살인-자살

Murder–suicide

살인-자살은 개인이 자살하기 전에 또는 자살하는 동안 한 명 이상의 사람을 죽이는 행위입니다. 살인자살의 결합은 다양한 형태로 나타날 수 있습니다.

  • 다른 사람에게 가해진 살인 후 또는 살인 중 자살
  • 자살폭탄 테러나 고의로 가해자 등을 태운 차량의 추돌 등 자살을 수반하는 살인행위
  • 경찰에 의한 자살행위 중 경찰관 또는 방관자 살해
  • 형사처벌을 면하기 위한 살인 후 자살
  • 유죄로 인한 자기처벌의 한 형태로서 살인 후 자살.
  • 대리 살해 전과 후의 자살
  • 자살 생각을 가진 사람과 연계된 살인.
  • 동의를 얻어 상대방을 살해한 후 스스로 목숨을 끊는 형태의 공동자살

자살에 합법적인 살인은 다음과 같은 세 가지 형태로 생각할 수 있습니다.

  • 비례적 정당방위를 통해 가해자를 살해하는 것은 그 과정에서 스스로 목숨을 끊는 것입니다.
  • 개인이 타인에게 위해를 가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합법적인 살인행위, 즉 스스로 목숨을 끊는 행위
  • 간접적으로 자살에 이르게 하거나 자살에 기여하는 합법적인 살인행위

많은 학교 총기 난사 사건과 같이 많은 총기 난사 사건들이 자살로 끝이 났습니다. 종교적 동기에 의한 자살의 일부 사례는 살인과도 관련이 있을 수 있습니다. 모든 범주화는 정신증의 경우 의도와 관련하여 다소 자의적인 차이를 형성하는 것이며, 여기서 의도는 비합리적이거나 비합리적일 가능성이 더 높습니다. 정신이상으로 적절히 분류된 사건에 대하여 법적 고의(mens rea)를 확인하는 것은 적용될 수 없습니다.

어떤 사람들은 살인-자살이라는 용어를 살인-자살을 지칭하는 데 사용하는데, 이는 과실치사를 포함할 수 있기 때문에 더 포괄적입니다.[1]

이론들

텔라몬의 아들 아약스가 자살을 준비하고 있습니다. 엑세키아스(기원전 550년~525년)가 그린 검은 인물 암포라 묘사의 재현.

정신과 의사 칼 A에 따르면. 메닝거, 살인, 자살은 상호 교환 가능한 행위입니다. 자살은 살인을 예고하는 경우도 있고, 그 반대의 경우도 있습니다.[2] 프로이트적 논리에 따라 유아기 학대로 인한 자연 본능의 심한 억압은 죽음 본능을 뒤틀린 형태로 나타나게 할 수도 있습니다. 인간의 죽음에 대한 생각에 대한 이론이 프로이트의 영향을 강하게 받은 문화인류학자 어니스트 베커는 죽음에 대한 두려움을 무의식 속에서 억압되고 사람들이 거의 알지 못하는 보편적인 현상으로 보고 있습니다.

이 두려움은 개인을 영웅주의로 나아가게 할 수도 있지만 희생양으로 삼을 수도 있습니다. 이 견해에 따르면 영웅주의를 달성하려는 시도가 실패하면 정신질환이나 반사회적 행동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3]

Milton Rosenbaum(1990)은 살인-자살과 관련된 연구에서 살인-자살 가해자는 살인 단독 가해자와 크게 다르다는 것을 발견했습니다. 살인자-자살자들은 매우 우울하고 압도적으로 남성인 것으로 밝혀진 반면, 다른 살인자들은 일반적으로 우울하지 않았고 여성을 그들의 계급에 포함시킬 가능성이 더 높았습니다.[3] 미국에서는 압도적으로 많은 경우가 남성과 여성 사이에서 발생합니다.[4] 파트너 살인의 약 3분의 1은 가해자의 자살로 끝납니다.[citation needed] 국내외 자료와 살인-자살 가해자의 가족 인터뷰를 통해 살인-자살의 주요 예측 변수는 다음과 같습니다: 약물 남용의 이력, 여성 파트너보다 몇 살 연상의 남성 파트너, 헤어지거나 보류 중인 헤어짐, 구타의 이력, 그리고 범인이 자살을 생각한 [citation needed]겁니다

미국에는 살인-자살에 대한 국가적 추적 시스템이 없지만, 이 현상에 대한 의학 연구는 미국에서 연간 1,000~1,500명의 사망자를 추정하며,[5] 대부분은 배우자 또는 친밀한 파트너 사이에서 발생하며, 대부분의 가해자는 남성입니다. 우울증, 결혼 또는/및 경제적 문제, 그리고 다른 문제들은 일반적으로 동기부여가 됩니다.

나중에 자살로 이어지는 살인은 종종 헤드라인 뉴스가 됩니다. 국가 통계에 따르면 모든 살인 사망의 5%가 살인-자살로 인해 발생합니다. 미국 보건복지부, 질병통제센터는 2011년에 100만 명으로 추정되는 성인들이 자살을 시도했다고 보고했고, 같은 기간에 3만 8천 명이 넘는 사람들이 자살을 완료했다고 보고했습니다[6].[7] 연간[8] 624건의 살인-자살 사건의 추정치는 자살의 약 1.6%가 살인과 관련되어 있음을 나타냅니다.

18세기 덴마크에서는 자살로 죽기를 바라는 사람들이 사형을 받기 위해 살인을 저지르기도 했습니다.[9] 그들은 회개가 뒤따르는 살인이 그들의 삶을 망치는 동시에 그들이 지옥을 피할 수 있게 해줄 것이라고 믿었습니다.[9]

참고 항목

참고문헌

  1. ^ Liem, Marieke (2010-05-01). "Homicide followed by suicide: A review". Aggression and Violent Behavior. 15 (3): 153–161. doi:10.1016/j.avb.2009.10.001. ISSN 1359-1789.
  2. ^ 칼 메닝거 어록
  3. ^ a b Van Wormer, K.; Odiah, C. (1999). "The psychology of suicide-murder and the death penalty". Journal of Criminal Justice. 27 (4): 361–370. doi:10.1016/S0047-2352(99)00008-2.
  4. ^ Warren-Gordon, K.; Byers, B. D.; Brodt, S. J.; Wartak, M.; Biskupski, B. (2010). "Murder Followed by Suicide: A Newspaper Surveillance Study Using the New York Times Index". Journal of Forensic Sciences. 55 (6): 1592–1597. doi:10.1111/j.1556-4029.2010.01473.x. PMID 20533976. S2CID 205769141.
  5. ^ 아메리칸 룰렛: 살인-미국에서의 자살. 폭력정책센터
  6. ^ CDC 자살, 한눈에 보는 사실들, 2012
  7. ^ 국가활력통계보고서 제61권, 제6호, 2012년 10월 10일
  8. ^ 폭력정책센터, 아메리칸룰렛, 미국의 살인-자살, 제4판
  9. ^ a b Ebdrup, Niels (March 31, 2012). "Kill to be killed in 18th century Denmark". ScienceNordic. Past Horizons.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March 14, 2013. Retrieved April 1, 2012.

더보기

  • van Wormer, K.; Roberts, A. R. (2009). Death by Domestic Violence: Preventing the Murders and Murder–Suicides. Westport, CT: Praeg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