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semi-protected

부보닉 페스트

Bubonic plague
부보닉 페스트
Plague -buboes.jpg
부보닉 페스트에 감염된 사람의 허벅지 윗부분 부보
전문전염병
증상발열, 두통, 구토, 부은[1][2] 림프절
합병증죽음, 괴저, 뇌수막염.[3]
통상적인 개시노출[1] 후 1~7일 후
원인들벼룩[1] 의해 퍼지는 예르시니아 페스티스
진단 방법혈액, 가래 또는 림프절에서[1] 세균 발견
치료스트렙토마이신, 겐타마이신, 독시사이클린[4][5] 등의 항생제
빈도수.연간[1] 650건 보고
사망.치료[4] 시 사망률 10%
치료되지 않은 경우[1][4] 30~90%

부보닉 페스트는 페스트 박테리아(예르시니아 페스티스)[1]에 의해 야기되는 세 가지 종류의 페스트 중 하나이다.박테리아에 노출된 지 1일에서 7일 후에 독감 같은 증상이 [1]나타난다.이러한 증상에는 발열, 두통, [1]구토뿐만 아니라 세균이 피부에 들어간 [2]부위에서 가장 가까운 부위의 붓고 아픈 림프절이 포함된다.피부가 검게 변색되는 악골괴사도 또 다른 증상이다.때때로 "부비"로 알려진 부은 림프절이 [1]파열될 수 있습니다.

세 가지 유형의 페스트는 감염 경로의 결과이다: 부본 페스트, 패혈성 페스트, 그리고 폐렴 페스트.[1]부본성 페스트는 주로 작은 [1]동물에서 나온 감염된 벼룩에 의해 퍼진다.그것은 또한 죽은 전염병에 감염된 동물의 [6]체액에 노출되었을 때 발생할 수 있다.토끼, 산토끼, 그리고 일부 고양이 종과 같은 포유류는 선충성 페스트에 걸리기 쉽고,[7] 전형적으로 수축과 함께 죽는다.페스트의 부보닉 형태에서 박테리아는 벼룩에 물린 곳을 통해 피부를 통해 들어가 림프관을 통해 림프절까지 이동하면서 [1]부풀어오르게 한다.림프절에서 [1]혈액, 가래, 액체의 세균을 발견하여 진단합니다.

예방은 전염병이 [8][1]흔한 지역에서 죽은 동물을 다루지 않는 것과 같은 공중 보건 조치를 통해 이루어진다.세계보건기구(WHO)페스트 예방백신이 개발되는 동안 특정 실험실 직원과 의료 종사자 등 고위험군만 [1]접종할 것을 권고하고 있다.스트렙토마이신, 겐타마이신, 독시사이클린 [4][5]등 여러 항생제가 치료에 효과적입니다.

치료하지 않으면 전염병은 [1][4]감염자의 30~90%를 사망에 이르게 한다.사망은 보통 10일 [9]이내입니다.치료를 받으면 사망 위험은 [4]약 10%입니다.2010년에서 2015년 사이에 세계적으로 3,248건의 사례가 기록되었고, 이로 인해 584명이 사망했다.[1]가장 많은 사례가 발생한 나라는 콩고민주공화국, 마다가스카르,[1] 페루이다.

흑사병은 14세기에 아시아, 유럽, 아프리카를 휩쓸고 유럽 [1][11]인구의 약 25-60%를 포함하여 약 [1][10]5천만 명의 사람들을 죽인 흑사병의 유력한 원인으로 여겨진다.역병이 많은 노동 인구를 죽였기 때문에 [11]노동력 수요로 임금이 올랐다.일부 역사학자들은 이것을 유럽 경제 [11]발전의 전환점으로 본다.이 질병은 또한 서기 6세기 동로마제국에서 시작된 유스티니아누스 전염병[12]1855년 윈난성에서 시작된 중국, 몽골, 인도영향을 미친 세 번째 전염병의 원인으로 여겨진다.부보닉이라는 용어는 그리스어로 "그루인"[13]을 뜻하는 βββββ에서 유래했다.

원인

페스트균(예르시니아 페스티스)에 감염된 동양쥐벼룩(Xensymmella cheopis)으로 내장에 검은 덩어리로 나타납니다.이 벼룩의 앞부분은 Y.페스티스바이오필름의해 차단된다.벼룩이 감염되지 않은 숙주를 먹으려고 하면 앞부분의 Y.페스티스가 상처로 역류하여 감염을 일으킨다.

부보닉 페스트는 림프계의 감염으로 보통 감염된 벼룩[14]Xensymmella cheopis에 물려서 발생합니다.Pulex urritans (인간의 벼룩), Xensymmella cheopis, 그리고 Ceratophylus [14]fasciatus와 같은 몇몇 벼룩 종들이 부보닉 페스트를 옮겼습니다.Xensymmella cheopis[14]전염에 가장 효과적인 벼룩종이었다.패혈성 페스트처럼 매우 드문 상황에서는 감염된 조직과 직접 접촉하거나 다른 사람의 기침에 노출됨으로써 병이 전염될 수 있다.벼룩은 집쥐와 들쥐에 기생하며 설치류 숙주가 죽으면 다른 먹이를 찾는다.이 박테리아는 벼룩에 무해하게 유지되어 새로운 숙주가 이 박테리아를 퍼뜨릴 수 있게 해준다.쥐는 [15]혈액의 특성뿐만 아니라 인간과의 공통적인 연관성 때문에 선종성 페스트의 증폭 요인이었다.쥐의 혈액은 쥐가 [15]페스트의 주요 농도를 견딜 수 있게 해주었다.박테리아는 감염된 벼룩의 내장에 응집되어 벼룩이 감염된 피를 쥐나 숙주의 물린 부위로 역류시킨다.일단 확립되면 세균은 림프절로 빠르게 퍼지고 증식한다.이 병을 옮기는 벼룩은 그 지역의 쥐 개체군이 집단 [16]감염으로 전멸할 때에만 인간에게 직접 감염된다.게다가, 쥐의 많은 개체군이 있는 지역에서는, 쥐들은 인간 [15]발병을 일으키지 않고 낮은 수준의 전염병 감염을 숨길 수 있다.다른 지역의 개체군에 새로운 쥐 투입물이 추가되지 않는다면,[15] 감염은 매우 드문 인구 과잉 사례에서만 인간에게 퍼질 것이다.

징후 및 증상

, 입술, 손가락의 괴사 및 혈액과 폐에 퍼진 부전성 페스트에서 회복된 사람의 양쪽 팔뚝에 남은 멍.한때 그 사람의 온몸에 멍이 들었다.

감염된 벼룩에 물린 후, Y. 페스티스 박테리아염증이 있는 림프절에서 국소화되며, 그곳에서 군집화 및 번식을 시작합니다.감염된 림프절은 출혈을 일으켜 조직을 [17]죽게 한다.페스티스균 식세포에 저항할 수 있고 식세포 에서 번식하여 죽일 수도 있다.병이 진행됨에 따라 림프절이 출혈하고 붓고 괴사할 수 있다.부본성 페스트는 어떤 경우에는 치명적인 패혈성 페스트로 진행될 수 있다.페스트는 또한 폐로 퍼져서 폐렴 페스트로 알려진 질병이 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물린 지 2~7일 후에 증상이 나타나며 다음과 [14]같은 증상이 나타납니다.

  • 오한
  • 일반적인 악감정(말레즈)
  • 39 °C (102.2 °F )이상 고열
  • 근육[17] 경련
  • 발작
  • 사타구니에서 흔히 볼 수 있는 부보라고 불리는 매끄럽고 고통스러운 림프선의 붓기, 그러나 겨드랑이 또는 목에서 발생할 수 있으며, 대부분의 경우 초기 감염 부위(물림 또는 찰과상) 부근에서 발생할 수 있습니다.
  • 붓기 전 부위에 통증이 있을 수 있습니다
  • 발가락, 손가락, 입술, [18]코끝 등 사지의 괴저입니다.

버본 페스트의 가장 잘 알려진 증상은 하나 이상의 감염, 확대, 그리고 부부로 알려진 고통스러운 림프절입니다.부보닉 페스트와 관련된 부보는 일반적으로 겨드랑이, 대퇴골 상부, 사타구니, 그리고 목 부위에 발견됩니다.증상은 사람이 살아 있는 동안 피부가 썩거나 부패하여 생기는 심한 호흡, 지속적인 혈액 구토, 손발의 통증, 기침, 극심한 통증 등이다.추가적인 증상으로는 극심한 피로, 위장 장애, 비장 염증, 렌티큘라(몸 전체에 흩어져 있는 검은 점), 섬망, 혼수, 장기 부전, [19]사망 등이 있다.장기 부전은 박테리아가 혈류를 [14]통해 장기를 감염시키는 결과이다.이 질병의 다른 형태로는 패혈성 페스트와 박테리아가 사람의 혈액과 폐에서 각각 [20]번식하는 폐렴 페스트가 있다.

진단.

페스트를 진단하고 확인하기 위해서는 실험실 검사가 필요하다.이상적으로는 환자 샘플에서 Y. 페스티스 배양물식별을 통해 확인이 이루어집니다.감염 초기 및 후기에 채취한 혈청을 검사하여 감염 여부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환자의 Y. 페스티스 항원을 신속하게 선별하기 위해 현장 [21]사용을 위한 급속 딥스틱 테스트가 개발되었습니다.

그램 음성 예르시니아 페스티스균.그 문화는 72시간에 걸쳐 성장하였다

테스트를 위해 채취한 샘플은 다음과 같습니다.[22]

  • 부보: 부푼 림프절(부보)은 부보닉 페스트의 특징이며, 바늘로 유체 샘플을 채취할 수 있습니다.

예방

부보닉 페스트의 발생은 해충 방제와 현대 위생 기술에 의해 통제된다.이 질병은 쥐에게서 흔히 발견되는 벼룩을 동물에서 사람으로 점프하는 매개체로 사용한다.고온다습한 6월, 7월,[23] 8월에 사망률이 최고조에 달합니다.게다가, 전염병은 더 많은 노출, 열악한 위생 기술 그리고 좋지 않은 [23]식단으로 인한 건강한 면역 체계 부족으로 인해 가난한 교육을 받은 사람들에게 가장 큰 영향을 끼쳤다.밀집된 도시 지역에서 쥐 개체수의 성공적인 통제는 발병 예방에 필수적이다.[24]예로 18세기 초 아르헨티나 부에노스아이레스에서 부보닉 페스트를 퍼뜨린 해충을 박멸하기 위해 이산화황을 전달하기 위해 사용된 술푸로자도르라고 불리는 기계를 사용한 것이 있다.표적 화학 친화성, 위생벡터 제어는 2003년 부본성 [25]페스트의 오란 발생을 통제하는데도 한 역할을 했다.유럽 대도시의 또 다른 예방수단은 감염된 사람과의 상호작용을 제한할 뿐만 아니라 감염된 [26]쥐와의 상호작용을 제한하는 도시 전체의 격리였다.

치료

여러 종류의 항생제가 선종성 페스트 치료에 효과적이다.이것들은 스트렙토마이신겐타마이신과 같은 아미노글리코시드, 테트라사이클린(특히 독시사이클린), 플루오로퀴놀론 시프로플록사신을 포함한다.치료되지 않은 환자의 [27]사망률이 40~60%인 것에 비해, 선종성 페스트의 치료된 환자와 관련된 사망률은 약 1~15%이다.

페스트에 감염될 가능성이 있는 사람들은 즉각적인 치료가 필요하며 죽음을 막기 위해 첫 증상으로부터 24시간 이내에 항생제를 투여받아야 한다.다른 치료법으로는 산소, 정맥주사액, 호흡보조장치 등이 있다.폐렴 페스트에 감염된 사람과 접촉한 사람은 예방 항생제를 [28]투여받는다.광범위한 항생제 스트렙토마이신을 사용하는 것은 감염 [29]후 12시간 이내에 부본 페스트에 대해 극적으로 성공하는 것으로 입증되었다.

역학

전염병 감염 동물 분포, 1998

2010년부터 2015년까지 전 세계적으로 3,248건의 사례가 기록되어 584명이 사망했다.[1]가장 많은 사례가 발생한 나라는 콩고민주공화국, 마다가스카르,[1] 페루이다.

2001년 이후 10년 이상 잠비아, 인도, 말라위, 알제리, 중국, 페루, 콩고민주공화국이 콩고민주공화국에서만 1,100명이 넘는 페스트 환자가 발생했다.WHO에는 [30]연간 1,000~2,000건의 사례가 보수적으로 보고된다.2012년부터 2017년까지, 정치적 불안과 열악한 위생 상태를 반영하여, 마다가스카르는 정기적으로 [30]전염병이 유행하기 시작했습니다.

1900년에서 2015년 사이에 미국은 1,036건의 인간 전염병이 발생했고, 연평균 9건의 환자가 발생했다.2015년에는 요세미티 국립공원에서 [31]2건의 사례를 포함해 미국 서부에서 16명이 전염병에 걸렸다.이러한 미국 사례는 보통 뉴멕시코 북부, 애리조나 북부, 콜로라도 남부, 캘리포니아 남부, 오리건 남부 및 [32]네바다 서부 시골 지역에서 발생합니다.

2017년 11월, 마다가스카르 보건부는 세계보건기구(WHO)에 최근 발생한 질병보다 더 많은 환자와 사망자가 발생했다고 보고했다.특이하게도, 대부분의 경우 [33]부보닉보다는 기흉이었다.

2018년 6월 아이다호에서 거의 30년 만에 [34]소아 한 명이 부보닉 페스트에 감염된 것으로 확인됐다.

2019년 5월 몽골에서 한 [35]부부가 마못을 사냥하던 중 사망했다.2019년 11월 중국 내몽골성의 또 다른 2명이 이 [36]질병으로 치료를 받았다.

유럽에서의 시간 경과에 따른 부보닉 페스트의 확산(2차 대유행)

2020년 7월, 중국 내몽골바야누르에서 인간에 의한 부보닉 페스트 환자가 보고되었다.공무원들은 올해 [37]남은 기간 동안 도시 전체의 전염병 예방 시스템을 가동함으로써 대응했다.또한 2020년 7월 몽골에서는 10대 청소년이 감염된 마못 [38]고기를 먹은 후 선종성 페스트로 사망했다.

역사

예르시니아 페스티스는 후기 청동기시대(약 3800 [39]BP) 고고학 발굴물에서 발견되었다.이 박테리아는 2,800년에서 5,000년 [40]전 사이의 아시아와 유럽의 인간의 치아에서 고대 DNA로 확인되었다.

제1차 대유행

첫 번째 기록된 전염병은 사산 제국과 그들의 최대 라이벌인 동로마 제국(비잔틴 제국)에 영향을 미쳤고, 감염된 유스티니아누스 1세의 이름을 따서 유스티니아누스 페스트로 명명되었다.[41][42]이 대유행으로 인해 약 2500만 명에서 5000만 명 (2세기 재발)[43][44]의 사망자가 발생했다.역사학자 프로코피우스는 제2권에서 페스트와의 개인적 만남과 그것이 신흥 제국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썼다.542년 봄, 전염병은 항구도시에서 항구도시로 이동하며 지중해를 중심으로 퍼져 나갔고, 나중에 내륙에서 소아시아로, 서쪽으로 그리스와 이탈리아로 이동했다.유스티니아누스 전염병은 8세기 중반에 "[15]완성"되었다고 한다.당시 사치품을 구입하고 물자를 수출한 유스티니안의 노력으로 상품이 옮겨지면서 전염병이 내륙으로 퍼졌기 때문에 그의 자본은 부보닉 페스트의 주요 수출국이 되었다.프로코피우스는 그의 작품 '비밀사'에서 유스티니아누스가 페스트를 직접 만들어냈거나 그의 [44]죄로 인해 벌을 받고 있는 황제의 악마라고 선언했다.

제2차 대유행

투르나이 시민들은 전염병 희생자들을 묻었다.길리스무이스(1272–1352) 연대기의 축소판.Bibliothéque Royale de Belgique, MS 13076-77, f. 24v.
프랑스 마르티게에 있는 1720년부터 1721년까지 집단 무덤에서 부보닉 페스트로 사망한 사람들

중세 후기 유럽은 1347년 흑사병이 유행하면서 유럽 인구의 3분의 1이 사망했을 때 역사상 가장 치명적인 질병 발병을 경험했다.어떤 역사학자들은 대량 사망률이 생명을 낮추고 따라서 전쟁, 범죄, 민중 반란, 편모충의 물결, 그리고 [45]박해가 증가하면서 사회가 더 폭력적으로 변했다고 믿는다.흑사병은 중앙아시아에서 시작되어 이탈리아에서 다른 유럽 국가들로 퍼져나갔다.아랍의 역사학자 이븐 알-와르드니와 알마크리지는 흑사병이 몽골에서 비롯되었다고 믿었다.중국 기록은 또한 1330년대 [46]초에 몽골에서 대규모 발병이 발생했음을 보여준다.

2022년, 연구원들은 전염병이 키르기스스탄[47]Issyk-Kul 호수 근처에서 시작되었다는 증거를 제시했다.몽골인들은 중국과 유럽 사이의 무역로(실크로드)를 끊었고, 이로 인해 흑사병이 러시아 동부에서 서유럽으로 확산되는 것을 막았다.유럽의 전염병은 몽골인들이 지역에 있는 이탈리아 상인들의 마지막 교역소인 크림 [29]반도카파에 공격을 가하면서 시작되었다.

1346년 말, 전염병이 포위군들 사이에서 발생했고 그들로부터 마을을 침투했다.몽골군은 생화학전의 [48]첫 사례 중 하나인 카파에 전염병이 창궐한 시체를 투척했다.봄이 왔을 때 이탈리아 상인들은 자신도 모르게 흑사병을 싣고 배를 타고 도망쳤다.쥐를 타고 벼룩에 의해 옮겨진 이 전염병은 처음에는 흑해 근처의 인간에게 퍼졌고 한 지역에서 다른 지역으로 사람들이 도망치면서 유럽 밖으로 퍼졌다.쥐들은 곡식 자루, 옷, 배, 마차, 곡물 [19]껍질 사이를 이동하며 인간과 함께 이주했다.지속적인 연구는 주로 질병을 옮긴 검은 쥐들이 주요 [15]식사로 곡물을 선호한다는 을 보여준다.이로 인해 주요 도시의 식량 수송량을 아프리카와 알렉산드리아에서 인구 밀집 지역으로 수송하고 손으로 하역하는 대형 곡물선단이 [15]전염병의 전염 효과에 영향을 미쳤다.

제3차 대유행

그 전염병은 19세기 중반에 세 번째로 다시 나타났다.이전의 두 번의 발병과 마찬가지로, 이번 발병도 동아시아에서 발생했는데, 아마도 중국의 윈난성일 가능성이 높으며, 몇 개의 천연 전염병이 있는 [49]곳일 것이다.최초[50][51]발병은 18세기 후반에 일어났다.이 병은 확산되기 전 몇 년 동안 중국 남서부에 국지적으로 남아 있었다.광둥시에서 1894년 1월부터 시작된 이 질병은 6월까지 8만 명의 목숨을 앗아갔다.인근 홍콩 도시와의 일일 수상 교통은 빠르게 전염병을 퍼트렸고, 1894년 홍콩 [52]전염병 기간 동안 두 달 만에 2,400명 이상의 목숨을 앗아갔다.

현대 대유행으로도 알려진 세 번째 대유행은 19세기 후반과 20세기 초에 선박 [53]항로를 통해 전 세계의 항구 도시들로 이 병을 확산시켰다.전염병은 1900년부터 1904년까지 샌프란시스코의 차이나타운에서,[54][55] 1907년부터 1909년까지 오클랜드와 이스트 베이의 인근 지역에서 사람들을 감염시켰다.1900년부터 1904년까지 샌프란시스코에서 발생한 발병이 당국이 영구적인 중국인 배척법을 제정했을 때였다.이 법은 원래 체스터 A 대통령에 의해 서명되었다. 1882년 아서.중국인 배척법은 10년 동안 지속될 예정이었으나 1892년 기어리법으로 개정돼 1902년 샌프란시스코 차이나타운에서 페스트가 발생하면서 영구화됐다.미국에서 발생한 마지막 주요 질병은 [56]1924년 로스앤젤레스에서 발생했지만, 이 질병은 여전히 야생 설치류에게 존재하며,[32] 그들과 접촉한 사람에게 전염될 수 있다.세계보건기구(WHO)에 따르면, 세계적으로 매년 200명의 사상자가 발생하는 1959년까지 이 대유행은 활발한 것으로 간주되었다.1994년 인도 5개 주에서 발생한 전염병은 약 700명의 감염자(사망자 52명 포함)를 발생시켰고, [citation needed]이 전염병을 피하려는 인도인들의 대규모 이주를 촉발시켰다.

알렉상드르 예르신이 페스트균([57]예르시니아 페스트균)을 [58][57]분리한 것은 1894년 홍콩 페스트의 발발 며칠 후였다.그러나 후자의 서술은 질병과의 관련성에 대한 의구심을 나타내어 부정확했고, 따라서 오늘날 이 박테리아는 예르신의 [57][59]이름을 따서만 명명되었다.

사회와 문화

1720년 전염병 당시의 마르세유 현대 판화
17세기 페스트 닥터의 구리 조각품이야이것은 부보닉 페스트의 예술에서 가장 잘 알려진 표현 중 하나이다.

페스트의 발생과 관련된 사망의 규모와 사회적 격변은 페스트가 처음 인식된 이후 많은 역사적이고 허구적인 설명에서 이 주제를 두드러지게 만들었다.특히 흑사병은 초서, 보카치오, 페트라르크작품을 포함한 많은 동시대 자료에서 묘사되고 언급되고 있으며, 그 중 일부는 서양의 규범으로 여겨진다.보카치오의 '데카메론'은 흑사병을 피하기 위해 피렌체를 떠나 외딴 별장으로 향했던 개인들이 등장하는 프레임 스토리를 사용한 것으로 유명하다.때로는 선정적이거나 허구화된 1인칭의 역병의 세월을 살아온 이야기들은 또한 수 세기와 문화 전반에 걸쳐 인기를 끌었다.를 들어, 사무엘 페피스의 일기는 1665-6년 [60]런던 대 페스트에 대한 그의 직접 경험을 몇 가지 언급하고 있다.

알베르 카뮈의 소설 페스트잉그마르 버그만의 영화 7번째 옥새와 같은 이후의 작품들은 다양한 개념을 탐구하기 위한 배경으로 중세 또는 현대의 격리된 도시들과 같은 환경에서 부보닉 페스트를 사용했다.일반적인 주제로는 전염병 기간 동안 사회, 제도, 개인의 붕괴, 사망률에 대한 문화적, 심리적 실존적 대립, 그리고 현대의 도덕적 [citation needed]또는 정신적인 질문에 대한 전염병의 우화적 사용을 포함한다.

생물전

14세기의 군대들이 전염병을 퍼뜨리기 위해 마을과 마을의 성벽 위로 병든 시체를 투척한 것이 기록되었기 때문에, 생물전의 초기 사례들 중 일부는 전염병의 산물이었다고 한다.이것은 1343년 재니 [citation needed]베그가 카파 시를 공격했을 때 일어난 일이다.

그 후, 페스트는 제2차 중일 전쟁 중에 일본 제국 군대에 의해 세균 무기로 사용되었다. 무기는 이시이 시로부대에 의해 제공되어 전장에서 사용하기 전에 인간을 대상으로 한 실험에 사용되었다.예를 들어, 1940년 일본 육군 항공국은 닝보를 부보닉 [61]페스트를 실은 벼룩으로 폭격했다.하바로프스크 전범 재판에서 가와시마 기요시 소장과 같은 피고인은 1941년 731부대원 40명이 창더에 전염병에 오염된 벼룩을 공중 투하했다고 증언했다.이러한 작전은 전염병 [26]발생을 야기했다.

계속적인 연구

페스트의 기원과 어떻게 그것이 [15]대륙을 통해 이동했는지에 대한 실질적인 연구가 이루어졌다.서유럽 현생 쥐의 미토콘드리아 DNA는 이 쥐들이 두 개의 다른 지역에서 온 것으로 나타났는데, 하나는 아프리카이고 다른 하나는 특정 [15]기원이 불분명합니다.이 대유행과 관련된 연구는 기술과 [15]함께 크게 증가했다.연구진은 고분자 조사를 통해 [15]페스트균에 감염된 사람들의 치아 코어에서 페스트균의 DNA를 발견했다.사망자의 치아 분석을 통해 연구자들은 질병의 인구 통계와 빈소 패턴을 더 잘 이해할 수 있다.예를 들어, 2013년 영국에서 고고학자들은 주로 어린이들로, 부보닉 페스트로 사망한 17구의 시신을 발견하기 위해 무덤을 발견했다.이들은 방사성 탄소 연대 측정법을 이용해 매장 유해를 분석해 1530년대 것으로 추정했으며, 치과 핵심 분석 결과 예르시니아 페스티스의 [62]존재가 밝혀졌다.

현재 연구 중인 쥐에 대한 다른 증거는 뼈에 있는 갉아먹은 자국, [15]포식자 알갱이, 그리고 제자리에 보존된 쥐의 잔해로 구성되어 있다.이 연구는 개인들이 이동 경로를 추적하기 위해 초기 쥐 사체를 추적하고, 차례로 부보닉 페스트의 영향을 특정 종의 [15]쥐와 연결시킬 수 있게 해준다.흑사병 구덩이로 알려진 매장지는 고고학자들이 [63]흑사병으로 사망한 사람들의 유해를 연구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또 다른 연구는 이러한 개별적인 전염병이 모두 상호 연관되어 [16]있다는 것을 보여준다.현재의 컴퓨터 모델은 이 [16]유행병들 사이에 그 병이 사라지지 않았다는 것을 보여준다.그것은 [16]인간 전염병을 일으키지 않고 몇 년 동안 쥐 개체군 안에 숨어 있었다.

「 」를 참조해 주세요.

레퍼런스

  1. ^ a b c d e f g h i j k l m n o p q r s t u v w World Health Organization (November 2014). "Plague Fact sheet N°267".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4 April 2015. Retrieved 10 May 2015.
  2. ^ a b "Plague Symptoms". 13 June 2012.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9 August 2015. Retrieved 21 August 2015.
  3. ^ Clinic, Bubonic plague. "Plague". Mayo Clinic. Retrieved 16 June 2022.
  4. ^ a b c d e f Prentice MB, Rahalison L (April 2007). "Plague". Lancet. 369 (9568): 1196–207. doi:10.1016/S0140-6736(07)60566-2. PMID 17416264. S2CID 208790222.
  5. ^ a b "Plague Resources for Clinicians". 13 June 2012.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1 August 2015. Retrieved 21 August 2015.
  6. ^ "Plague Ecology and Transmission". 13 June 2012.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2 August 2015. Retrieved 21 August 2015.
  7. ^ Edman BF, Eldridge JD (2004). Medical Entomology a Textbook on Public Health and Veterinary Problems Caused by Arthropods (Rev.. ed.). Dordrecht: Springer Netherlands. p. 390. ISBN 9789400710092.
  8. ^ McMichael AJ (August 2010). "Paleoclimate and bubonic plague: a forewarning of future risk?". BMC Biology. 8 (1): 108. doi:10.1186/1741-7007-8-108. PMC 2929224. PMID 24576348.
  9. ^ Keyes DC (2005). Medical response to terrorism : preparedness and clinical practice. Philadelphia [u.a.]: Lippincott Williams & Wilkins. p. 74. ISBN 9780781749862.
  10. ^ Haensch S, Bianucci R, Signoli M, Rajerison M, Schultz M, Kacki S, et al. (October 2010). "Distinct clones of Yersinia pestis caused the black death". PLOS Pathogens. 6 (10): e1001134. doi:10.1371/journal.ppat.1001134. PMC 2951374. PMID 20949072.
  11. ^ a b c "Plague History". 13 June 2012.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1 August 2015. Retrieved 21 August 2015.
  12. ^ Cohn SK (2008). "Epidemiology of the Black Death and successive waves of plague". Medical History. Supplement. 52 (27): 74–100. doi:10.1017/S0025727300072100. PMC 2630035. PMID 18575083.
  13. ^ LeRoux N (2007). Martin Luther As Comforter: Writings on Death Volume 133 of Studies in the History of Christian Traditions. BRILL. p. 247. ISBN 9789004158801.
  14. ^ a b c d e 세반, 플로렌트 등"선종성 페스트의 랫드 모델에서의 질병 진행과 숙주 반응의 역학"미국 병리학 저널 vol.166,5 (2005)
  15. ^ a b c d e f g h i j k l m McCormick, Michael (Summer 2003). "Rats, Communications, and Plague: Toward an Ecological History". The Journal of Interdisciplinary History. 34 (1): 1–25. doi:10.1162/002219503322645439. JSTOR 3656705. S2CID 128567627.
  16. ^ a b c d Travis J (21 October 2000). "Model Explains Bubonic Plague's Persistence". Society for Science and the Public.
  17. ^ a b "Symptoms of Plague". Brief Overview of Plague. iTriage. Healthagen, LLC.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4 February 2016. Retrieved 26 November 2014.
  18. ^ Inglesby TV, Dennis DT, Henderson DA, Bartlett JG, Ascher MS, Eitzen E, et al. (May 2000). "Plague as a biological weapon: medical and public health management. Working Group on Civilian Biodefense". JAMA. 283 (17): 2281–90. doi:10.1001/jama.283.17.2281. PMID 10807389.
  19. ^ a b Echenberg M (2007). Plague Ports: The Global Urban Impact of Bubonic Plague, 1894-1901. New York, USA: New York University Press. p. 9. ISBN 978-0814722336.
  20. ^ Encyclopedia of pestilence, pandemics, and plagues. Joseph Patrick Byrne. Westport, Conn.: Greenwood Press. 2008. pp. 540–542. ISBN 978-0-313-34101-4. OCLC 226357719.{{cite book}}: CS1 유지보수: 기타 (링크)
  21. ^ "Plague, Laboratory testing". Health Topics A to Z.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7 November 2010. Retrieved 23 October 2010.
  22. ^ "Plague – Diagnosis and treatment – Mayo Clinic". www.mayoclinic.org. Retrieved 1 December 2017.
  23. ^ a b Theilmann J, Cate F (2007). "A Plague of Plagues: The Problem of Plague Diagnosis in Medieval England". The Journal of Interdisciplinary History. 37: 374.
  24. ^ Engelmann L (July 2018). "Fumigating the Hygienic Model City: Bubonic Plague and the Sulfurozador in Early-Twentieth-Century Buenos Aires". Medical History. 62 (3): 360–382. doi:10.1017/mdh.2018.37. PMC 6113751. PMID 29886876.
  25. ^ Bertherat E, Bekhoucha S, Chougrani S, Razik F, Duchemin JB, Houti L, et al. (October 2007). "Plague reappearance in Algeria after 50 years, 2003". Emerging Infectious Diseases. 13 (10): 1459–62. doi:10.3201/eid1310.070284. PMC 2851531. PMID 18257987.
  26. ^ a b Barenblatt D (2004). A Plague upon Humanity. pp. 220–221.
  27. ^ "Plague".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5 March 2010. Retrieved 25 February 2010.
  28. ^ "Plague". Healthagen, LLC.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6 June 2011. Retrieved 4 April 2011.
  29. ^ a b Echenberg, Myron(2002).페스티스 리덕스:제3차 부보닉 페스트 대유행의 초년, 1894~1901. 세계사저널, 제13,2권
  30. ^ a b Filip J (11 April 2014). "Avoiding the Black Plague Today". The Atlantic. Retrieved 11 April 2014.
  31. ^ Regan M (January 2017). "Human Plague Cases Drop in the US". PBS. Retrieved 1 January 2017.
  32. ^ a b "Maps and Statistics: Plague in the United States". www.cdc.gov. 23 October 2017. Retrieved 1 December 2017.
  33. ^ "Emergencies Preparedness, Response, Plague, Madagascar, Disease Outbreak News Plague CDC". www.who.int. 15 November 2017.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7 November 2017. Retrieved 15 November 2017.
  34. ^ Kovner, Aliyah (14 June 2018). "A Child In Idaho Has Contracted The First Local Case Of Bubonic Plague In Nearly 30 Years". IFLScience.
  35. ^ Schriber, Melody; Bichell, Rae Ellen (7 May 2019). "Bubonic Plague Strikes in Mongolia: Why Is It Still A Threat?". NPR. Retrieved 8 May 2019.
  36. ^ Yeung, Jessie (14 November 2019). "Two people just got the plague in China — yes, the Black Death plague". CNN. Retrieved 14 November 2019.
  37. ^ Yeung, Jessie (7 July 2020). "Chinese authorities confirm case of bubonic plague in Inner Mongolia". CNN. Retrieved 6 July 2020.
  38. ^ Mathers, Matt (14 July 2020). "Teenager dies of Black Death in Mongolia amid fears of new outbreak". The Independent. Retrieved 14 July 2020.
  39. ^ Spyrou MA, Tukhbatova RI, Wang CC, Valtueña AA, Lankapalli AK, Kondrashin VV, et al. (June 2018). "Analysis of 3800-year-old Yersinia pestis genomes suggests Bronze Age origin for bubonic plague". Nature Communications. 9 (1): 2234. Bibcode:2018NatCo...9.2234S. doi:10.1038/s41467-018-04550-9. PMC 5993720. PMID 29884871.
  40. ^ Rasmussen S, Allentoft ME, Nielsen K, Orlando L, Sikora M, Sjögren KG, et al. (October 2015). "Early divergent strains of Yersinia pestis in Eurasia 5,000 years ago". Cell. 163 (3): 571–82. doi:10.1016/j.cell.2015.10.009. PMC 4644222. PMID 26496604.
  41. ^ Little LK (2007). "Life and Afterlife of the First Plague Pandemic.". In Little LK (ed.). Plague and the End of Antiquity: The Pandemic of 541–750. Cambridge University Press. pp. 8–15. ISBN 978-0-521-84639-4.
  42. ^ McCormick M (2007). "Toward a Molecular History of the Justinian Pandemic". In Little LK (ed.). Plague and the End of Antiquity: The Pandemic of 541–750. Cambridge University Press. pp. 290–312. ISBN 978-0-521-84639-4.
  43. ^ Rosen W (2007). Justinian's Flea: Plague, Empire, and the Birth of Europe. Viking Adult. p. 3. ISBN 978-0-670-03855-8.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5 January 2010.
  44. ^ a b "The Plague of Justinian". History Magazine. Moorshead Magazines, Limited. 11 (1): 9–12. 2009 – via History Reference Center.
  45. ^ 콘, 사무엘 K. (2002)흑사병: 패러다임의 끝American Historical Review, vol 107, 3, 페이지 703–737
  46. ^ Sean Martin (2001). Black Death:Chapter One. Harpenden, GBR:Pocket Essentials. p. 14.
  47. ^ Spyrou, Maria A.; Musralina, Lyazzat; Gnecchi Ruscone, Guido A.; Kocher, Arthur; Borbone, Pier-Giorgio; Khartanovich, Valeri I.; Buzhilova, Alexandra; Djansugurova, Leyla; Bos, Kirsten I.; Kühnert, Denise; Haak, Wolfgang; Slavin, Philip; Krause, Johannes (2022). "The source of the Black Death in fourteenth-century central Eurasia". Nature. 606: 718–724.
  48. ^ Wheelis, Mark (2002). "Biological Warfare at the 1346 Siege of Caffa". Emerging Infectious Diseases. 8 (9): 971–975. doi:10.3201/eid0809.010536. PMC 2732530. PMID 12194776.
  49. ^ Nicholas Wade (31 October 2010). "Europe's Plagues Came From China, Study Finds". The New York Times.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4 November 2010. Retrieved 1 November 2010. The great waves of plague that twice devastated Europe and changed the course of history had their origins in China, a team of medical geneticists reported Sunday, as did a third plague outbreak that struck less harmfully in the 19th century.
  50. ^ Benedict C (1996). Bubonic plague in nineteenth-century China. Modern China. Vol. 14. Stanford, Calif.: Stanford Univ. Press. pp. 107–55. doi:10.1177/009770048801400201. ISBN 978-0804726610. PMID 11620272. S2CID 220733020.
  51. ^ Cohn SK (2003). The Black Death Transformed: Disease and Culture in Early Renaissance Europe. A Hodder Arnold. p. 336. ISBN 978-0-340-70646-6.
  52. ^ Pryor EG (1975). "The great plague of Hong Kong" (PDF). Journal of the Hong Kong Branch of the Royal Asiatic Society. 15: 61–70. PMID 11614750. Retrieved 2 June 2014.
  53. ^ "History Plague CDC". www.cdc.gov. Retrieved 26 November 2017.
  54. ^ Porter D (11 September 2003). "Book Review". New England Journal of Medicine. 349 (11): 1098–1099. doi:10.1056/NEJM200309113491124. ISSN 0028-4793.
  55. ^ "On This Day: San Francisco Bubonic Plague Outbreak Begins". www.findingdulcinea.com.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 December 2017. Retrieved 25 November 2017.
  56. ^ Griggs MB. "30,000 People in Quarantine After Bubonic Plague Kills One in China". Smithsonian. Retrieved 25 November 2017.
  57. ^ a b c HKMSSS 2006, 페이지 35-36. 오류:: 도움말)
  58. ^ 프라이어 1975, 페이지 66
  59. ^ Solomon 1997, 페이지 61–62. 오류:: 1997
  60. ^ Pepys S. "Samuel Pepys Diary - Plague extracts". Samuel Pepys Diary.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7 April 2020. Retrieved 31 August 2019.
  61. ^ "The Independent – 404". The Independent.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2 September 2011.
  62. ^ Pinkowski J (18 February 2020). "Black Death discovery offers rare new look at plague catastrophe". National Geographic. Retrieved 5 December 2020.
  63. ^ Antoine D (2008). "The archaeology of "plague"". Medical History. Supplement (27): 101–14. doi:10.1017/S0025727300072112. PMC 2632866. PMID 18575084.

추가 정보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