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K 로코모티바 자그레브
NK Lokomotiva Zagreb![]() | |||
풀네임 | 노고메니 클럽 로코모티바 자그레브(로코모티바 자그레브 축구단) | ||
---|---|---|---|
닉네임 | 로코시 | ||
단축명 | LOK | ||
설립됨 | 1914년 5월 1일; | ( ) žSHK 빅토리아로||
그라운드 | 스타디온 크란체비치예바 | ||
역량 | 5,350[1] | ||
대통령 | 틴 돌리치키 | ||
수석 코치 | 실비오 차브라하 | ||
리그 | 프르바 HNL | ||
2020–21 | 프르바 HNL, 8번째 | ||
웹사이트 | 클럽 웹사이트 | ||
| |||
노고메티니 클럽 로코모티바 자그레브(영어: Lokomotiva Zagreb Football Club)는 흔히 로코모티바 자그레브 또는 간단히 로코모티바로 알려진 자그레브에 본부를 둔 크로아티아 프로 축구 클럽이다.이 대회는 한국 최고의 리그인 크로아티아 퍼스트 풋볼 리그에 출전한다.1914년에 창단된 이 클럽의 유일한 성공 시기는 1940년대 후반과 1950년대 초반에 와서 이후 50년의 대부분을 하위 리그에서 보냈다.
2007년과 2009년 사이에 그들은 3회 연속 승진을 하여 크로아티아 축구 리그 시스템에서 4단에서 1위로 올라섰다.그들은 스타디온 막시미르에서 홈경기를 치렀다가 몇 년 동안 스타디온 크란치예바로 이적했는데, 노비 자그레브의 카제리카 근방의 그들만의 그라운드는 정상급 축구에 적합하지 않기 때문이다.
역사
NK 로코모티바는 1914년 žSHK 빅토리아(željeznicharski portsportski klub "Victoria")로 설립되었다.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클럽의 명칭은 ž제즈니차르로 바뀌었고, 그 아래에서 두 전쟁 사이에 경쟁하였다.당시 이들은 대부분 도시의 더 큰 클럽인 그라반스키, 콩코디아, HASHK의 그늘에 있었다.그들은 1940-41 시즌에만 1차전에서 뛰었다.
1945년에, 이 클럽은 로코모티바로 이름이 바뀌었고 곧 그들의 가장 생산적인 해가 이어졌다.이들은 1952년 3위로 끝난 유고슬라비아 퍼스트리그에서 하지덕 스플릿과 레드스타 베오그라드에 이어 8시즌(1947~1955) 연속 출전했다.[2]당시 선수로는 블라디미르 초니치, 블라디미르 컴퍼니, 드라고 흐멜리나, 프란조 베세르디, 전설적인 스테판 보벡의 동생 오토 보벡 등이 있었다.이들은 1956년 유고슬라비아 제2리그에서 우승했으나 1957년 여름 다시 제1리그에서 강등돼 유고슬라비아 최고 비행기로 돌아오지 못했다.이들은 1970년까지 유고슬라비아 제2리그에서 활약한 뒤 유고슬라비아 해체 전 마지막 해에도 유고슬라비아 인터리퍼블릭 리그에서 활약했다.
1991년 크로아티아 독립과 프르바 HNL의 결성 이후 로코모티바는 크로아티아 축구의 하부 리그에서 뛰며 주로 트레차 HNL에서 시간을 보냈고, 2006년 4부 리그로 강등되기 전 로코모티바는 디나모 자그레브의 피더팀이 되었다.이것은 크로아티아 축구 리그에서 가장 믿을 수 없는 상승의 이야기를 촉발시켰다.로코모티바는 다음 세 시즌에 각각 승진을 하여 2006-07 시즌에 체트브르타 HNL에서 1위, 2007-08 시즌에 트레차 HNL에서 2위, 2008-09 시즌에 드루카 HNL에서 3위를 차지했다.
2009년 크로아티아 축구 2부리그에서 1부리그로 승격된 것은 2009-10시즌에 로코모티바가 52년 만에 다시 정상급 비행에 복귀하는 것을 의미했다.리그에서의 부진한 출발에서 회복되어 16개 팀 중 8위로 마감했는데, 리제카와의 홈경기에서 4-2로, 하지크 스플릿과의 홈경기에서 3-0으로, 그리고 하지크 스플릿을 상대로 2-1로 극적인 승리를 거두었다.그들의 최고 득점자인 니노 불레는 14골로 마감했다.
같은 부서에 있는 제 2자에 대한 규정 때문에, 그들은 합법적으로 디나모 자그레브와의 연결을 분리했다.프르바 HNL의 기준에 맞추기 위해 그들은 스타디온 막시미르에서 경기를 한 뒤 지금은 클럽의 본거지가 된 스타디온 크란체비치바로 넘어갔다.[3]클럽의 기지와 유소년 팀 구역은 카제리카 근교에 위치해 있다.[citation needed]
2012-13 시즌은 최근 로코모티바 역사상 최고의 시즌 중 하나였다.이들은 리제카, 하지덕 스플릿, RNK 스플릿 등 클럽에 앞서 2위로 마쳤다.디나모 자그레브에서 빌린 젊은 스타 안드레 크라마리치는 15골로 득점차트 2위를 차지했다.로코모티바는 준우승으로 2013-14 유럽축구연맹(UEFA) 유로파리그 2차 예선에 진출했다.첫 유럽 조우에서 상대는 FC 디나모 민스크와 맞대결을 펼치며 원정 골 룰에서는 2-1로 이겼지만 홈에서는 3-2로 졌다.
로코모티바는 이후 6시즌 동안 4~6위를 기록하며 1. HNL 편으로 자리매김했다.구단은 2015-16 유럽축구연맹(UEFA) 유로파리그에서 에어버스 UK 브레턴 FC를 상대로 유럽 최초로 종합 우승을 달성하고 2016-17 유럽축구연맹(UEFA) 유로파리그 3단계 예선을 통과한 뒤 플레이오프전에서 벨기에 프로리그 K.R.C. 젠크에게 4-2로 패했다.
로코모티바는 COVID-19 대유행으로 중단됐던 2019~20시즌, 리그[4] 2위, 크로아티아 축구컵 준우승으로 마무리되며 결승에서 리제카에게 1-0으로 패하는 등 역대 최고의 시즌을 보냈다.[5]크로아티아의 UEFA 랭킹이 향상되면서 로코모티바가 사상 처음으로 2020-21 유럽축구연맹(UEFA) 챔피언스리그 예선에 진출해 2차 예선에서 SK 래피드 위엔을 비겼다.[6]
이름 변경
- žSHK 빅토리아 (1914–1919)
- 틀제즈니차르 (1919–1941)
- HžSHK (1941–1945)
- FD 로코모티바 (1945–1946)
- FD 크르베나 로코모티바(1946–1947)
- NK 로코모티바(1947–현재)
명예
- 크로아티아 축구 리그 시스템
- 크로아티아 1부 리그
- 크로아티아 2부 리그
- 3위(1): 2008–09
- 크로아티아 컵
- 유고슬라비아 축구 리그 시스템
- 유고슬라비아 1부 리그
- 3위(1): 1952
- 유고슬라비아 2부 리그
- 챔피언 (1): 1955-56
- 준우승(2): 1957-58, 1958-59
플레이어스
현 분대
- 2022년[7] 1월 4일 현재
참고: 국기는 FIFA 자격 규정에 따라 정의된 국가 대표팀을 나타낸다.선수들은 둘 이상의 비FIFA 국적을 보유할 수 있다.
|
|
계약 중인 다른 선수
참고: 국기는 FIFA 자격 규정에 따라 정의된 국가 대표팀을 나타낸다.선수들은 둘 이상의 비FIFA 국적을 보유할 수 있다.
|
|
대출금외
참고: 국기는 FIFA 자격 규정에 따라 정의된 국가 대표팀을 나타낸다.선수들은 둘 이상의 비FIFA 국적을 보유할 수 있다.
|
|
주목할 만한 전직 선수들
참고: 국기는 FIFA 자격 규정에 따라 정의된 국가 대표팀을 나타낸다.선수들은 둘 이상의 비FIFA 국적을 보유할 수 있다.
|
|
최근 계절
계절 | 리그 | 컵 | 유럽 대회 | 리그 득점왕 | ||||||||||
---|---|---|---|---|---|---|---|---|---|---|---|---|---|---|
나누기 | P | W | D | L | F | A | PTS | 포스 | 플레이어 | 목표들 | ||||
2006–07 | 4. HNL | 30 | 25 | 2 | 3 | 94 | 31 | 77 | 1월 1일 | 쥬리카 젤리치 | 16 | |||
2007–08 | 3. HNL | 34 | 28 | 2 | 4 | 105 | 32 | 86 | 2일 오후 | 로버트 메시치 | 34 | |||
2008–09 | 2. HNL | 30 | 18 | 5 | 7 | 50 | 30 | 59 | ↑3길 | 마테오 폴작 | 8 | |||
2009–10 | 1. HNL | 30 | 12 | 6 | 12 | 35 | 38 | 42 | 8일 | 니노불레 | 14 | |||
2010–11 | 1. HNL | 30 | 8 | 9 | 13 | 24 | 37 | 33 | 14일 | R1 | 니노불레 | 11 | ||
2011–12 | 1. HNL | 30 | 12 | 8 | 10 | 33 | 33 | 44 | 7일 | 안드레이 크라마리치 | 5 | |||
2012–13 | 1. HNL | 33 | 16 | 9 | 8 | 54 | 38 | 57 | 두 번째 | RU | 안드레이 크라마리치 | 15 | ||
2013–14 | 1. HNL | 36 | 15 | 7 | 14 | 57 | 59 | 52 | 5일 | 유로파 리그 | QR2 | 앙테 부디미르 | 14 | |
2014–15 | 1. HNL | 36 | 13 | 7 | 16 | 59 | 68 | 46 | 4일 | QF | 도마고이 파비치 | 8 | ||
2015–16 | 1. HNL | 36 | 16 | 4 | 16 | 56 | 53 | 52 | 4일 | QF | 유로파 리그 | QR2 | 프랑코 안드리자셰비치 | 12 |
2016–17 | 1. HNL | 36 | 12 | 8 | 16 | 41 | 38 | 44 | 5일 | QF | 유로파 리그 | PO | 요시프초리치 | 6 |
2017–18 | 1. HNL | 36 | 14 | 9 | 13 | 47 | 48 | 51 | 5일 | SF | 로브로 마저 | 11 | ||
2018–19 | 1. HNL | 36 | 13 | 10 | 13 | 51 | 43 | 49 | 6일 | QF | 데얀 라돈지치 | 8 | ||
2019–20 | 1. HNL | 36 | 19 | 8 | 9 | 57 | 38 | 65 | 두 번째 | RU | 리림 카스트라티 마르코 톨리치 | 11 | ||
2020–21 | 1. HNL | 36 | 7 | 9 | 20 | 29 | 60 | 30 | 8일 | R2 | 챔피언스리그 | QR2 | 요시프 피바리치 | 6 |
유로파 리그 | QR3 |
유럽 기록
계절 | 경쟁 | 둥글다 | 상대 | 홈 | 멀리 | 아그. |
---|---|---|---|---|---|---|
2013–14 | UEFA 유로파 리그 | QR2 | ![]() | 2–3 | 2–1 | 4–4 (a) |
2015–16 | UEFA 유로파 리그 | QR1 | ![]() | 2–2 | 3–1 | 5–3 |
QR2 | ![]() | 2–1 | 0–6 | 2–7 | ||
2016–17 | UEFA 유로파 리그 | QR1 | ![]() | 4–1 | 3–1 | 7–2 |
QR2 | ![]() | 3–0 | 1–1 | 4–1 | ||
QR3 | ![]() | 0–0 | 3–2 | 3–2 | ||
PO | ![]() | 2–2 | 0–2 | 2–4 | ||
2020–21 | UEFA 챔피언스리그 | QR2 | ![]() | 0–1 | ||
UEFA 유로파 리그 | QR3 | ![]() | 0–5 |
인원
코칭스태프
포지션 | 스태프 |
---|---|
코치 | ![]() |
보조 코치 | ![]() ![]() |
골키퍼코치 | ![]() |
피트니스 코치 | ![]() |
의사들 | ![]() ![]() |
테크니컬 디렉터 | ![]() |
물리치료사 | ![]() ![]() ![]() |
최종 업데이트: 2021년 7월 31일
출처: NK 로코모티바 공식 웹사이트
코칭이력
보그단 쿠바즈
헤르메닐도 크란지크
스레텐 치크(2007년 – 2008년 12월 30일)
일리야 론차레비치(2009년 1월 1일 – 2009년 3월 6일)
셸지코 파카신 (C) (2009년 3월 7일 ~ 2009년 4월 29일)
로이 페렌치나(2009년 4월 29일 – 2010년 10월 3일)
류프코 페트로비치(2010년 10월 3일~2011년 3월 14일)
크루노슬라프 쥬르치치(2011년 3월 14일 – 2011년 5월 26일)
마리조 토트(2011년 6월 1일 ~ 2011년 10월 29일)
안테 차치치(2011년 10월 31일 – 2011년 12월 23일)
토미슬라프 이브코비치(2011년 12월 23일 ~ 2015년 5월 11일)
마르코 핀치치치 (C) (2015년 5월 11일 – 2015년 6월 3일)
안테 차치치(2015년 6월 3일 – 2015년 9월 21일)
스레텐 치크 (2015년 9월 21일 – 2016년 5월 30일)
발렌틴 바리시치(2016년 5월 30일 – 2016년 7월 6일)
마리오 토키치 (C) (2016년 6월 – 2016년 7월 25일)
토미슬라프 이코비치 (2016년 7월 25일 – 2016년 11월 14일)
마리오 토키치(2016년 11월 14일 – 2017년 12월 5일)
드라젠코 프르스칼로 (C) (2017년 12월 5일 – 2017년 12월 27일)
고란 토미치(2017년 12월 27일 ~ 2021년 1월 9일)
저코 레코 (2021년 1월 9일 – 2021년 3월 13일)
사미르 토플락 (2021년 3월 14일 – 2021년 5월 28일)
참조
- ^ "Stadion Kranjčevićeva". prvahnl.hr. Retrieved 6 July 2018.
- ^ "Povijest" (in Croatian). NK Lokomotiva.
- ^ "Kranjcevic's no longer mocked, to the delight of Lokomotiva, Rudeš and all our first team players" (in Croatian). tportal.hr/. Retrieved 20 April 2020.
- ^ "Arhiva sezone 2019/20 - Hrvatski Telekom Prva liga". prvahnl.hr. Retrieved 13 August 2020.
- ^ "Rijeka - Lokomotiva 1:0 - Hrvatski nogometni savez". hns-cff.hr. Retrieved 13 August 2020.
- ^ UEFA.com. "Draws UEFA Champions League". UEFA.com. Retrieved 13 August 2020.
- ^ "1. momčad – igrači" [First squad – players] (in Croatian). NK Lokomotiva Zagreb. Retrieved 25 December 2021.
외부 링크
![]() | 위키미디어 커먼즈에는 NK 로코모티바와 관련된 미디어가 있다. |
- 공식 웹사이트
(크로아티아어로)
- 로코모티바 프로필 UEFA.com
- 로코모티바 프로필 Sportnet.hr (크로아티아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