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제스엔아론케르크
Mozes en Aäronkerk좌표:52°22′05″N 4°54′11″E/52.36806°N 4.90306°E
모세와 아론 성당 파두아 카톨릭 교회의 성 안토니오 신트안토니우스케르크의 모제스 엔 아론케르크 | |
---|---|
![]() 워털루플린의 모제스 엔 아론케르크 | |
종교 | |
소속 | 천주교 |
주 | 하렘암스테르담 교구 |
굿 | 라틴 레테 |
교회 또는 조직 상태 | 교구 교회 |
성년 | 1841 |
상태 | 2014년 재검증 |
위치 | |
위치 | 네덜란드 암스테르담 |
시 | 암스테르담 |
주 | 북홀란드 |
건축 | |
설계자 | 틸만프랑수아 수이스 |
유형 | 교회 |
스타일 | 신고전주의, 바로크 |
일반 도급업자 | 요하네스 A. 반 스트라틴[2] |
획기적인 | 1837 |
완료된 | 1841 |
파사드 방향 | 서남의 |
웹사이트 | |
http://www.santegidio.nl/ |
모세와 아론 교회(Dutch: Moes en Aaronkerk)는 암스테르담의 워털루플린 근교에서 [ˌmozzss nn an ararrrkkr(ə)k]라고 발음되는 성당이다.파두아의 앤소니 (Dutch: Sint-Anthoniuskerk)원래 은밀한 교회였던 이 교회는 프란치스코 사제들이 조덴브레스트라트["유위시 브로드 스트리트"]에 있는 한 집에서 운영했는데, 그곳에는 모세와 아론의 벽판이 벽에 걸려 있었다.1970년 현재의 교회는 네덜란드의 문화재 기념물(Dutch: Rijksmonument)로 지정되었다.[1]
역사

종교개혁 이후 첫 세기 동안 암스테르담에서는 1660년 공식적으로 금지된 로마 가톨릭 예배와 액세서리의 공개가 용인되지 않았다.[3]그래서 1641년 프랑시스 사람들은 주덴부르트["유대인 이웃"][4]으로 갔고, 그 후 암스테르담 동쪽 변두리에 있는 주덴부르트["유대인 이웃"으로 갔고,[5] 도시에서는 두 번째인 하우스 교회를 현재 교회의 뒤쪽에 있는 "모이스"라고 불리는 집에 열었다.1682년 브레다 출신의 의사 요하네스 드 브룸 박사가 매입한 이웃집 '아론'(Aaron)과 함께 [6]후트그라흐트["우드 운하"][7]에 있는 그 뒤의 집이 합류하였다.그 후, 또한 1682년에 데이비드 토레스가 소유한 이웃의 부동산이 중개인에 의해 매입되었다.[8]구약성서 형제들의 이름을 따서 지은 이 쌍둥이 집은 교회의 수호성인 세인트루이스에 바쳐진 그들의 숨겨진 교회인 신트-안토니우스케르크보다 더 잘 알려져 있다는 것이 증명되었다.파두아의 앤서니.1690년 사제의 동생 요하네스 드 브룸(Johanes de Vroom)은 네 가지 재산을 모두 하나의 블록으로 통합하였다.[9]그동안 교회 증축은 이미 시작됐고, 매각 이전과 시의회 허가가 나기 전이었다.[10]입구는 조덴브레스트라트에서 후트그라흐트로 옮겨졌다.교회는 1759년에 새로운 정면 등 내외를 장식하였다.그러나 그것은 가톨릭 교회에 대한 금지가 마침내 풀린 19세기 초까지 두 집의 우화 밑에 숨겨져 있었다.[11]1837년과 1841년 사이에 같은 부지에 있는 더 크고 웅장한 건물로 대체되었다.모제스 엔 아론케르크(Moses en Aaronkerk)는 원래 이름인 세인트(Stat)로 교구 계급으로 승격되었다.파두아의 안토니오, 로마 가톨릭 계통이 네덜란드에 복원된 지 4년 만인 1857년.[12]
그러나 점차 그 교회의 교구민들은 암스테르담의 다른 지역을 위해 버림받았고 그 도시의 두 번째로 오래된 교구민들은 그들 중 가장 작은 교구들이 되었다.[13]그 교회는 심지어 1866년에 이름난 공동묘지를 잃어버렸다.1640년에 설립되었으며, 암스테르담의 첫 번째 시립 묘지였다.즉, 그것은 어떤 특정한 교회의 통제하에 있지 않았다; 암스테르담 시청의 통제하에 있었지만, 모제스 엔 아론케르크(Moes en Aaronkerk)는 신트안토 바로 밖에 있는 빈민이나 이방인 같은 불우한 사람들을 주로 매장하는 데 사용되었던 이 공동묘지의 매장 명부를 보관할 수 있도록 허락되었다.현재 웨스퍼스트라트와 니우에 헤렌그라흐트 교차로에서 교회에서 남동쪽으로 225야드(206m)밖에 떨어져 있지 않은 니스포어트["St Anthony's Gate"].
19세기 후반과 20세기 초반 이 교회는 유대인 이웃에 있는 가톨릭의 섬이었다.[14]제2차 세계대전에서 독일의 암스테르담 점령 기간 내내 유대인 빈민가의 랜드마크 역할을 했다.결국 1969년 '신트안토니우스'의 교구가 탄압받았지만 교회는 공식 지위를 유지했다.
2014년 34년의 중단 끝에 교회를 다시 단장하고 평일 기도 예배와 함께 주일 미사가 재개됐다.교회와 그 소송 기능은 암스테르담의 자선 활동의 중심지로 사용하는 산테기디오 공동체에 맡겨졌다.세속적인 결혼식과 문화행사의 배경 제공 등 이전 활동은 중단되었고, 1969년 지역 사회문화단체인 '모세슈이스'("모세하우스")가 문을 열면서 이전에 재정난을 겪었던 적이 있는 지역 사회문화단체는 문을 닫았다.
건설
현재의 건물은 틸만-프랑수아 수이스(1783–1861)가 신고전주의 양식으로 디자인한 1837년부터 1841년 사이에 '물관리 교회'(Dutch: Waterstaatskerk)[15]로 지어졌으며, 3개의 통로와 움푹 들어간 직사각형 합창단이 있다.Suys는 또한 Haarlem에 Groenmarktkerk ["그린 마켓 스트리트"]를 디자인했다.쌍둥이 탑이 있는 이 정면은 파리의 생술피체 교회와 로마의 산티시마 트리니타 데이 몬티에서 영감을 받았다고 한다.[16]
아트웍스
입구 꼭대기에 있는 동상은 그리스도의 축복을 보여준다.1902년(왼쪽 사진)의 엽서에 그는 아래, 왼쪽, 오른쪽에는 아시시의 성 프란치스코와 성 프란치스코 두 동상이 있다.파두아의 앤서니.두 탑에는 성 베드로, 성 바울, 사복음전도사 등 더 많은 동상들이 높이 서 있었다.그들은 자신이 가톨릭 신자인 플랑드르 조각가 얀 침례르트 드 쿠이퍼 (1807–1852)에 의해 만들어졌지만, 그리스도를 제외한 모든 조각상들은 제2차 세계 대전 동안 분실되었다.[17][18]정면은 도배된 벽돌로 만들어졌고, 탑의 철과 나무 부분은 흰색으로 칠해져 있었다.이것은 값싸고 현대적인 재료로 행해진, 고대의 절의 엄숙하고 숭고한 위엄에 대한 완전한 인상을 만들어낸다.이 기둥들은 독일 로어 작센의 벤트하임 지역에서 나온 벤트하임 사암으로 만들어졌다.
1700년경부터 시작된 바로크 제단은 야곱 드 비트(1655–1754)가 그린 "De Verrijzenis van Christus [예수의 부활]"이라는 그림이 그려진 원래의 교회에서 나왔다.제단편에는 소송 달력에 따라 제이콥 드 위트가 쓴 "마리아 아콘디깅 [음란의 메리] 또는 "크리스투스 산헤트 크루이스 [크로스 위의 그리스도]"도 수록된다.Suys는 같은 스타일로 옆 제단을 디자인했다.이들은 드 쿠이퍼에 의해 만들어진 두 개의 18세기 조각상과 네 개의 새로운 조각상을 갖추고 있었다.벽에는 플랑드르 조각가인 페트루스 엘리센스 판 덴 보셰(1841~1921)가 만든 14개의 십자가 정거장 구조물이 있다.[18]
1869년에서 1871년 사이에 찰스-마리 필베르트가[19][20] 설계한 교회 오르간은 리우워든 출신의 오르간 제작자들, 드 게브로이더스 아데마["The Brothers Adema"][21]에 의해 만들어졌다.파이프 중 일부는 프랑스의 오르간 건축가 카바빌레 콜이 공급했다.네덜란드에서 처음으로 바커 지렛대를 사용한 오르간으로, 더 빠르고 강한 음악을 연주할 수 있게 한 프랑스 혁신이다.[19][21]1876년과 1887년에 확장된 [19]이 장기는 1993년과 1994년에 플렌트로프 자안담에서 온 네덜란드의 장기 건설 회사에 의해 마지막으로 복원되었다.그것은 3개의 매뉴얼과 페달 보드에 48개의 레지스터를 가지고 있다.그 존재 내내, 그것은 찰스 마리 위도르와 카밀 생상인과 같은 유명인사들이 연기해 왔다.[19][22]
크로노그램
포털 입구의 보관소에는 1842년부터 라틴어로 된 글귀가 새겨져 있다.
콰이 푸이트 새클리스 서브 시그노 모이탈리스 에타 애런 통계 샐비토리 리노베이션라타 일러스트리오 에에데스
"수세기 동안 모세와 아론의 표식 아래 있었던 것은 구세주의 큰 영광을 위해 새로워졌다."
크로노그램의 굵은 글자는 로마 숫자로 "U"와 "Y"가 "V"를 대신하여 "U"와 "Y"가 1842년도의 총 합을 더하기 위한 수학 방정식을 나타낸다: 5 + 6 + 151 + 1006 + 56 + 56 + 50 + 500 = 1842.
메모리얼스
1866년 4월 26일 암스테르담을 방문했을 때, 프란츠 리스트는 그의 작품 중 하나인 "그란저 미사"의 네덜란드 지휘자 헤르만 판 브리가 이끄는 모제 앙 아론케르크의 오케스트라와 합창단의 연주로 대접을 받았다.[19][23]이 행사는 교회에서 그의 모습이 새겨진 명패에 의해 기념된다.
1992년 12월 살인 10주년 기념일인 12월 8일, 당시 수리남의 독재자 데시 부테르세에게 충성하는 군인들에게 재판 없이 체포, 고문, 살해된 15명의 희생자를 기리는 명판이 모제앙 아론케르크의 옆벽에 놓여졌다.[24][25]
환경
그림(오른쪽 그림)은 1880년 당시와 같이 교회를 특징으로 하고 있다.교회는 전면의 르프로젠그라흐트["레퍼스 운하"]의 물에 반사될 수 있었다.교회 왼쪽을 따라 흐르는 운하는 후트그라흐트["우드 운하"]이었다.1882년 두 운하를 모두 메워 워털루플린을 만들었고, 이후 야외 시장은 조덴브레스트라트에서 새로운 광장으로 옮겨졌다.교회 반대편에는 1968년 정류장을 포함한 블록이 철거되어 새로운 광장인 비세르플린을 만들었다.[18]
참조
- ^ a b (네덜란드어로) Rijksdienst voor het Cultureel Erfgoed [네덜란드 문화재청], "Sint Antonius van Padua", Monummer 6305, Rijksmonentener [Riksmonment의 등록], 2013년 12월 24일 회수.
- ^ (네덜란드어로) "Johannes A. van Straaten", Architectenweb은 2013년 12월 26일을 회수했다.위트레흐트 출신인 요하네스(1781–1858)는 건축가로 시작했지만, 결국 마츠차피즈 토트 베보더링 데르 부우쿤스트[건축진흥을 위한 사회]의 창립자가 되었다.
- ^ (영어로) "암스테르담" 카톨릭 백과사전 1권 (뉴욕시: 로버트 애플턴 주식회사, 1907년)은 2013년 12월 24일을 회수했다.
- ^ Traditionally, the boundaries of the Jodenbuurt are the Amstel River in the southwest, the Zwanenburgwal ["Swans City Wall"] and Oudeschans ["Old Rampart"] canals in the northwest, Rapenburg, a street in the northeast, and the Nieuw Herengracht ["New Patricians Canal"] in the southeast.
- ^ 1628년 암스테르담 중심부의 칼버스트라트["칼프스 스트리트"]에 프랑시스 사람들에 의해 설립된 "데 붐"["나무"]만이 더 오래되었다.(네덜란드어로) "688: 아치프 판 데 파로치 판 데 헤일리게 안토니우스 판 파두아 (Moes en Aaron) [파두아의 성 안토니우스의 교구 아카이브 (모세와 아론)]," 스타자르히프 암스테르담 [암스테르담의 도시기록원]은 2013년 12월 26일을 회수했다.
- ^ (네덜란드어로) 1682년 2월 2일자 "Transportakten voor 1811 [Deeds of 1811]," Staddarchief 암스테르담 [City Archives of Amsterdam]은 2013년 12월 24일 회수되었다.
- ^ 이곳은 생애 첫 20년(1632~1652)을 부모님과 함께 살았던 바루치 스피노자의 출생지다.
- ^ (네덜란드어로) 1682년 6월 23일자 데이비드 토레스를 위한 행위 "Transportakten voor 1811 [Deeds of 1811]," Staddarchief 암스테르담 [City Archives of Amsterdam]은 2013년 12월 24일 회수되었다.집과 마당은 라자루스스테그["라자루스 골목"][라자루스스트라트["라자루스 거리"]와 "주드세케르크"["제위시 교회"] 사이에 있었다.
- ^ (네덜란드어로) 1690년 1월 31일자 요하네스 드 브룸에 대한 증서, "트랜스포탁텐 voor 1811 [1811년 이전의 죽음], Staddarchief 암스테르담 [암스테르담의 도시 기록 보관소], 2013년 12월 24일 회수했다.이 행위에서 교회는 여전히 '유대인 교회'로 등재되었다.
- ^ (네덜란드어로) 나[사벨라어로] 하이[에브리엣] 반 에겐은 "암스테르담의 디에겐덤 반 데 카톨리에케 케켄 10장 [공화국 시대의 암스테르담 가톨릭 교회의 소유권], 비즈드라겐 비스돔 하알렘 [하렘 교구의 리뷰], 제64권(1957), 제64권(1977)-277쪽).
- ^ (영어로) "암스테르담" 카톨릭 백과사전, op. cit.가톨릭 해방은 1796년에 시작되었고 네덜란드 왕국 동안 일부 조정이 이루어졌다.(그러나, 교황은 네덜란드 개혁 교회와 오랑우주의자들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네덜란드에 가톨릭 주교 신설을 위한 협상을 할 수 있었다.)윌리엄 2세의 치세에 따라 상황이 크게 호전되었다.1848년의 새로운 헌법은 카톨릭 해방을 완성했고 카톨릭의 위계질서는 5년 후인 1853년에 이어졌다.
- ^ (네덜란드어로) "688: 힐리게 안토니우스 판 파두아 (Moes en Aaron), 스타자르히프 암스테르담, op. cit.
- ^ (영어로) "암스테르담" 카톨릭 백과사전, op. cit." 1907년까지 암스테르담에는 18개의 파리가 있었다. 그 중 가장 중요한 세 가지는 이름으로 언급되었지만, 신트-안토니우스커크는 종교개혁의 위험한 시기에 헌신적인 봉사를 했음에도 불구하고 그들 중 하나가 아니었다.
- ^ (네덜란드어로) "게시데니스: 케르크 [역사: 교회]," 모세슈이스: 모제스 & 아론케르크, 2013년 12월 24일 회수.
- ^ '워터스타츠커크'는 정부의 돈과 인가를 받아 지어진 교회를 네덜란드어로 1824년부터 1875년 사이에 통상적으로 물 관리를 담당했던 공공사업부 주관으로 지은 말이다.(네덜란드어로 된) "Waterstaatskerk", Wikipedia: 더 자세한 내용은 드 브리지 백과사전을 참조하십시오.
- ^ (독일어로)귄터 메이슈너, 에드, 알제메인 귄스트러 렉시콘:Die Bildenden Künstler aler Zeiten und Völker, 밴드 61: Grau Santos-Grayer [세계의 예술가: 모든 시간과 땅의 시각적 예술가들, 제61권: Grau Santos-Grayer] (Munich and Leipzig: K. G. Saur Verlag, 2009), ISBN978-3-598-23028-8, 페이지 205
- ^ (영어로) "암스테르담" 카톨릭 백과사전, op. cit.
- ^ a b c (네덜란드어로) "Mozes en Aerronkerk", Amsterdam.nl: Gebouwen, Gebiden en kaarten [빌딩, 필드 및 지도], 2013년 12월 27일 검색됨.
- ^ a b c d e (네덜란드어로) "게시데니스: 뮤지크 [역사:Music]," Moeshuis: Moes & Aeronkerk, 2013년 12월 24일 회수.
- ^ 샤를-마리-고데프로이 필버트(1826–1894)는 암스테르담 주재 프랑스 영사(1849–1878), 1880–1887)의 두 배였지만 역시 오르간 마니아였다.그는 오르간 제작자, 심사관, 컨설턴트뿐만 아니라 합창 지휘자, 작곡가로 활동했다.Mozes en Aeronkerk 오르간은 그의 작품들 중 가장 유명하다.
- ^ a b (영어로) 더글러스 얼 부시와 리처드 카셀이 편집한 리처드 카셀, "아데마", "장기: 백과사전" 테일러 & 프랜시스 그룹, 2006) ISBN 0-415-94174-1, 14-15페이지.
- ^ (네덜란드어로) 오르골사이트의 "암스테르담, 모제스 & 애론커크 2011-10-28 웨이백 머신에 보관"은 2013년 12월 26일을 회수했다.
- ^ (영어) 앨런 워커, 프란츠 리스트: The Final Years, 1861-1886 (Ithaca, New York: Cornell University Press, 1996), ISBN 0-8014-8453-7, 103페이지."미사 솔레미스"로도 알려져 있는 "그란저 미사"는 프란츠 리스트 (S.1–S.350)의 작곡 목록에 S.9이다.
- ^ (네덜란드어로) Thea Bielsma, "12월moorden Suriname", Amsterdam.nl은 2013년 12월 8일에 게시했고, 2013년 12월 27일에 회수되었다.
- ^ (네덜란드어로) "허든킹: 2013년 12월 27일 회수된 모제슈아이스: 모제스엔 아론케르크.
참고 문헌 목록
- (네덜란드어로) Fr.달마티우스 판 힐, O.F.M., Fr.O.F.M. Bonfilius Knipping; Van Schuilkerk tot zuilkerk. 게시데니스 판 드 모제스 엔 아에론케르크 테 암스테르담 (암스테르담:우르비 에 오르비, 1941)
- (네덜란드어로) 토마스 폰 데르 덩크, 이엔 카타드라알이 암스테르담의 관음증. 데 보르헤시데니스 반 데 모제스 앙 아론케르크 헥트 워털루플린(Zutpen: Walburg Pers, 2003), ISBN 90-5730-226-8
외부 링크
![]() | 위키미디어 커먼즈에는 모제스 엥 아론케르크(암스테르담)와 관련된 미디어가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