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세 세켈리

Moses Székely
모제스 세켈리

모세 스젤리(헝가리어: Székley Moes; 1553년 ~ 1603년 7월 17일)는 1603년 트란실베니아의 왕자였다.

그는 시기문트 바토리 왕자 휘하의 군사 지도자였다.1601년 후자의 세 번째이자 마지막 퇴위 후, 트란실베니아는 합스부르크 장군 조르지오 바스타의 용병들에 의해 통제되었다.1603년 4월 스제켈리는 원주민인 트란실베니아군을 선동하여 반란을 일으켰고, 터키-타르타르 보조군의 지원으로 바스타의 군대를 격파했다.1603년 5월 8일, 스제클리는 트란실바니아의 왕자라는 칭호를 주장했지만, 그의 타르타리아 용병들이 바스타의 군대를 잔인하게 앞섰고, 왈라치아의 새로운 보오데르가 합스부르크의 동맹으로 공격하면서 그의 통치가 불안정하다는 것이 증명되었다.

1603년 7월 17일 브라쇼프 전투에서 모제스를 무찌르고 죽인 모제스의 친족인 스제킬리는 침략자들과 힘을 합쳤다.라두는 바스타의 용병 복귀를 위해 길을 내주며 왈라키아로 철수했다.세켈리는 트랜스빌리언 공국의 유일한 세켈리 군주였다.

초년기

모세 스제켈리는 1553년경 스제킬리우드바르헬리(현재의 루마니아의 오도헤이우 세쿠이에스크)에서 태어났다.[1][2]그의 아버지 야노스 리터티 세켈리는 스제클리 귀족(혹은 프리미필루스)이었다.[1][2]그의 어머니는 알려지지 않았다.[1][2]모세에게는 이스르반과 야노스와 페테르라는 세 형제가 있었다.[1][2]

오스만 제국신하로서 중세 헝가리 왕국의 동쪽 영토를 통치했던 존 시기문트 자폴랴는 1568년 야노스 리타티를 소금 회의실의 이판(또는 머리)으로 만들었다.[1]트란실베니아 역사학자 이스탄 스자모스코지에 따르면 모세는 젊었을 때 소금으로 거래했다.[3]1560년대 후반 존 지기스문트가 유니타리아리즘으로 개종한 후, 모세는 또한 반 트리니티주의 교리를 채택한 많은 세케리 귀족들 중 한 명이었다.[4]

경력

존 시지스문트가 사망한 후, 트란실바니아 의회는 1571년 5월 25일 스티븐 바토리 음소데(또는 통치자)를 선출했다.[5][6]바토리의 상대인 가스파르 베케스는 1575년 여름 로열 헝가리에서 트란실바니아를 침공했다.[6]베케스는 유니타리안이었지만 모세 세겔리는 다른 유명 유니타리안 귀족들과 함께 카톨릭 바토리를 지지했다.[7]그는 입에 칼을 물고 라드노트(지금의 루마니아 이에르넛)의 마로스 강을 헤엄쳐 건너가 결투에서 베케스의 전사 중 한 명을 죽였다.[8]그의 용맹은 바토리가 그를 세겔리 근위대의 지휘관으로 삼은 것에 의해 알아차렸다.[9]모세 세겔리는 7월 8일 바토리의 승리로 끝난 결정적인 케렐슈젠트팔 전투에서 베케스의 군대에 대한 공격을 가장 먼저 지휘했다.[10]

스테판 바토리는 1575년 12월 15일 폴란드-리투아니아 연방의 통치자로 선출되었다.[11]모세는 바토리와 함께 폴란드로 갔다.[12]1577년 단치히 포위 때 보병 지휘관 중 한 사람이었다.[13]1579년 8월 폴로츠크 포위전에서 무릎을 다쳤다.[14]1581년 프스코프 포위전에도 참가하였다.[15]그러나 결투에서 헝가리 귀족의 귀를 자른 후 그는 군대를 떠나야 했다.[15]

모세는 1582년 또는 1583년 펠시소팔바(현재의 루마니아의 Ocna de Sus)에 있는 소금광산의 이스판(ispan)이 되었다.[1][16]머지않아 트란실바니아 공국(현재의 루마니아 주 ș모네슈티와 루에타)의 시멘팔바뢰베테에 있는 왕실 영지가 그에게 주어졌다.[17]그의 저택은 시멘팔바에 지어졌다.[16]모세는 1584년 12월 말에 결혼하였으나 이듬해 아내가 죽었다.[18]역사학자 루카흐스 사도르 스체케레스는 그의 아내가 알려지지 않았다고 말하지만,[18] 주디트 발로흐는 우드바르헬리제크 선장의 딸 엘리자베트 보도니와 그녀를 연관시킨다.[19]모세는 1591년 2월 5일 마지막으로 이스판(ispan)으로 언급되었지만, 스체케레스에 따르면 1594년 또는 1595년까지 이 관직을 유지했을지도 모른다고 한다.[20]

테메바르 에얄레에 살던 세르비아인들은 오스만족에 대항하여 일어나 트란실바니아의 왕자 지기스문트 바토리에게 원조를 구했다.[21]바토리는 작은 군대의 선두에 모세를 파견하여 그들을 도왔다.[21]1594년 6월 트랜실베이니아 군대가 국경을 넘을 무렵, 오스만군은 세르비아군을 무찔렀다.[22]역사학자 주디트 발로흐에 따르면, 세르비아인들의 반란은 트랜스빌리언 군대의 지연으로 인해 발생했다고 한다.[23]모세는 보병의 도착을 기다리지 않고 파사드 요새(현재의 루마니아의 Făget)를 포위했다.[22]트랜스빌리언 기병대는 요새에 침입할 수 없었고 모세는 부상을 입어 11월 30일 포위망을 해제해야 했다.[22]모세는 그 상처에서 완전히 회복하지 못했고 그는 평생 절름발이로 지냈다.[22]

모세는 1595년 6월 왈라키아에서 오스만과의 전쟁에 참가했다.[24]얼마 지나지 않아, 그는 늦은 여름에 오스만 제국에 대한 침략을 감행한 카란세베의 반인 보르벨리에와 합류했다.[24]트랜실베이니아군은 연말을 앞두고 마로스 강을 따라 최소한 6개의 요새를 점령했다.[25]이후 몇 년 동안 활동한 기록이 없어 한동안 공직생활을 포기했음을 알 수 있다.[26]그는 비카팔바(지금의 루마니아의 투레니)의 평민들이 도토리에 채워서 살찌우기 위해 자신의 숲에 돼지를 풀어놓는 것을 막고 싶었지만, 1569년 10월 우드바르헬리제크 법원은 그에 대한 판결을 내렸다.[26]모세는 시기스문트 바토리의 요청에 따라 1598년 3월 바가스(현재의 루마니아의 티에투라)에 있는 자신의 소유지를 리바톤에 있는 왕자의 소유지로 교환했다.[27]

무정부 상태

지기스문트 바토리는 1598년 3월 23일 트란실바니아를 퇴위시키고 신성 로마 황제 루돌프 2세로 이양했다.[28]루돌프는 트란실바니아 정부를 담당할 세 명의 황실 위원들을 지명했다.[28]모세 세겔리는 6월 브라소(현 루마니아 브라쇼프)에서 위원 중 한 명인 바르톨로메우스 페젠과 협상을 시작하며 오스만족이 공국을 침략하기 전에 황제에게 트란실바니아에 군대를 파견할 것을 촉구했다.[29]루돌프 2세의 초저성을 받아들인 후, 왈라치아의 보이보데용감한 미카엘은 황제에게 왈라치아의 군대의 지휘를 담당할 모세 스제클리(Moses Székely)를 보내 달라고 부탁했다.[29]

모세는 바토리의 복원에 대해 시기스문트 바토리의 삼촌 이스탄 보스카이와 비밀 협상을 시작했다.[30]1598년 8월 21일 시기스문트가 콜로즈바르로 돌아온 후, 모세는 스제킬리 전사들을 설득하여 스자스세베스(현 루마니아의 세베)에 있는 시기스문트에게 충성을 맹세하도록 했다.[30]바토리는 모세 세겔리와 이시반 체스키를 바랏(현 루마니아의 오라데아)에 대항하는 군대의 선두에 보냈다. 왜냐하면 바토리의 대장이 그에게 경의를 표하는 것을 거부했기 때문이다.[31]그들이 도착하기 전에 오스만 군대가 바흐드를 포위했다.[31]모세와 그의 세겔리 전사들은 오스만과 타타르로 구성된 행진대대를 마을 부근에서 격파하고 오스만군은 공국에서 철수했다.[31]

지기스문트 바토리는 1599년 3월 21일 다시 트란실바니아를 포기했지만, 이 사건으로 그의 사촌인 앤드류 바토리를 지지했다.[32]루돌프 2세는 용감한 마이클을 설득하여 트란실바니아를 침공하게 했다.[33]수천 명의 세겔리 평민들은 가을에 자유를 회복하겠다고 약속했던 용감한 미카엘과 합류했다.[33]앤드류 바토리는 용자 미카엘과 협상하기 위해 모세 세겔리를 보냈지만, 후자는 화해를 거부했다.[34]모세는 셀렌베르크 전투에서 바토리 군의 최고 사령관이었다.[35]전투가 패배한 후 모세 스제클리(Moses Székeley)는 1599년 10월 29일 괴르제니(현재의 루마니아의 구르기우) 요새에 은신처를 찾았다.[36]폴란드로 도망치려 했던 앤드류 바토리는 11월 3일 스제클리 평민들에 의해 살해되었다.[36]

루돌프 2세는 용감한 마이클을 트란실바니아 주지사로 임명했다.[37]마이클이 그를 트란실베니아 군대의 최고 사령관으로 임명한 후 모세 스제켈리는 줄라페헤르바르에서 그와 합류했지만, 그는 마로스바샤르리(현재의 루마니아의 타르구 무레슈)에 있는 아내를 아버지의 보호하에 남겨둔 상태였다.[38]이윽고 용사 미카엘은 모세와 그의 아들에게 테케메즈실바스(현재의 루마니아의 티사와 실리바슈 데 쿰피)와 그 밖의 콜로즈 군의 부동산을 양도하였다.[39]1600년 1월 24일 용감한 미카엘은 새로운 헌장을 발표하여 바토리족의 통치 기간 동안 모세가 트란실바니아에서 압류한 소유물을 확인하였다.[40]한편 모세를 믿지 못한 음담패드는 항상 루돌프의 사신들에게 모세도 그들의 만남이 성사되면 비밀 문제에 대해 이야기하지 말아 달라고 부탁했다.[41]

용감한 미카엘은 1600년 5월에 몰다비아를 침략했다.[42]우드바르헬리제크의 대위가 된 모세는 마이클의 부대 지휘관 중 한 사람이었다.[42]마이클이 트란실바니아로 돌아온 후, 모세는 월라치아 보야르인 미르자와 함께 음소데의 군대를 지휘하기 위해 몰다비아에 남아 있었다.[43]마이클은 트란실바니아에서 십여 명의 트란실베니아 귀족들에게 왈라키아로 이주하도록 강요했지만 그의 통치를 안정시킬 수는 없었다.[43]모세 세겔리는 1600년 늦여름에 트란실베니아로 돌아와 버젠랜드에서 가스파르 시브리크, 뇨르지 마코, 그리고 다른 트란실베니아 귀족들을 만났다.[44]용감한 미카엘은 8월 말 그들을 줄라페헤르바르로 의회로 소환했으나 모세와 그의 동맹국들은 시기문트 바토리를 설득하기 위해 폴란드로 도망쳐 다시 트란실바니아에 대한 권리를 주장하였다.[45]

가족

모세의 장남 스티븐은 1599년 12월 1일 용감한 미카엘의 헌장에서만 언급되었는데, 이것은 모세가 유아기에 사망했음을 보여준다.[46]의 어린 아들 모세는 그가 죽은 후에 태어났다.

참조

  1. ^ a b c d e f 발록 2012, 페이지 190.
  2. ^ a b c d Szekeres 2007, 페이지 34.
  3. ^ Szekeres 2007, 페이지 36.
  4. ^ Keul 2009, 페이지 125-126.
  5. ^ 그라나스투이 1981, 페이지 401.
  6. ^ a b 바르타 1994, 페이지 260.
  7. ^ Keul 2009, 페이지 126.
  8. ^ Szekeres 2007, 페이지 51.
  9. ^ Szekeres 2007, 페이지 51-52.
  10. ^ Szekeres 2007, 페이지 52.
  11. ^ 바르타 1994, 페이지 261.
  12. ^ 체케레스 2007, 페이지 55.
  13. ^ Szekeres 2007, 페이지 55-56.
  14. ^ Szekeres 2007, 페이지 56.
  15. ^ a b Szekeres 2007, 페이지 57.
  16. ^ a b 체케레스 2007, 페이지 93.
  17. ^ Szekeres 2007, 페이지 57, 93.
  18. ^ a b 체케레스 2007, 페이지 95.
  19. ^ 발록 2012, 페이지 191.
  20. ^ Szekeres 2007, 페이지 100.
  21. ^ a b 체케레스 2007, 페이지 115.
  22. ^ a b c d 체케레스 2007, 페이지 116.
  23. ^ 발록 2012, 페이지 192.
  24. ^ a b 체케레스 2007, 페이지 118.
  25. ^ Szekeres 2007, 페이지 119.
  26. ^ a b Szekeres 2007, 페이지 129.
  27. ^ Szekeres 2007, 페이지 133.
  28. ^ a b Szekeres 2007, 페이지 134.
  29. ^ a b Szekeres 2007, 페이지 135.
  30. ^ a b Szekeres 2007, 페이지 136.
  31. ^ a b c Szekeres 2007, 페이지 137.
  32. ^ Szekeres 2007, 페이지 138.
  33. ^ a b Szekeres 2007, 페이지 141.
  34. ^ Szekeres 2007, 페이지 142.
  35. ^ Szekeres 2007, 페이지 143.
  36. ^ a b Szekeres 2007, 페이지 144.
  37. ^ 체케레스 2007, 페이지 147.
  38. ^ Szekeres 2007, 페이지 148.
  39. ^ Szekeres 2007, 페이지 149.
  40. ^ 체케레스 2007, 페이지 150.
  41. ^ 체케레스 2007, 페이지 151.
  42. ^ a b 체케레스 2007, 페이지 152.
  43. ^ a b Szekeres 2007, 페이지 153.
  44. ^ 체케레스 2007, 페이지 154.
  45. ^ Szekeres 2007, 페이지 154–155.
  46. ^ Szekeres 2007, 페이지 149–150.

원천

  • Balogh, Judit (2012). "Székely Mózes". In Gujdár, Noémi; Szatmáry, Nóra (eds.). Magyar királyok nagykönyve: Uralkodóink, kormányzóink és az erdélyi fejedelmek életének és tetteinek képes története [Encyclopedia of the Kings of Hungary: An Illustrated History of the Life and Deeds of Our Monarchs, Regents and the Princes of Transylvania] (in Hungarian). Reader's Digest. pp. 190–193. ISBN 978-963-289-214-6.
  • Barta, Gábor (1994). "The Emergence of the Principality and its First Crises (1526–1606)". In Köpeczi, Béla; Barta, Gábor; Bóna, István; Makkai, László; Szász, Zoltán; Borus, Judit (eds.). History of Transylvania. Akadémiai Kiadó. pp. 247–300. ISBN 963-05-6703-2.
  • Granasztói, György (1981). "A három részre szakadt ország és a török kiűzése (1557–1605)". In Benda, Kálmán; Péter, Katalin (eds.). Magyarország történeti kronológiája, II: 1526–1848 [Historical Chronology of Hungary, Volume I: 1526–1848] (in Hungarian). Akadémiai Kiadó. pp. 390–430. ISBN 963-05-2662-X.
  • Keul, István (2009). Early Modern Religious Communities in East-Central Europe: Ethnic Diversity, Denominational Plurality, and Corporative Politics in the Principality of Transylvania (1526–1691). Brill. ISBN 978-90-04-17652-2.
  • Pop, Ioan-Aurel (2009). "Michael the Brave and Transylvania". In Pop, Ioan-Aurel; Nägler, Thomas; Magyari, András (eds.). The History of Transylvania, Vo. II (From 1541 to 1711). Romanian Academy, Center for Transylvanian Studies. pp. 75–96. ISBN 978-973-7784-04-9.
  • Szekeres, Lukács Sándor (2007). Székely Mózes: Erdély székely fejedelme [Moses Székely: The Székely Prince of Transylvania] (in Hungarian).

추가 읽기

  • 마그야로르자그 토르테네테 1526-1686.1985년 경의 아카데미아
  • 예지 토폴스키: 렝길로르자그 토르테네테곤돌라트, 1989년.
  • 마르코 라슬로: 마그야르 알람 팰람 Főméltozai Szent Istvántol Napjainkig. 2, bőv, jav. kiadas.2006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