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국 로마의 병

Disease in Imperial Rome
서기 350년 로마 제국 지도

로마 제국 시대에 질병은 삶의 파괴적인 측면이었다. 제국의 국경이 지속적으로 확대되고 인구가 꾸준히 증가함에 따라 로마 제국의 도시들은 수많은 질병에 노출되었다. 이러한 질병의 잠재적인 원인은 매우 밀도 높고 빠르게 성장하는 사회의 생활 방식에 다양하게 존재한다. 제국 로마의 하수 시설, 목욕탕, 시민들의 식습관이 모두 질병의 확산에 기여했다.

환경 문제도 한몫했다. 예를 들어, 삼림 벌채는 삼림 벌채에서 비롯된 상승하는 물 테이블에서 나오는 습지의 연쇄 반응으로 인해 더 높은 전송 속도로 이어진다. 그 질병들은 심각하고, 어떤 질병은 치명적이고, 어떤 질병은 치명적이지 않다. 이 시기 동안 가장 두드러진 전염병 중 하나는 안토닌 페스트였다. 제국 로마 사람들은 종종 그들의 사회를 추월하고 있는 질병에 대해 아주 적은 양의 통찰력을 가지고 있었다. 그 모든 정보는 대개 별로 효과적이지 않은 몇몇 저명한 의사들에 의해 알려졌다.

원인들

위생

로마 하수관로

로마 제국은 많은 도시들의 지하를 흐르는 복잡한 하수도로 인해 대부분 긍정적인 평판을 얻었다. 로마 공학은 기원전 312년에 시행된 수로 시스템을 이용하여 알바니아 힐즈에서 도시로 물을 가져왔다. 원시적인 형태의 하수도 시스템은 제국 이전의 시대부터 로마에 존재해왔지만, 이것들은 대부분 근처의 강과 개울로 이어지는 원시적인 배수구였다. 위험하다고 판명된 또 다른 물의 원천은 로마군이 마신 티베르 강으로, 많은 질병에 취약하게 되었다.[2] 기술자들의 기술이 계속 발전하면서 하수구의 복잡성도 함께 성장했다. 예를 들어, 클루아카 막시마는 로마 밑을 흐르는 최초의 복잡하고 팽창적인 하수구 중 하나였다.[3] 하수도는 극도로 복잡한 설계를 가지고 있었고 대부분의 경우 로마인들에게 소비와 목욕용으로 비교적 깨끗한 물을 공급하는데 성공했다.

제국 로마의 하수 체계는 경이로운 것을 엔지니어링하고 선례를 남겼을지 모르지만, 여전히 로마의 하수 체계에 큰 결함이 있었다. 로마와 제국의 다른 도시들의 인구는 꾸준히 증가하여 쓰레기 시스템에 대한 부담이 늘어났다. 그러나 공공폐기물의 거리처리에 관한 공중보건법 때문에 대규모 발생과 공중보건 위기는 대부분 로마의 하수관로에 직접 기인할 수 없다. 제국 로마의 주요 공중 보건 위기로 인한 재앙을 더하는 다른 많은 심각한 요소들이 있었다. 대부분의 하수도는 개인 소유였기 때문에, 개인 소유로 유지되었고, 결국 방치되었다. 대신에, 시민들은 그들의 선반에 의지할 것이다; 만약 그들이 1층 이외의 다른 곳에서 산다면, 그들은 심지어 그들의 배설물을 거리에 던질 것이다. 이로 인해 오수가 파리, 개, 박테리아에 노출되었고, 이 모든 것이 로마인들의 질병 확산에 도움을 주었다. 당시 고대 문헌에 설명이 없어 제국 로마에 있는 화장실에서 어떤 특정 질병이 발생했는지는 불분명하지만, 위생 시설이 없어 다수의 장내 질환이 발생했을 가능성이 있다. 가능한 질병의 몇몇 예로는 이질, 장티푸스, 그리고 다른 종류의 설사를 포함한다.[4]또 다른 악명 높은 건강 위험은 도시 전역으로 물을 운반하는 데 사용되는 납 배관이었다. 현대 과학은 특히 다산과 관련하여 납의 파괴적인 효과를 입증했다. 일부 전문가들은 이것이 후기 제국주의 시대의 인구 감소의 주요 요인이 되었을 것이라고 생각한다. 사실, 박사의 연구. 미네소타 대학의 아서 아우프더하이드는 "로맨스는 현대 미국인들보다 뼈에서 10배나 더 리드했다"[5]고 밝혔다.

알코올 소비량

연구는 납이 로마 음료에서 매우 두드러졌다는 것을 보여준다. 이는 대부분 당시 유행했던 납 기반 저장용기 덕분이다.[6] 일부 학자들은 매일 마시는 술의 양이 로마 귀족들의 건강 질환에 더 책임이 있다고 추측하고 있는데, 평균 소비율은 하루에 약 3병 정도 된다.[6] 출처가 언급하듯이 포도주를 희석하는 관행이 일반적이었고, 원액 포도주는 야만적인 것으로 여겨졌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사실, 로마인들은 일반적으로 와인을 물의 두 부분에 섞곤 했다. 바닷물을 이용해 포도주의 단맛을 방해하거나 포도주를 따뜻하게 하는 것도 일반적인 관행이었다. [7]

쓰레기 오염

로마시는 또한 거리 쓰레기와 쓰레기 더미로 큰 문제에 직면했다. 시인과 풍자가들은 종종 로마의 쓰레기 문제를 농담과 글의 주제로 삼았고, 로마의 가정과 바닥을 포함한 모든 곳에 쓰레기가 존재한다는 설명도 곁들여졌다.[8] 로마의 거리와 가정에 위생 시설이 부족했던 것이 질병과 질병의 원인이 되었다. 쓰레기는 버려진 생활용품부터 실제 인간쓰레기까지 다양해 오염 가능성이 매우 높았다. 로마인들은 이것이 문제가 되고 있다는 것을 깨달았고, 거리에 쓰레기가 쌓이는 것을 제한하기 위해 일련의 법과 다른 조치들이 취해졌다. 이들 대책은 대부분 보행자 인명피해가 쓰레기에 떨어지는 것을 막기 위해 시행된 것이지만, 이번 대책은 직할시 폐기물을 없애 공공의 건강도 높였다.[6] 다른 교통수단이 금지된 시간대에 폐차차가 시내 곳곳을 돌아다니고 쓰레기를 수거하도록 했다는 증거가 있다.[8] 이 전략은 대부분의 폐기물이 도시 제한 밖으로 막 이동했기 때문에 오염과 악취의 위험이 여전히 존재한다는 것을 의미하기 때문에 문제를 완전히 해결하지는 못했다.

목욕

로마 제국 시대에는 공공 목욕탕과 개인 목욕탕이 로마에서 흔했다. 흔히 테르메라고 불리는 이 목욕탕들은 매우 다양했지만 대부분은 비슷한 목욕 과정을 가지고 있었다. 거주자들은 운동하고, 다양한 사우나와 냉방실을 사용하며, 때때로 수영장에서 수영을 한다.[9] 심지어 제국주의 사우나조차도 독소의 몸을 정화하기 위해 만들어졌다.[10] 시간은 보통 점심시간에 시작해서 해질녘에 닫히고 모든 사람에게 열려있었는데 입장하는 데 적은 수수료만 필요했다. 목욕탕은 전형적으로 로마의 도시들의 포럼 근처에 위치해 있었다. 로마의 높은 빈곤율 [11]때문에 중산층 시민들이 개인 목욕을 하는 일은 드물었다고 언론인 제이 스털러가 전했다. 가열된 목욕물이 항상 화학적으로 정화되거나 염소 등의 화학물질로 여과되어 박테리아가 번성하고 퍼지는 것은 아니었다. 기독교가 로마에 왔을 때 목욕 시스템의 공공연한 누드를 방탕으로 간주하여 눈살을 찌푸리게 되었다.[citation needed] 목욕 시스템이 깨끗하지 않았을 수도 있지만, 청결함을 기권하는 것은 특히 유아들에게 치명적인 질병들을 더 많이 야기시켰다.

다이어트

화산재 보존 도시인 Hercaleum의 공공 선반을 분석한 결과, 연구원들은 다양한 어종에서 주로 파생되는 식단을 결정할 수 있었다. 마을의 식생활은 향신료로 보충되는 것 같았는데, 일부는 인도에서 유래되었다. 헤라클레넘의 거주자들은 잘 둥글게 식사를 한 것으로 보이며, 지역에 따라 로마 시민의 식생활이 달라졌을 수도 있지만, 로마인들이 거래했던 다양한 장소에서 음식을 접할 수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12]

오늘날의 식습관과 대조적으로 로마인들은 고기를 거의 먹지 않았다. 학자인 린다 기간테에 따르면, 그들은 많은 양의 곡물, 과일, 그리고 약간의 야채를 소비했다. 가난한 사람들은 매달 곡식을 공급받았고 다른 어떤 것도 지불할 돈이 거의 없었다. 이 때문에, 많은 로마인들은 영양실조와 여러 가지 비타민 결핍으로 고통 받았다. 식비가 있는 사람도 항상 최선의 선택은 아니었다. 고대에는 식품 의약품 규제 기관이 없었기 때문에 낮은 식품 기준 때문에 오염과 기생충이 발생하였다.

환경

인구 밀도

로마의 인구는 고대 세계에서 전례 없이 많았으며, 제국의 전성기 동안 100만 명에 달했다.[13] 이것은 로마인들이 공동출세하고 앞서간 다른 주요 문화들보다 훨씬 더 컸다. 많은 로마인들이 경험했던 열악한 생활환경과 짝을 이룬 이 도시는 질병의 완벽한 번식지였다. 로마의 가난한 자치구에서는 생활환경이 팍팍해지고 오물이 생겨 질병의 확산을 증가시켰다. 안토닌과 사이프리아 전염병은 접촉을 통해 전염되었는데, 이는 특히 빈곤 지역에서만 전염병의 심각성을 가중시켰다.

로마는 인구가 매우 많았는데, 건물의 잔해들은 평균적인 생활 공간이 매우 작았음을 시사한다.[14] 많은 사람들이 좁은 공간에 몰려들어 전염성 질병에 대한 감염률이 매우 높았다. 안토닌과 사이프리아 전염병은 촉각을 통해 전염되었고, 밀집된 인구 비율은 그들의 확산에 크게 기여할 것이다.

삼림 벌채

로마도시들, 특히 티베르 근처의 삼림 벌채는 질병률을 더 높게 이끌었다. 인과관계는 다음과 같다: 삼림 벌채는 상승하는 물 테이블로 이어져 습지를 증가시킨다. 이것은 로마에서 유충을 증가시켰고, 다시 피를 빨아먹는 벌레로부터 발생하는 질병이 증가했다. 모기와 다른 벡터들말라리아로스 리버 바이러스와 같은 다양한 질병의 보균자들이었다.[15]

대기 오염

로마의 공기는 의심할 여지 없이 오염되어 있었고, 많은 소식통들은 도시를 돌아다니면서 발견될 수 있는 악취에 대해 말했다. 로마의 대기오염, 개방된 화재, 그리고 인간쓰레기가 단지 그 일부분일 뿐인 여러 원천이 있었다. 이 정도의 쓰레기는 또한 설치류와 모든 성질의 해충을 끌어들여 공중 보건에 대한 우려만 가중시켰다. 도미티아누스 황제의 통치가 있은 후에야 도시 내에서 대기 오염을 처리하려고 시도되었다. 벌금의 위협과 공중청소를 돕는 규정으로 법이 통과되었다. 콜레라와 같은 질병이 만연했고 대기오염은 물론 폐기물 오염의 직접적인 원인이 될 수 있다.[citation needed]

질병.

제국 로마에서 인플루엔자, 감기, 그리고 다른 질병들은 현대의 로마에서의 질병과 비교해 볼 때, 더 많지는 않더라도 그만큼 명백했다. 제국 로마는 성병에서부터 재앙에 이르는 더 주목할 만한 고통들을 가지고 있었다. 이 범위는 제국 로마에 존재하는 여러 가지 질병의 치명성과 심각성에 관한 많은 차이를 나타낸다. 로마의 의사 갈렌의 말처럼, "하루에 만 명이 황달로 고생하는 것을 발견할 수 있는 이 인구가 많은 도시, 그리고 낙담으로 만 명"이라고 했다. 인구통계를 문서화하는 시대부터 남아 있는 문서는 거의 없지만, 왜 특정 질병이 다른 질병보다 훨씬 더 치명적이었는지에 대한 데이터를 더 많이 제공하는 현대 기술이 많다.

전염병

안토닌 페스트

안토닌 페스트는 확실히 로마 역사상 가장 악명 높은 전염병 중 하나이다. 서아시아에서 캠페인을 마치고 돌아온 군인들로부터 가져온 페스트에 대한 면역이 없다는 것은 로마인들에게 재앙적인 결과로 이어진다.[16] 주요 증상으로는 설사, 피부염, 자극, 인후염 등이 있었다. 병든 사람들은 사망하기 전 약 2주 동안, 혹은 회복되기 전에, 그것 때문에 고통을 겪었고, 다시 더 많은 수축으로부터 면역력을 발달시켰다.[17] 그 군단은 페스트에 심하게 맞았다. 병세가 비좁고 거처가 비좁은 상황에서 질병이 격렬하게 퍼지면서 로마군을 격퇴시킨 것으로 알려졌다. 분명히, 페스트는 로마 시와 제국의 민간인들을 강타했다.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 황제는 제국의 비참한 지위를 암시하는 몇 가지 변화를 시행했다. 여기에는 아테네를 포함한 제국 전역의 여러 중요한 정착촌에 있는 고위 의회의 회원에 대한 규제를 완화하는 것이 포함되었다.[16] 이집트는 그들의 도시 인구에서 치명적인 손실을 본 또 다른 지역이었다. 이것은 대규모 인구 감소로 인한 수익 손실을 기록한 파피루스 대본에서 증명되었다. 제국 전체가 역병 때문에 곤경에 직면하고 있었다. 런던을 포함한 많은 지방 주요 도시들에서 공공 건설 사업이 중단되었다. 이 모든 것은 제국이 동쪽의 사르마티아인들의 공격에 직면하는 동안 동시에 일어났다. 180CE의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 황제를 비롯하여 로마 인구의 최대 15%가 10년 전염병 기간 동안 전멸된 것으로 추정된다. 페스트는 현재 천연두라고 알려진 것이라고 널리 알려져 있다. 이것은 주로 유명한 그리스 의사 갈렌의 주석과 논평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안토닌 페스트가 로마 제국에 미친 영향은 파괴적이었으며 그 이후 수세기 동안 지속된 것으로 추정되는데, 일부 역사학자들은 그것이 제국을 영구적으로 무력화시키고 그것의 몰락을 도왔다고 주장한다.[citation needed]

안토닌 페스트는 루이즈 실리어스와 프란시스 레티프에 따르면, 그 시초가 된 황제 아우렐리우스 안토니누스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 역사적인 소식통에 따르면 메소포타미아에서 캠페인을 마치고 돌아온 로마 군인들이 AD 165년에서 180년까지 지속된 이 병을 퍼뜨렸다고 한다.[18] 그리스 의사 갈렌해열, 설사, 종기 등에 대한 서면 관찰 결과를 토대로 역사학자들은 천연두가 페스트를 일으켰다고 추론한다.[19] 상당한 군 사망자를 포함하여, 이번 발병으로 로마 인구의 3분의 2가 사망했으며, 하루에 약 2000명이 사망했다.[20]

키프리안의 역병

Cilliers와 Reteif는 계속해서 로마에 영향을 미치는 두 번째 큰 전염병을 묘사한다. 사이프리안의 페스트 (249년-262년)는 제국 전역에 광범위한 부족을 야기시켰으며, 안토닌 페스트와는 별개라고 여겨지지만 3세기 위기의 주요 원인 중 하나였으며, 매우 유사하며 천연두, 또는 아마도 홍역으로부터 유래되었다고 믿기도 한다. 성 키프리아누스는 이 병의 영향을 이질, 운동능력 상실, 그리고 물론 열병으로 가장 생생하게 묘사하고 있으며, 차례로 그의 이름을 딴 병을 갖게 된다(당시 기독교의 탄압 때문이기도 하다). 키프리아 페스트는 로마 민중들이 두 번째 큰 페스트를 겪으면서 로마에서는 신앙이 사라지고 기독교 신에게서 발견되면서 실제로 가톨릭 교회의 회원을 늘렸다. 페스트는 아시아에서 알렉산드리아로 퍼져나가 주요 항구도시로 옮겨갔고 곧 제국 전역으로 퍼져나갔다. 북아프리카의 기독교인들은 순전히 사망자와 매일 일어나는 죽음에 주목한다. 특히 그의 명단에는 부보닉 페스트와 안토닌 페스트와의 주요 구분인 피부 발진이나 붓기는 포함되지 않았다.[21] 페스트는 출혈을 포함한 몇몇 독특한 증상들을 보여주었고, 페스트는 피비린내 나는 악명 높은 평판을 얻었다.이 전염병은 에티오피아에서 발생하여 스코틀랜드로 확산되었을 가능성이 있다. 피부 접촉이 번지는 질병의 성격과 로마의 붐비는 문명 양식으로, 제국에서 사망자는 엄청났다.[20]

혈인성 질환

모르부스 갈리쿠스

현대에 매독으로 더 잘 알려진 모버스 갈리쿠스, 또는 "프랑스병"은 고대 유럽에서는 두드러지지 않았지만 최근의 뼈 연구로, 유럽의 고엽수증 박테리아의 한 종류가 어린이들에게까지 영향을 미쳤을 수 있다는 것이 밝혀졌다.[22] 그러나 2008년 크리스틴 하퍼(Kristin Harper)가 발표한 기사에 따르면 고대 유럽 문명은 관련 형태의 박테리아에 시달렸을지 모르나 성병 매독 자체는 아닐지 모르는데, 이는 콜럼비아 이전의 아메리카에서 유래되었을지도 모른다.[23] '매독'이라는 용어는 나중에 15세기 이탈리아의 시인 지롤라모 프라카스토로아폴로를 모욕한 매독이라는 소년의 서사시를 썼다가 결국 이 병에 걸려 벌을 받았다. 중세시대나 르네상스시대에는 아마도 변형된 형태의 트레포네마토스가 전염병을 낳았다.[24]

말라리아

말라리아의 가장 초기에 알려진 사례는 서기 450년 전의 로마인의 DNA에서 나온 것이다. 한 마을의 발굴조사에서 열치료에 사용되는 식물인 꿀꿀의 흔적과 뼈 검사로 심각한 말라리아 문제의 징후가 보인다. 또한 이 지역이 "병해충 지역"[25]이었다는 점도 주목할 만하다. 삼림 벌채와 위생 문제는 말라리아의 주요 원인이었다.

멘타그라

특히 제국 로마인들이 키스에 의해 전파된다고 생각하는 멘타그라는 턱에서부터 시작하여 얼굴 전체와 때로는 다른 신체 부위로 옮겨가는 피부병이었다. 그 미적 요인은 매우 매력적이지 않은 반면, 그 병은 건강에 전혀 해가 되지 않았다. 위험하지는 않았지만 로마인들은 얄궂게도 흉터를 유발하는 소작술까지 해서 혐오병을 제거했다.[20]

호흡기 질환

루이지 카파소 교수에 따르면, 가장 두드러지게 무연탄인 호흡기 질환은 로마의 가정에서 오염으로 인해 흔했다고 한다. 탄소는 램프, 요리, 벽난로 등으로 끊임없이 생산되었다. 이 탄소는 골격 연구(베수비오 화산 폭발의 잔해 밑에 잘 보존된 시신들에 의해 가능)와 심지어 로마 미이라에 대한 연구를 통해 그들의 폐에 병변을 발생시켰다.[26]

관련 연구

마리오 노박과 마리오 슬라우스가 수행한 광범위한 연구는 고대 로마의 콜로니아 울리아 아이데르라는 특정 식민지에서 많은 골격 유적을 검사할 수 있다는 것을 발견했다. 검사 결과 남성의 평균 사망연령은 37.4세(표준편차 9.43세), 여성은 38.4세(표준편차 9.29세)로 나타났다. 이것은 우리의 연구 인구를 표본으로 나타낸 것일 뿐이지만, 로마 전체에 합리적인 통찰력을 줄 수 있을 것이다. 유해에서, 몇몇 영양학적 스트레스의 지표들이 특정 연령대들 사이에 광범위하게 발견되었다. 이러한 영양 문제들의 비율과 함께, 로마인들은 심지어 모유 수유와 같은 것들에서 남자 어린이들을 선호한다는 것이 발견되어, 여성들에게 더 높은 영양 부족 비율을 남겼다. 복막염은 또한 많은 샘플에서 발견되었는데, 빈도는 과밀과 전반적인 삶의 질 저하를 나타낸다.[27]

치료

로마에는 제국 시대에 여러 가지 질병에 대한 치료법을 고안해 낸 몇몇 저명한 의사들이 있었고, 일반적으로는 유일한 약정보의 원천이었다. 인체 해부학에 대해 알려진 많은 양의 정보가 있었지만, 많은 치료법과 약들은 극도로 효과적이지 못했다.

의사들

경험이 풍부한 의료진은 어떤 질병에든 가장 취약한 집단이었던 군에 집중했다. 디오스코리데스는 네로 황제 휘하에서 수술 기법과 약초 실험을 했다. 플리니 장로 역시 약초 지식으로 잘 알려진 식물학에 강한 관심을 가지고 있었다. 전문의마다 방법이 다르고 질병의 치료 방법도 매우 다양하여 대부분의 치료는 일관성이 떨어져 극히 무용지물이었다.

갤런

아마도 가장 유명한 로마의 의사인 갈렌은 한방치료뿐만 아니라 해부학도 공부했다.[citation needed] 갈렌의 의학에 대한 기여는 주로 미래의 의사들의 실용의학 연구에 도움이 되는 그의 상세한 책 시리즈로 구성되었다. 고대 세계에서 의학에 기여한 공로로서는 히포크라테스와 비슷한 방법을 사용함으로써 의학 지식을 넓혔는데, 히포크라테스는 비효과적이라고 판명된 신화적인 의학 방법에서 벗어났다. 그가 실천한 이러한 방법들은 해부학을 공부하고 신뢰할 수 있는 치료 방법을 찾기 위한 시도로 여러 가지 다른 절차를 사용하는 것을 포함한다. [28]

치료방법

한약재

자연 의학은 그들이 어떤 것도 합성적으로 제조할 수 없는 것으로 보아 매우 중요했다. 고대 로마군 기지에서 약용 포도주뿐만 아니라 약초의 흔적도 많이 발견되었다. 이러한 종류의 약의 예로는 위장병을 치료하는 데 사용되었던 녹색 재스퍼가 있다. 군대 의사들은 약초에 대한 지식을 가지고 있었고, 아마도 각각의 정원에서 그들 자신의 약초를 재배했을 것이다.[29] 로마인들은 모든 허브 사용에 정확하지는 않았지만, 플라시보 효과는 여전히 그 허브들 중 일부를 유용하게 만들었다. 파스티유라고도 불리는 알약은 금속 성분과 함께 허브와 식물로 구성되었다.

수술

수술은 로마 제국 시대에는 그리 흔한 관습이 아니었고, 마지막 선택으로, 그리고 꼭 필요한 경우에만 사용되었다. 그 이유는 수술 후 환자가 이전보다 더 큰 고통을 받을 위험 때문이었다. 수행 시에도 아마나 리넨 나사산 또는 금속 핀을 사용하여 표면 수준 절차에만 국한되었다. 질병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내부 손상에 대해서는 많은 의사들이 성공하지 못할 경우 의료 평판이 훼손될 것을 우려해 이를 고치려 하지 않았는데, 이는 이러한 절차에 대한 지식이 부족해 발생할 가능성이 높았다. [30]


참조

  1. ^ Society, National Geographic (2018-07-06). "Roman Aqueducts". National Geographic Society. Retrieved 2020-03-11.
  2. ^ 기간테, 린다. "고대 로마의 죽음과 질병." 이노미네이트 소사이어티.
  3. ^ "Roman Sewers Facts & Information Year 7 Study Worksheet". School History. 2016-06-25. Retrieved 2020-03-11.
  4. ^ Vuorinen, Heikki S. (2010-07-01). "Water, toilets and public health in the Roman era". Water Supply. 10 (3): 411–415. doi:10.2166/ws.2010.111. ISSN 1606-9749.
  5. ^ Hays, Jeffrey. "HEALTH AND DISEASE IN ANCIENT ROME Facts and Details". factsanddetails.com. Retrieved 2020-12-05.
  6. ^ a b c "Lead Poisoning and Rome". penelope.uchicago.edu. Retrieved 2020-03-11.
  7. ^ "Wine and Rome". penelope.uchicago.edu. Retrieved 2020-12-05.
  8. ^ a b Havlíček, Filip; Morcinek, Miroslav (2016). "Waste and Pollution in the Ancient Roman Empire". Journal of Landscape Ecology. 9 (3): 33–49. doi:10.1515/jlecol-2016-0013.
  9. ^ "Thermae Roman bath". Encyclopedia Britannica. Retrieved 2020-03-11.
  10. ^ Stuller, Jay (February 1991). "Cleanliness has only recently become a virtue". Smithsonian. 21 (11): 126.
  11. ^ "Roman Baths". World History Encyclopedia. Retrieved 2020-12-05.
  12. ^ Killgrove and Tykot, Kristina and Robert (2013). "Food for Rome: A stable isotope investigation of diet in the Imperial period (1st-3rd centuries AD)". Journal of Anthropological Archaeology. 32: 28–38. doi:10.1016/j.jaa.2012.08.002.
  13. ^ "Ancient Rome: Life in the City". www.ducksters.com. Retrieved 2020-03-11.
  14. ^ Scheidel, Walter (April 2009). "Disease and Death in the Ancient City of Rome" (PDF). Princeton University. Retrieved 24 October 2013.
  15. ^ O'Sullivan, Lara; Jardine, Andrew; Cook, Angus; Weinstein, Philip (2008). "Deforestation, Mosquitoes, and Ancient Rome: Lessons for Today". BioScience. 58 (8): 756–760. doi:10.1641/B580812. S2CID 86711986.
  16. ^ a b Elliott, Colin P. (May 2016). "The Antonine Plague, Climate Change and Local Violence in Roman Egypt". Past and Present. 231: 3–31. doi:10.1093/pastj/gtv058.
  17. ^ "Antonine Plague". World History Encyclopedia. Retrieved 2020-12-05.
  18. ^ 마틴 사이더(2000년) "유프라테스 국경선을 둘러싼 투쟁" 이슬람 이전의 중동. (그린우드) 2000:p.169 ISBN 0-275-96890-1.
  19. ^ 머피, 베리티 (2005년 11월 7일) "유럽을 황폐화시킨 과거의 판데믹스." BBC
  20. ^ a b c Retief; Cilliers (March 2000). "Epidemics of the Roman Empire, 27 BC-AD 476". South African Medical Journal. 90 (3): 267–272. PMID 10853405.
  21. ^ 콘, 조지 차일즈(2008년). "사이프리안의 플래그." 페스트 앤 페스틸런스 백과사전: 고대부터 현재, 제3판까지. 뉴욕: 파일 상의 사실들, 주식회사. ISBN 0816069352.
  22. ^ 수염, 메리 (2010년 12월 13일) "폼페이 해골, 로마 가정 생활의 비밀을 드러낸다."BBC
  23. ^ Harper, Kristin N; Ocampo, Paolo S; Steiner, Bret M; George, Robert W; Silverman, Michael S; Bolotin, Shelly; Pillay, Allan; Saunders, Nigel J; Armelagos, George J (2008). "On the Origin of the Treponematoses: A Phylogenetic Approach". PLOS Neglected Tropical Diseases. 2 (1): e148. doi:10.1371/journal.pntd.0000148. PMC 2217670. PMID 18235852.
  24. ^ 킬그로브, 크리스티나(2011년 10월 17일). "로마 제국의 모버스 갈리쿠스." Osteons가 전원을 공급함.
  25. ^ 톰슨, 앤드류(2011년 2월 17일). "말라리아와 로마의 몰락" BBC
  26. ^ Capasso, Luigi (2000). "Indoor pollution and respiratory diseases in Ancient Rome". The Lancet. 356 (9243): 1774. doi:10.1016/S0140-6736(05)71971-1. PMID 11095292. S2CID 32863834.
  27. ^ Novak, M; Slaus, M (2010). "Health and disease in a Roman walled city: An example of Colonia Iulia Iader" (PDF). Journal of Anthropological Sciences. 88: 189–206. PMID 20834058.
  28. ^ "Roman Medicine Medicine and Health in Ancient Rome". www.unrv.com. Retrieved 2020-12-05.
  29. ^ Schlager, Neil; Lauer, Josh, eds. (2001). "The Military Medicine of Ancient Rome". Science and Its Times. Vol. 1. Detroit: Gale.
  30. ^ "Roman Medicine". World History Encyclopedia. Retrieved 2020-12-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