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약스 대왕

Ajax the Great
아약스 대왕
Antimenes Painter - Black-figure Amphora with Ajax Carrying the Dead Achilles - Walters 4817 - Side A.jpg
죽은 아킬레우스를 실은 검은 형상의 앰포라.월터스 미술관, 볼티모어
거주지프티아
개인정보
부모님텔라몬페리보아
형제의테우커, 트램벨루스, 텔라몬
컨소시엄테크메사
자손에우리사케스 주, 필레우스

아약스(/eeddʒks/) 또는 아이아스(/aa.ss/; 고대 그리스어: αἴα,, 로마자 표기: 아아스[아아아아아아아아아아아아아아아아]아얀토스(Ass)[a]는 그리스 신화영웅으로 텔라몬 왕과 페리보에아 [1]왕의 아들이며 테우케르[2]이복형제이다.그는 중요한 역할을 하며 호메로스의 일리아드트로이 전쟁을 다룬 서사시 시리즈서사시에서 그리스 [3]영웅 중 아킬레우스에 버금가는 용맹한 용맹한 용사로 묘사된다.그는 "텔라모니아 아약스" (에트루리아어로 "아이바스 틀라무누스"로 기록됨), "대아약스" 또는 "대아약스"라고도 불리며, 이는 그를 소아약스라고도 알려진 오일레우스의 아들 아약스와 구별한다.

가족

아약스는 아이아쿠스의 아들이자 제우스의 손자인 텔라몬과 그의 첫 번째 아내 페리보아의 아들이다.삼촌 펠레우스(텔라몬의 형)를 통해 아킬레우스의 사촌이자 테우케르이복형이다.His given name is derived from the root of αἰάζω "to lament", translating to "one who laments; mourner".그러나 헤시오드는 "위대한 어애"에 헤라클레스가 텔레몬과 에리보에아 [4]사이에서 아들이 태어나기를 제우스에게 기도했을 때 아약스가 그의 이름을 얻었다는 이야기를 포함하고 있다.제우스는 신호로 독수리(aetos – αεό)))를 보냈다.그리고 헤라클레스는 부모들에게 그들의 아들을 독수리의 이름을 따서 에이잭스라고 부르라고 명령했다.키몬, 밀티아데스, 알키비아데스, 역사학자 투키디데스를 포함한 많은 저명한 아테네인들은 아약스에서 그들의 혈통을 추적했다.볼로냐(기원전 5세기)의 라크비 사틀네이에게 바쳐진 에트루리아 무덤에는 "텔라모니아 아약스의 가족"[5]이라는 뜻의 아이바스텔문슬이라는 글귀가 새겨져 있다.

신화

묘사

프리기아 사람 데레스의 이야기에서 아약스는 "...강력하다"고 묘사되었다.그의 목소리는 맑았고 머리는 검고 곱슬곱슬했다.그는 일편단심이었고 전투의 [6]맹공에도 아랑곳하지 않았다.한편, 호메로스의 일리아드에서 그는 모든 아카이인들 중에서 키가 크고, 몸집이 크고, 힘이 세다고 묘사된다."아카이아인[7]방파제"로 알려진 그는 아킬레우스동시에 아약스의 아버지 텔라몬과 아킬레우스의 아버지 펠레우스를 훈련시켰다가 헤라클레스가 입힌 사고로 사망했다.그는 겁이 없고, 강하며, 힘이 세다고 묘사되었지만 또한 매우 높은 전투 지능을 것이다.아약스는 청동으로 된 7개의 소가죽으로 만든 거대한 방패를 휘둘러 그의 군대를 지휘한다.가장 주목할 만한 것은, 아약스는 일리아드에 묘사된 어떤 전투에서도 부상을 입지 않았고, 비록 13권에서 포세이돈은 그의 지팡이와 함께 아약스를 공격했지만, 그는 전투에 참여한 신들(아가멤논 제외)으로부터 실질적인 도움을 받지 못한 유일한 주인공이다.디오메데스, 아가멤논, 아킬레우스와 달리, 아약스는 그리스 진영과 배, 파트로클로스의 몸을 방어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는 주로 방어적인 전사로 보인다.트로이군이 공세를 취할 때, 그는 종종 아카이군의 퇴각을 취재하는 모습을 보인다.의미심장하게, 이 시 전체에서 가장 치명적인 영웅들 중 한 명이지만, 아약스는 공격 중인 그를 묘사한 아리스테이아가 없다.

벨베데레 토르소는 기원전 1세기에 아약스를 묘사한 대리석 조각품이다.

트로이 전쟁

일리아드에서, 아약스는 풍부한 힘과 용기로 유명하며, 특히 헥토르와의 두 번의 싸움에서 볼 수 있다.제7권에서 아약스는 제비뽑기로 헥터를 만나 하루 종일 계속되는 결투로 선발된다.처음에는 아약스가 창으로 헥토르를 다치게 하고 큰 [8]돌로 쓰러뜨리지만, 헥토르는 제우스의 지시에 따라 제우스가 이끄는 전령들이 무승부를 부를 때까지 전투를 계속하고, 두 전투원은 선물을 교환하고, 아약스는 보라색 띠를, 헥토르는 아약스에게 날카로운 칼을 건넨다.

아약스와 헥토르의 두 번째 싸움은 아약스가 미케네 진영에 침입하여 배들 사이에서 그리스군과 전투를 벌일 때 일어난다.14권에서는 에이잭스가 헥터에게 거대한 돌을 던지고 이는 [9]헥터를 거의 죽일 뻔했다.15권에서 헥터는 아폴로호에 의해 원기를 회복하고 배를 공격하기 위해 돌아간다.거대한 창을 무기로 휘두르며 배에서 배로 뛰어다니는 아약스는 사실상 혼자서 트로이아군을 저지한다.16권에서 헥터와 아약스는 다시 한번 결투를 한다.그리고 나서 헥토르는 아약스를 무장 해제하고 아약스는 제우스가 헥토르를 편드는 것을 보고 후퇴할 수밖에 없었다.헥터와 트로이 목마는 그리스 배 한 척을 불태우는 데 성공하는데, 이는 거의 전쟁을 끝낸 공격의 절정입니다.아약스는 포시스를 포함한 많은 트로이 목마 영주들의 죽음에 책임이 있다.

아약스는 활 솜씨로 유명한 그의 동생 테우커와 종종 함께 싸웠습니다.아약스는 그의 웅장한 방패를 휘둘렀고, 테우커는 적 트로이아군을 물리치고 뒤에 서 있었다.

아킬레우스는 아가멤논과의 불화 때문에 이 만남 동안 자리를 비웠다.9권에서 아가멤논과 다른 미케네 족장들은 아약스, 오디세우스, 피닉스를 아킬레우스의 텐트로 보내 위대한 전사와 화해하고 다시 싸우도록 유도한다.아약스는 진지한 말투로 호평을 받았지만 아킬레우스를 설득하는 데는 성공하지 못했다.

파트로클로스가 살해되자 헥터는 그의 시신을 훔치려 한다.메넬라오스의 도움을 받은 아약스는 트로이군을 물리치고 전차로 시체를 되찾는데 성공하지만 트로이군은 이미 파트로클로스의 아킬레우스의 갑옷을 벗겨냈다.아약스가 제우스에게 낮의 빛 속에서 싸우거나 죽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전투 중에 내려온 안개를 제거해 달라는 기도는 유명한 것이 되었다.히기누스에 따르면 아약스는 [10]트로이에서 모두 28명을 죽였다.

죽음.

슬픔의 아약스 (아스무스 야콥 카스텐스, 1791년경)

일리아드가 막을 내리자 아약스와 다른 그리스 전사들은 모두 무사하게 살아있다.아킬레우스가 파리에 의해 죽임을 당했을 때, 아약스와 오디세우스는 그의 동반자인 파트로클로스와 [11]함께 시체를 가져와 묻기 위해 트로이아군에 맞서 싸우는 영웅들이다.위대한 방패와 창을 가진 아약스는 시체를 수습하여 배로 운반하고 오디세우스는 트로이아군을 [12]물리친다.매장 후, 각자는 대장장이신 헤파이스토스가 올림포스 산에서 만든 아킬레우스의 마법의 갑옷을 영웅적인 노력에 대한 인정으로 자처한다.누가 갑옷을 입을 자격이 있는지를 결정하기 위해 대회가 열린다.아약스는 그의 힘과 헥토르로부터 배를 구하고 거대한 바위로 쫓아내는 등 그리스인들을 위해 그가 해온 싸움 때문에, 그는 [13]갑옷을 입을 자격이 있다고 주장한다.하지만, 오디세우스는 더 말솜씨가 좋았고, 아테나의 도움으로 의회는 그에게 갑옷을 준다.아약스는 이 결과에 정신이 팔려 "자신의 슬픔에 잠긴" 자신의 가슴에 칼을 찔러 자살한다.[14]리틀 일리아드에서 아약스는 오디세우스의 승리에 격분하여 그리스인들의 소를 죽인다.정신을 차린 후,[15] 그는 수치심에 스스로 목숨을 끊는다.현재 바티칸 박물관에 있는 대리석 몸통인 벨베데레 토르소는 아약스가 [16]"자살을 고려하고 있다"고 묘사하는 것으로 여겨진다.

아약스의 죽음을 개작한 유명한 연극인 소포클레스의 연극 아약스에서 갑옷이 오디세우스에게 주어진 후 아약스는 아가멤논과 메넬라오스를 죽이고 싶을 정도로 모욕감을 느낀다.아테나는 개입하여 그의 마음과 비전을 흐리게 하고, 그는 양떼에게 가서 그들을 죽인다, 그들이 오디세우스와 아가멤논을 포함한 아카이아의 지도자라고 상상하면서.피범벅이 된 그가 정신을 차렸을 때, 그는 자신이 한 일이 자신의 명예를 떨어뜨렸다는 것을 깨닫고 수치심을 느끼기보다는 차라리 자살하기로 결심한다.그는 헥터가 [17]선물을 교환할 때 그에게 준 것과 같은 검으로 그렇게 한다.히아신토스가 죽었을 때처럼 피 속에서 붉은 꽃이 피어나고,[18] 아이라는 이름의 첫 글자도 애도의 뜻을 담고 있었다.그의 유골은 헬레스폰트 [19]입구에 있는 로테아 곶의 황금 항아리에 안치되었다.

아약스의 이복형제인 튜커는 아약스의 시신이나 유명한 무기들을 가지고 오지 않았다는 이유로 아버지 앞에서 재판을 받았다.Teucer는 책임에 대해서는 무죄를 선고받았으나 과실에 대해서는 유죄 판결을 받았다.그는 그의 아버지에게 버림받았고 그의 고향인 아테네 해안의 살라미스 섬으로 돌아가는 것이 허락되지 않았다.

호메로스는 아약스의 정확한 죽음 방식에 대해 다소 모호하지만, 아킬레우스의 갑옷에 대한 논쟁에서 패배한 탓으로 돌린다. 오디세우스가 하데스를 방문했을 때, 그는 아약스의 영혼에게 그에게 말을 걸어달라고 간청하지만, 아약스는 여전히 오래된 싸움에 분개하여 거절하고 조용히 에레부스로 내려간다.

아킬레스처럼, 그는 (호메로스가 아니라도) [20]다뉴브 하구의 백혈병 에서 그가 죽은 후에 살았던 것으로 묘사된다.호메로스 이후의 전설에서 아이아쿠스의 손자이자 제우스의 증손자로 묘사되는 아약스는 살라미스 섬의 수호 영웅이었고, 그곳에서 그는 신전과 이미지를 가지고 있었고, 아이안테이아라고 불리는 축제가 그를 [21]위해 기념되었다.이 축제에서는 로마렉티스테르니움을 떠올리게 하는 소파가 설치되었다.아약스와 아이아쿠스의 가족이 아약스를 동일시하는 것은 주로 살라미스가 그들의 소유가 된 후 아테네 사람들이 우려하는 문제였고, 이때 솔론은 아약스에 대한 아테네인들의 주장을 뒷받침하기 위해 일리아드 (2.557-558년)[22]에 선을 그었다고 한다.그리고 나서 아약스는 아약스의 영웅이 되었다; 그는 아테네에서 예배를 받았고, 그곳에서 시장 안에 조각상이 있었고, 아이안티스 지파의 이름은 그의 [19]이름을 따왔다.파우사니아스는 또한 트로이 해안의 시게이온 근처 해변에 지름 5인치(13cm)의 거대한 뼈대가 나타났다고 말했습니다. 이 뼈들은 아약스의 뼈로 확인되었습니다.

갤러리

궁전

2001년, Yannos Lolos는 신화 속 아이산 왕조의 본거지라고 그가 이론화한 살라미스 섬의 카나키아 마을 근처에 있는 미케네 궁전을 발굴하기 시작했다.이 다층 구조물은 750m2(8,100평방피트)에 달하며 약 30개의 방이 있었다.이 궁전은 트로이 전쟁이 일어난 [23][24]시기와 거의 같은 시기에 미케네 문명의 절정기에 버려진 것으로 보인다.

「 」를 참조해 주세요.

메모들

  1. ^ 기원전 600년 경의 코린트식 검은 모양의 기둥 크레이터로, 코린트식 요타를 사용한 이른바 에우리티오스 크레이터의 비문.

메모들

  1. ^ Tzetzes, John (2015). Allegories of the Iliad. Translated by Goldwyn, Adam; Kokkini, Dimitra. Harvard University Press, Cambridge, Massachusetts, London, England: Dumbarton Oaks Medieval Library. pp. 41, Prologue 526. ISBN 978-0-674-96785-4.
  2. ^ '살라미스 더 아일랜드' 2009-02-22 웨이백머신 살라미스 더 아일랜드 - 살라미나 시 - 그리스
  3. ^ Mike Dixon-Kennedy (1998). Encyclopedia of Greco-Roman Mythology. ABC-CLIO. p. 20. ISBN 1-57607-094-8.
  4. ^ Most, Glenn Warren (2007). Hesiod, The Shield. Catalogue of Women. Other fragments (2018 revised ed.). Loeb Classical Library. p. 295, fragment 188. ISBN 978-0-674-99721-9.
  5. ^ 파파크리스토스, 마리아미티에 레겐데 Miti e Leggende 델란티카 Gregcia 제5권Edizioni R.E.I. (2015년)ISBN 9782372971621
  6. ^ 대레스 프리기우스, 트로이 함락사 13
  7. ^ 호머, 일리아드 6.5
  8. ^ 일리아드, 7.268~272
  9. ^ 일리아드, 14.408~417
  10. ^ 히기누스, 파불래 114
  11. ^ 호머, 오디세이
  12. ^ 아크티누스 밀레투스
  13. ^ Ovid, Matformoses, Rolfe Humphries 옮김 (인디아나폴리스:인디애나 대학교, 1955), 제13권, 305-309페이지
  14. ^ 변신, 트랜스.험프리, 318페이지
  15. ^ 미틀렌의 레체스 "리틀 일리아드 (일리아스 미크라)"
  16. ^ "The Belvedere Torso; Cat. 1192". Vatican Museums. Retrieved 29 January 2015.
  17. ^ 일리아드, 7.303
  18. ^ 파우사니아스 1.35.4
  19. ^ a b 앞의 문장 중 하나 이상에는 현재 퍼블릭 도메인에 있는 출판물의 텍스트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20. ^ Pausanias, 그리스 설명 III. 19. § 13
  21. ^ 파우사니아스 1.35
  22. ^ 호머, 일리아드 2.557~258.
  23. ^ Carr, John (2006-03-28). "Palace of Homers hero rises out of the myths". The Times. London. Retrieved 1 April 2021.
  24. ^ Paphitis, Nicohlas (30 March 2006). "Archeologist links Palace to Legendary Ajax". NBC News. Athens. Retrieved 1 April 2021.

레퍼런스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