머레이 글리슨

Murray Gleeson
머레이 글리슨
Gleeson photo.jpg
2006년 글리슨
제11대 오스트레일리아 대법원장
재직중
1998년 5월 22일~2008년 8월 29일
지명자존 하워드
임명자윌리엄 딘 경
선행제라드 브레넌 경
에 의해 성공자로버트 프렌치
제15대 뉴사우스웨일스 대법원장
재직중
1988년 11월 2일 ~ 1998년 5월 21일
지명자닉 그리너
임명자제임스 롤랜드 경
선행로렌스 경가
에 의해 성공자제임스 스피글먼
홍콩 상고법원의 비상임 판사
취임하다
2009년 3월 1일
임명자도널드 창
개인 정보
태어난 (1938-08-30) 1938년 8월 30일(83)
오스트레일리아 뉴사우스웨일스 주, 윙햄
국적. 호주.
배우자
로빈 패터슨
(1965년)m.
아이들.재클린과 레베카 포함 4명
모교시드니 대학교
한자이름
중국인

앤서니 머레이 글리슨 AC GBS QC(Anthony Murray Gleeson AC GBS QC, 1938년 8월 30일 ~ )는 오스트레일리아의 전직 판사이며 1998년부터 2008년까지 제11대 대법원장을 지냈다.

글리슨은 뉴사우스웨일스 주 윙햄에서 태어났고 시드니 대학에서 법학을 공부했다.그는 1963년 뉴사우스웨일스 변호사 자격을 얻었고 1974년 퀸스 카운셀러를 임명하여 주 주요 변호사 중 한 명이 되었습니다.글리슨은 1988년 뉴사우스웨일스대법원장으로 임명돼 1998년 고등법원으로 승진할 때까지 재직했다.와 사무엘 그리피스(1903년 임명)는 주 대법관에서 고등법원 대법관으로 직접 승진한 유일한 사람들이다.헌법에 명시된 대로, 그는 70번째 생일을 맞으면서 법원에서 은퇴했다.

2020년 10월 스콧 모리슨 총리는 버지니아판사퇴임으로 글리슨의 딸 [1]재클린 글리슨이 고등법원으로 승격될 것이라고 발표했다.

초기 생활

글리슨은 뉴사우스웨일스 윙햄에서 4남매 중 장남으로 태어났다.그는 세인트루이스에서 교육을 받았다. 1953년과 1955년 로렌스 캠벨 웅변대회에서 우승한 헌터스 힐에 있는 조셉스 칼리지에서 시드니 대학에서 예술과 법률 분야의 1등급 우등 학위를 받았습니다.1962년 그의 졸업반 중에는 수상이 되는 존 하워드, 그리고 고등법원 [2]판사로 그와 함께 일한 마이클 커비가 있었다.

법조인 경력

졸업 후 글리슨은 Musphy & Moloney에서 1년간 사무 변호사로 근무했습니다.글리슨은 1963년 뉴사우스웨일스 변호사 자격을 얻었고, 그곳에서 로렌스 스트리트와 앤서니 메이슨과 함께 책을 읽었습니다. - 각각 뉴사우스웨일스 대법원장과 호주 대법원장으로서 그의 미래 전임자입니다.

그는 주로 조세 및 상법 문제, 기업 권력의 범위와 관련된 Strickland v Rocla Concrete Pipes Ltd를 포함한 중요한 헌법 사례에 초점을 맞췄다.

1974년 퀸스 카운셀(QC)로 임명된 이후, 글리슨은 계속해서 상업적이고 헌법적인 문제에 초점을 맞추었다.그러나 그는 1980년 [3]이안 싱클레어 국민당 의원 배심원 앞에서 성공적인 변호를 하는 등 몇몇 유명한 형사 사건에도 출연했다.같은 해 그는 고등법원에서 [3]추밀원에 상고할 수 있는 마지막 허가 사건인 Port Jackson Stevedoring v Salmond & Spragon 항소인을 위해 출두했다.1981년 는 에반스 대 크라이튼-브라운에서 윌리엄 맥마흔 총리를 위해 출두했다.단,[3] 1918년 영연방 선거법에 의거한 사법조사에서는 선거광고의 수사학을 제외했다.글리슨은 1984-1985년 뉴사우스웨일스 변호사 협회 회장을 역임했습니다.

그는 조직적인 변호사였고, 그의 사건들과 심지어 그의 대질 심문까지도 세세하게 준비했다.로데릭 미거 전 항소법관은 글리슨에 대해 농담조로 말했다.그는 전문직 이외의 글을 쓴 적이 없다.그는 음악에도 미술에도 관심이 없다.하지만 그는 꽃을 좋아한다.그는 그들을 [4]시들게 하려고 노려본다."

법조인 경력

뉴사우스웨일스 대법원장

글리슨은 지난 1988년 뉴사우스웨일스 대법원장으로 임명됐으며 1934년 [3]프레데릭 조던 이후 처음으로 대법관으로 직접 승진했다.관례에 따르면, 그는 1989년 뉴사우스웨일스 주의 부지사로 임명되기도 했다.글리슨의 뉴사우스웨일스 대법원장 재임 10년 동안 법원 시스템은 빠르게 증가하는 수요, 비용 제약 및 지연을 포함한 상당한 변화를 다루었습니다.그는 소송을 둘러싼 정치적 논쟁을 위한 적절한 경계를 설명하려고 노력했고, 정의의 적절한 관리는 자유 시장 [3]특권이 아니라 문명화된 정부의 일부라고 단호했다.

대법원장이 형사항소법원에 자주 출두하는 전통은 글리슨 재임 기간에도 지속됐다.역할로 그는 R v Birks에서 재판 변호사의 무능이 상고 이유인 것으로 판명된 재판관, 그리고 심각한 법적 [3]재판에서 공정성의 기본 요건으로서 가난한 피고인이 법적 대리권을 갖는 것으로 판명된 법무장관 v Milat에서 판사로 출연했다.

Gleeson은 또한 행정법, 상업법, 헌법법에 대한 그의 전문지식에 더 적합한 토론회인 항소법원을 자주 주재했다.1992년 그는 그리너 부패방지 독립위원회를 주재하여 닉 그리너를 부패혐의에서 제외시켰지만, 그리너는 뉴사우스웨일스 입법회에서 힘의 균형을 통제하는 무소속 의원들에 의해 수개월 전에 총리직에서 물러나게 되었습니다.다른 주목할 만한 사례로는 그가 헌법상 묵시된 정치적 의사소통의 자유에 대한 권리를 지지하고 의원이 그들의 실적에 대한 진술에 대한 명예훼손으로 고소할 수 없다고 결론 내린 발리나 샤이어 평의회 v 링랜드와 뉴사우스웨일스 입법회가 컴필할 권한을 가진 것으로 판명된 에간윌리스 등이 있다.회계담당자 마이클 이건(당시 입법회 의원)이 서류를 제출하고 비준수로 정직 처분을 내릴 수 있도록 했다.Egan v Chadwick 사건에서 이 권력은 법적 전문적 특권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 것으로 밝혀졌다.

오스트레일리아 대법원장

1998년 5월, 글리슨은 제라드 브레넌 경의 후임으로 호주 고등법원장으로 임명되었습니다.그는 [3]새뮤얼 그리피스 이후 고등법원장으로 임명된 첫 주 대법원장이었다.그는 또한 기사로 임명되지 않은 최초의 대법원장이기도 하다(그러나 호주는 몇 년 전에 기사 작위를 수여하는 관행을 중단했다.대법원장으로 재직하는 동안, 글리슨은 행정권력의 증가와 법원 결정으로 인한 대중의 분노에 직면하여 사법 독립의 중요성을 적극적으로 유지했다.그는 또한 고문, 강제 자백, 재판 [5][6]없이 구금하는 것에 반대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대법원장으로서의 그의 재임 기간 동안 많은 공동 판결과 법원의 비율 데시덴디[3]명확하고 명확하게 제공하는 비교적 빈번한 판결로 특징지어졌습니다.2020년, 머레이 글리슨이 이끄는 또 다른 재판관 다이슨 헤이든의 적어도 6명의 전 동료들이 헤이든을 성추행 혐의로 고소했고, 다른 판사 마이클 맥휴가 머레이 글리슨에게 행위의 혐의 [7]중 하나에 대해 말했다고 주장했다.

2008년 7월 30일 연방법원로버트 프렌치 판사가 글리슨의 뒤를 이어 대법원장이 되는 것이 발표되었다.호주 헌법에 따라 그는 자신의 70세 생일 전날인 2008년 8월 29일 고등법원에서 은퇴했다.그 행사는 캔버라에 있는 고등법원의 의식으로 기념되었다.

홍콩 상고 법원

2008년 11월 7일 글리슨은 홍콩특별행정구 최종항소법원의 비상임 판사로 임명됐다.He is given a Chinese name "紀立信" (Jyutping: gei2lap6seon3) by the Hong Kong Judiciary.[8]

명예

사생활

그는 1965년에 로빈 패터슨과 결혼했고, 이 부부는 4명의 자녀를 두고 있다.그들의 큰 딸 재클린은 시드니 바에서 변호사와 호주 방송국의 [14]법률 고문으로 개업한 후 2014년 호주 연방 법원의 판사로 임명되었습니다.2020년 10월, 그녀[1]스콧 모리슨 수상에 의해 호주 고등법원에 임명되었습니다.또 다른 딸 레베카는 배우 에릭 바나[15]결혼했다.

2006년 9월, Australian Financial Review 잡지는 Gleeson을 호주의 7번째 가장 명백한 [16]권력자로 선정했습니다.

레퍼런스

  1. ^ a b "Prime Minister announces new High Court justices ahead of dual retirement". ABC News. Retrieved 28 October 2020.
  2. ^ Kirby, Michael (16 July 1998). "Murray Gleeson - Law Student". High Court of Australia.
  3. ^ a b c d e f g h Walker, Bret (2001). "Gleeson, (Anthony) Murray". In Blackshield, Tony; Coper, Michael; Williams, George (eds.). The Oxford Companion to the High Court of Australia. Melbourne: Oxford University Press. pp. 305–307.
  4. ^ Ackland, Richard (12 March 2004). "Stand by as Roddy comes off the bench". The Sydney Morning Herald.
  5. ^ Wilkinson, Marian (7 October 2006). "Torture debate: Chief Justice lays down law". The Sydney Morning Herald.
  6. ^ "A Core Value, Annual Colloquium, Judicial Conference of Australia" (PDF). High Court of Australia. 6 October 2006. Archived from the original (PDF) on 4 July 2007. Retrieved 11 October 2006.
  7. ^ "Murray Gleeson: What Did He Know About Dyson Heydon?". A Rich Life. 8 July 2020. Retrieved 8 July 2020.
  8. ^ "Senior Judicial Appointment". Info.gov.hk. Retrieved 29 January 2018.
  9. ^ 영광이다 - 호주 훈장 장교
  10. ^ 호주 훈장의 동반자
  11. ^ 100주년 기념 메달입니다.
  12. ^ "Australian Academy of Law - Member public profile". Australian Academy of Law. Retrieved 31 July 2020.
  13. ^ Choi, Jimmy (1 October 2020). "Police big winners in this year's Honours List". Radio Television Hong Kong. Government of the Hong Kong Special Administrative Region.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6 January 2021. Retrieved 30 September 2021. justice Anthony Murray Gleeson of the Court of Final Appeal
  14. ^ Gleeson, Justice (22 April 2014). "Ceremonial sitting of the Full Court for the swearing in and welcome of the Honourable Justice Gleeson". Fedcourt.gov.au. Retrieved 29 January 2018.
  15. ^ 케이트 하프페니."Under the Gun"Who 매거진2000년 8월 8일
  16. ^ "Howard most powerful". The Sydney Morning Herald. 28 September 2006.

외부 링크

  • 인터뷰 - ABC 라디오 내셔널의 법률 보고서에서는 머레이 글리슨에게 20년간 판사 생활을 이야기합니다.(음성 및 녹취록 이용 가능)
법률 사무소
선행 뉴사우스웨일스 대법원장
1988 - 1998
에 의해 성공자
선행 오스트레일리아 대법원장
1998 - 2008
에 의해 성공자
선행
없음.
홍콩 상고법원의 비상임 판사
2009년 ~ 현재
현존재
관공서
선행 뉴사우스웨일스 주지사
1989 - 1998
에 의해 성공자
우선 순위
선행
밀렛 경
비상임 재판관
홍콩 순위
비상임 재판관
에 의해 성공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