로 성문을 다시 열 준비를 했다. 로즈는 전직 경시청 등을 고용해 강제로 성문을 확보했다. 1897년 1월 17일 일요일의 사건들은 안식일에 빅토리아 시대 신사의 소유지에 대한 전통적인 견해와 일치하지 않았다 - 로즈의 부하들은 성문을 닫고 쇠사슬로 그들을 고정시켰다. 약 4~5백 명의 현지 남성(그리고 몇 명의 여성)들이 지팡이, 쇠지렛대, 해머, 그리고 다른 도구나 무기로 무장한 채 바깥으로 모여들었다. 의회 직원들은 쇠지레를 이용해 성문을 강제로 열 때 군중들의 환호를 받았다. 수비수(사병력)들은 (불법적인 방해물 제거를 지지하고 있던) 군중의 상대가 되지 못했다. 이 행사는 '무어공원 폭동' 또는 '무어공원 전투'로 불렸다.

20세기 무어공원

그 땅은 19세기 후반에 (윌리엄)에 의해 매입되었다. 러시아 상인이자 비누 제조업체인 아버지를 둔 사무 변호사 겸 1급 크리켓 선수 알드윈 소임즈(1850~1916)는 1845년 브라이튼 칼리지(Brighton College)[7]를 설립했다. 그의 가족은 1937년경 템플로즈 후손에 의해 프리홀드가 매각되어 컨트리 클럽인 "스위프트 클럽"이 될 때까지 그 집을 점령했다.

제2차 세계 대전 동안 그 집은 캐나다 군대빌렛으로 사용한 군대에 의해 징발되었다. 무어 공원은 이 기간 동안 심각하게 황폐화되었고 1948년에 개발업자가 철거를 위해 매입하였다. 그 해 여름 해리 브리타인 경은 타임즈지에 편지를 보내 구원을 호소했다. 캐논의 R. E. 파슨스는 이 집을 사용하여 기독교 성인 교육 센터인 무어 파크 칼리지(Moor Park College)를 설립하는 것으로 응답했다. 1949년 말에 캐논 파슨스, 그의 아내 헤스터, 그리고 그들의 가족은 인접한 오두막집에 살게 되었다. 그들은 재정적인 선물, 자원봉사자 도움, 서리 카운티 의회의 보조금 등의 지원을 받아 집 복구와 대학 설립의 모험에 정력을 쏟았다. 1953년 기금이 소진되어 긴급회의가 소집되었으나 무어공원의 친구라는 단체의 지원을 받은 헤스터 가족은 위기를 모면했고, 이듬해 대학 운영을 위한 교육신탁이 설립되면서 이정표에 도달했다.

꼭대기 층은 1955년부터 1959년까지 "Oversea Service"가 본부와 대학으로 사용하였다. 해리 홀랜드 목사가 설립하고 식민지배, 바클레이스 은행 및 기타 사업체가 지원하는 이 기구는 지역 문화와 예절을 더 잘 이해할 수 있도록 해외(특히 남동 아시아)에서 자원 봉사 또는 사업 벤처 사업을 시작하려는 사람들을 위한 국제 설명회를 제공했다. 네덜란드의 감독 직속으로 1959년에 파른햄 성으로 이사하여 1986년까지 연간 3만 명에게 브리핑을 제공하고 있었다. 해외봉사단의 이탈로 더럼전담신학대학이 설립될 때까지 4년간 공석이 목회 연수에 쓰일 수 있게 됐다.

그것은 성인 기독교 교육을 위한 일련의 대학들 중 최초의 대학이 되는 것이었는데, 캐논 R.E. 파슨스 전 교회 종교교육위원회 서기장이었던 카논 R.E. 파슨스의 감독하에, 군대의 남성들 사이에서, 그리고 요크 민스터의 캐논과 워틸 전대 교수가 되었다. 무어파크 성인기독교교육대학은 서리군의회로부터 재정선물, 자원봉사자 도움, 보조금 등의 지원을 받아 1953년 재정위기를 극복하고 교육위탁에 넘겨졌다. 예배당, 도서관, 넓은 회의실에는 50명까지의 학생들이 앉을 수 있는 공간이 마련되어 있었다. 이 집의 꼭대기 층은 해외봉사단에 의해 사용되었고, 해외에서 자원봉사를 하거나 사업을 시작하려는 사람들을 위한 사무실과 대학으로 사용되었다. 기독교 대학은 1960년대 후반에 휴교하였고, 이 학교는 마무리학교로 사용되었고 후에 콘스탄스 스피리 플라워 스쿨로 사용되었다. 최근에는 고급 3개 아파트로 다시 전환되었는데, 벽으로 둘러싸인 정원에 8개의 메우즈 주택과 12개의 새 아파트가 들어섰다.[8]

개발 및 주요 계획 적용

원래의 재산은 무어 공원과 아이비 코티지 두 채로 나뉘어져 있다.

2007년 소유주들은 24개 주거지를 공급하기 위해 상장된 마구간 철거, 증축, 본가 내·외부 변경, 상장된 공원 및 정원 부지 공사에 대한 Waverley Borgu의 계획 및 상장 동의를 신청했으나 거절당했다. 이후 신규 소유주 파르남개발이 인수해 2010년 24가구(본가 3가구, 벽걸이정원 8가구, 12가구)로 재개발했다. 그 회사는 2012년 9월에 경영에 들어갔다. HWO 설계자는 프로젝트 설계자였고 벨 콘웰은 계획 컨설턴트 역할을 했다.

무어 공원 자연 보호구역

무어 공원 자연 보호구역의 위 강

그 땅을 통과하는 도로는 웨이 강의 북쪽 둑에 있는 19 에이커(7.69 ha)의 자연보호구역으로 이어진다.

자연보호구역특수과학적 관심지역이다. 전국적으로 희귀한 서식지인 이곳은 설리에 있는 심해성 늪의 유일한 사례로 대부분 깊고 접근하기 어렵다. 판자 산책로와 오솔길이 예비역 주변을 가로지른다. 겨울 레드폴에서는 시스킨가슴의 혼합된 무리들이 알더콘을 먹고 산다. 여기 보이는 물새에는 청둥오리, 철옹오리, 봄에는 벙어리 백조들이 둥지를 튼다. 습지 제비꽃, 반대편 금빛 색소화, 헴록, 물방울꽃과 함께 다양한 갈대진지를 발견할 수 있다. 워블러가 여기에 둥지를 틀고 물레일이 들릴지도 모른다. 킹피셔회색 왜가리들은 자주 방문한다.

이 보호구역은 인구가 저조했던 1970년대 서리 지역에서 수달이 마지막으로 목격된 곳 중 하나이다. 최근 수달들이 몇 마일 떨어진 고달밍의 웨이 강으로 되돌아가는 등 적극적인 보존 조치가 취해졌기 때문에 조만간 이 강에 다시 서식할 수 있을 것이라는 낙관론이 나오고 있다.

무어 파크를 통과하는 GHQ 선

GHQ 라인(General 본사 라인)은 제2차 세계 대전 중 예상되는 독일군의 침공을 억제하기 위해 영국에 건설된 방어선이었다. GHQ Stop Line B의 일부는 파른함 남쪽과 동쪽 지역을 경유하여 웨이 강의 계곡을 통과하며 독일 침략군이 웨이 계곡을 이용하여 런던에 도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설계되었다. 이 시대의 많은 방어들 - 총기 난사, 필박스, "드래곤의 이빨" 그리고 다른 대전차 방어들은 집에서 동굴과 수도원을 향해 또는 파른햄을 향해 무어 공원을 통과하는 길에서 볼 수 있다.

메모들

  1. ^ 무어 파크 - 2급* - Historic England. "Details from listed building database (1319854)". National Heritage List for England. Retrieved 8 December 2013.
  2. ^ 하이 밀, 콤프턴/파른햄 - 등급 II -
  3. ^ a b c d e H.E. Malden, ed. (1906). "Parishes: Frensham". A History of the County of Surrey: Volume 2 pp.591-92. The Internet Archive. Retrieved 25 November 2013.
  4. ^ 무어 공원과 정원
  5. ^ Barnett, Louise (2006). Jonathan Swift in the Company of Women. Oxford University Press. p. 40. ISBN 9780195188660.
  6. ^ 윌리엄 로즈 경, Bt. (1846년-1902년)은 제1대 Bt. 윌리엄 로즈 경의 아들로, 그의 아내인 샬롯 템플은 로버트 에밋 사원의 딸이다.
  7. ^ 1952년 버크 엘지(LG)의 '함셀 마노(Soames of Hamsel Manor, 전 셰필드 파크)'
  8. ^ https://houseandheritage.org/tag/moor-park-college/

참조

좌표: 51°12′41″N 0°46′02″w / 51.2115°N 0.7671°W / 51.2115; -0.767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