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연골
Nasal cartilages코연골 | |
---|---|
![]() 코의 연골.측면도(오른쪽 가운데 파란색으로 보이는 큰 연골) | |
![]() 아래에서 본 코의 연골. | |
세부 사항 | |
식별자 | |
라틴어 | 나연골 |
메쉬 | D055171 |
TA98 | A06.1.01.006 |
TA2 | 3136 |
FMA | 59502 |
해부학 용어 |
코 연골은 코 [1]안의 구조물로 비강에 형태와 지지를 제공한다.코의 연골은 [2]코의 원위부에 있는 히알린 연골이라고 불리는 유연한 물질로 구성되어 있습니다.비강을 구성하는 5개의 개별 연골이 있다: 비중격 코 연골, 외측 코 연골, 대경골 연골, 작은 경골 연골, 세사모이드 또는 부속 연골, 그리고 보메론나살 연골.
코 연골은 코의 다른 연골 구조나 얼굴 골격의 뼈와 연관되어 있다.이러한 연관성은 비강에서 폐로 또는 그 반대로 공기가 흐를 수 있도록 코 안에 환기구와 같은 구조를 만듭니다.따라서 코연골은 호흡기능이 있는 몸이 산소를 섭취하거나 이산화탄소를 배출하도록 돕는 구조다.
코 연골의 이상이나 결함은 비강을 통과하는 기류에 영향을 미쳐 호흡 장애를 일으킨다.최대한의 기류가 다시 이루어지도록 위치를 조정하거나 코 연골을 복구하는 수술 기술이 개발되었습니다.이러한 수술 기술들 중 일부는 중격성형술(중격 코 연골 재건술), 상부 외측 연골 재배치(외측 코 연골 재건술), 그리고 슬라이딩 외측 연골(주요 외측 연골 재건술)을 포함한다.코의 외과적 재건술인 코 성형술은 최근 기능적, 사회적 목적으로 인기가 높아지고 있다.
다른 포유동물들도 또한 비강의 구조와 기능을 유지하기 위해 코 연골을 가지고 있다.코 연골의 방향은 콧구멍과 코구멍의 다양한 모양과 크기를 만들어 낼 수 있습니다.대부분의 경우, 동물들은 코 안에 비슷한 연골 구조를 가지고 있지만 그들이 가지고 있는 연골 구조의 수는 다양하다.당나귀, 버팔로, 낙타는 인간과 비슷한 다양한 연골 구조를 가지고 있지만 모두 비중격 코 연골이 없다.대신, 그들은 여러 개의 성분이 합쳐져서 비중격(septum)을 형성합니다.비록 코 연골이 종마다 다르지만, 그것들은 모두 호흡기의 기능을 돕는다.
구조 및 기능
비중격 비연골
비중격 코 연골은 납작하고 사각형 모양의 히알린 연골 조각으로 양쪽 코 구멍을 서로 [3]분리한다.비중격 비연골은 체골의 수직판과 보머골 사이의 위치에 들어가면서 내부 점막에 의해 덮여 있다.비중격 비연골의 윗부분은 코뼈에 부착되고 아랫부분은 섬유조직을 통해 경음기 연골에 부착된다.비중격 비연골은 좌우 비강을 구분하여 공기가 비강을 통과할 수 있도록 한다.두 개의 공동을 마련하면 좁은 공간 내에서 난류가 발생하여 공기가 양방향으로 더 빨리 흐를 수 있습니다.비중격 비연골은 코의 방향을 결정하는 주요 구조이며, 기관의 중간 구조이다.비중격 코 연골을 상쇄하면 코가 비뚤어져 보일 것이다.비뚤어진 코는 폐에서 폐로 들어오는 공기 흐름을 막을 수 있다.[4]이것은 낮은 산소로 인해 호흡기 문제를 야기할 수 있지만 체내에서 높은 이산화탄소로 인해 발생할 수 있다.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외과적 절차를 중격성형술이라고 한다.
외측코연골
외측 비강 연골은 중격 [5]비강 연골에서 뻗어나온 날개 모양의 확장이다.외측코연골은 코뼈보다 아래쪽에 위치하면서 큰경랑연골보다 위쪽에 위치하고 좁은 틈으로 분리된다.외측코연골과 대경골연골은 서로 상호작용을 통해 말려 올라가 섬유조직을 통해 단단한 연결을 형성합니다.비중격 코 연골과 마찬가지로, 외측 코 연골은 히알린 연골로 구성되어 있습니다.히알린 연골은 특정 구조 내에서 형태와 유연성을 제공합니다.
외측 비강 연골의 윗부분은 비중격과 융합하여 비강 내를 지탱합니다.측비연골이 붕괴되면 내부 코 판막이 막혀 공기 [6]흐름이 방해될 수 있습니다.내측 비강 밸브 내의 폐색 부위를 완화하고 코 전체의 최대 공기량(상측 연골 위치 변경)을 회복하기 위한 새로운 수술 기술이 구성되었습니다.
큰눈썹연골
큰눈썹 연골은 코끝의 [7]양쪽에 하나의 구조를 가지고 있습니다.또한 대경추연골은 섬유조직을 통해 외측코연골과 연결되어 있다.히알린 연골로 구성된 이 구조들은 매우 얇고 접혀서 측면과 안쪽의 십자형을 형성합니다.내측 십자돌기는 비중격 비연골에 수직으로 위치한 주요 경골 연골의 내부 부분이다.외측 십자돌기는 코의 후두근과 관련된 주요 경추연골의 바깥쪽 부분이에요.
두 개의 돌기가 합쳐져서 각각의 콧구멍에 타원형의 끝을 형성합니다.큰눈썹 연골의 양쪽이 합쳐져 끝부분에 칼자국이 생기는데, 이것을 코의 꼭대기라고 한다.내측벽과 외측벽의 형성과 함께 주요 연골은 각 나리를 열어주는 기능을 한다.이를 통해 최대 공기 흐름이 비강 판막에 도달하여 최적의 호흡을 가능하게 합니다.일부 개인에서는 외측 십자골에 해당하는 약함으로 인해, SAC라고 불리는 기술은 [8]코끝을 재구성하고 지탱하는 시술이 되어 왔다.
작은눈썹연골
코의 양쪽에 있는 작은 히알린 연골 조각 3~4개로, 코 옆 연골과 큰 [9]연골 사이에 위치하고 있습니다.코의 후두부에 관련지어져 있는 이러한 작은 구조는 후두부의 가장 등쪽에 포함되어 있습니다.다른 이름인 "부속 연골"으로도 알려진 이 구조들은 큰 경적 연골과 함께 네어스의 밑부분에 형태와 강도를 제공하는 데 도움을 줍니다.
보메로나살 연골
보머나살 연골은 보머에 부착되어 중격 코 [10]연골에 이르는 히알린 연골의 얇은 조각입니다.이 구조는 보조 후각 시스템의 일부인 보메로나살 기관과 연관되어 있습니다.이 연관된 기관은 코의 후각 영역과 유사한 상피로 형성되어 후각에서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보머나살 연골은 힘과 구조를 제공하는 코의 또 다른 작은 구성요소이다.
재구축
새로운 기술의 진보와 함께, 개인의 라이프 스타일과 건강을 조절하기 위한 재건과 수술 기술이 개발되었습니다.코 성형술은 현대에서 더욱 보편화된 수술 중 하나이다.일부 비형성술에는 중격성형술, 미끄럼틀연골, 상측연골 재배치술 등이 있다.이러한 시술은 코와 관련된 기능적인 문제뿐만 아니라 미용적인 문제에도 도움이 됩니다.코 연골에 대한 지식이 증가함에 따라 다른 재건 시술도 제작 및 테스트되고 있습니다.
셉트 성형술
비중격성형술은 [11]코 중앙에서 비중격 코 연골을 펴는 수술이다.비뚤어진 격막은 사람이 숨쉬기가 더 어려워지고 부비강 감염 위험이 높아진다.편중격이라고도 불리는 비뚤어진 코는 [4]코의 한쪽 또는 양쪽을 막아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칩니다.그러나 편중격은 매우 흔하며 항상 호흡기 질환을 일으키는 것은 아니다.호흡기 질환은 대개 더 심각한 경우에 발생하며,[11] 치료를 위해 수술이 필요하다.중격의 적당한 경우로 인해 외관상의 변화를 원하는 개인에게도 수술이 허용된다.수술 시 외과 의사가 비중격 코 연골의 일부를 잘라내고 제거해야 할 수 있으며, 나중에 재구성된 형태로 교체합니다.이것은 3~6개월 후에 수술이 완전히 치유될 때 콧구멍을 통해 더 많은 공기 흐름을 받을 수 있게 해줄 것이다.그러나 이 수술 절차와 관련된 몇 가지 위험이 있습니다.이러한 위험에는 코 모양의 변화, 과도한 출혈, 중격의 빈 공간, 냄새 문제, 제거해야 할 혈전, 얼굴 부위의 마비 등이 포함됩니다.흡연은 또한 횡격막 수술의 치유 과정에서 더 큰 피해를 초래할 수 있다.
상부 측연골 위치 조정
상부 측연골 위치 조정 절차는 측비 연골을 움직여 코 [6]판막을 막는 것입니다.코 판막은 코 안의 가장 작은 기도이며 폐색에 대한 흔한 장소입니다.다른 외과적 시술은 비중격 비강과 외측 비강 연골을 서로 분리하는 이식편을 사용함으로써 이 공기를 개방한다.이식편은 이러한 장치를 제거하는 것이 복잡하기 때문에 영구적으로 사용해야 한다.상부 측연골 위치 조정 기술은 측비 연골을 위치시키고 흉터 조직 형성에 의해 치유/정지시킨 후 제거되는 임시 절개를 전개합니다.이 개방성 코 성형 시술은 인공 하드웨어를 사용하지 않고도 코를 최적의 위치로 치유할 수 있게 해줍니다.이 시술은 측비연골 기형과 관련된 문제를 해결하는 한 가지 방법일 뿐이다.가장 간단하고 안전한 수술 절차를 만들기 위해 다른 시술들이 생산되고 개선되고 있다.
슬라이딩 알라 연골(SAC)
미끄럼틀 연골은 코끝을 [8]강하게 하고 지탱하는 시술입니다.이 의료행위는 이 구조를 다시 만들기 위해 대연골에서 완료된다.큰눈썹연골은 매우 약해지거나 기형을 일으켜 호흡장애를 일으킬 수 있다.대경추 연골을 다시 형성하는 다른 의료 절차들은 이식편이나 연골 재절개를 사용한다.SAC 절차는 2~3분 이내에 완료됩니다.그 시간 동안 코끝을 절개하고 큰 경적연골을 조작하여 스크롤 영역을 보존하여 힘과 구조를 제공하고 절개 부위를 [12]봉합한다.이 간단한 기술은 기도 기능을 유지하면서 팁 정의를 생성합니다.대경골 연골을 강화하는 다른 시술들이 있지만, SAC 시술은 일반적인 코 성형 수술로 탄력을 받고 있다.
레퍼런스
- ^ Lang, Johannes (1989). Clinical Anatomy of the Nose, Nasal Cavity and Paranasal Sinuses. Thieme. pp. 10–15. ISBN 978-3-13-738401-4. Retrieved March 11, 2021.
- ^ Krishnan, Yamini; Grodzinsky, Alan J. (2018). "Cartilage Diseases". Matrix Biology. 71–72: 51–69. doi:10.1016/j.matbio.2018.05.005. ISSN 0945-053X. PMC 6146013. PMID 29803938.
- ^ Gleason, Edward Baldwin (1918). A Manual of Diseases of the Nose, Throat, and Ear. W.B. Saunders Company. pp. 56–57. Retrieved March 25, 2021.
- ^ a b BOCCIERI, A. (2013). "The crooked nose". Acta Otorhinolaryngologica Italica. 33 (3): 163–168. ISSN 0392-100X. PMC 3709523. PMID 23853411.
- ^ Schünke, Michael; Ross, Lawrence M.; Schulte, Erik; Lamperti, Edward D.; Schumacher, Udo (2007). Thieme Atlas of Anatomy: Head and Neuroanatomy. Thieme. p. 18. ISBN 978-1-58890-441-6. Retrieved March 25, 2021.
- ^ a b Stupak, Howard D. (2011-02-01). "Endonasal Repositioning of the Upper Lateral Cartilage and the Internal Nasal Valve". Annals of Otology, Rhinology & Laryngology. 120 (2): 88–94. doi:10.1177/000348941112000203. ISSN 0003-4894. PMID 21391419. Retrieved March 30, 2021.
- ^ Morris, Sir Henry; McMurrich, James Playfair (1907). Morris's Human Anatomy; a Complete Systematic Treatise. Vol. 3. P. Blakiston's son & Company. pp. 1068–1069. Retrieved April 6, 2021.
- ^ a b Ozmen, Selahattin; Eryilmaz, Tolga; Sencan, Ayse; Cukurluoglu, Onur; Uygur, Safak; Ayhan, Suhan; Atabay, Kenan (2009). "Sliding Alar Cartilage (SAC) Flap: A New Technique for Nasal Tip Surgery". Annals of Plastic Surgery. 63 (5): 480–485. doi:10.1097/SAP.0b013e31819538a8. ISSN 0148-7043. PMID 19801923. Retrieved March 30, 2021.
- ^ Toldt, Carl; Rosa, Alois Dalla (1919). An Atlas of Human Anatomy for Students and Physicians. Rebman Company. p. 470. Retrieved April 7, 2021.
- ^ "Vomeronasal cartilage". IMAIOS. Retrieved 2021-04-09.
- ^ a b "Septoplasty – Mayo Clinic". www.mayoclinic.org. Retrieved 2021-03-23.
{{cite web}}
: CS1 maint :url-status (링크) - ^ Racy, Emmanuel; Fanous, Amanda; Pressat-Laffouilhere, Thibaut; Benmoussa, Nadia (2019). "The Modified Sliding Alar Cartilage Flap: A Novel Way to Preserve the Internal Nasal Valve as Illustrated by Three-Dimensional Modeling". Plastic and Reconstructive Surgery. 144 (3): 593–599. doi:10.1097/PRS.0000000000005991. ISSN 0032-1052. PMID 31461010. Retrieved April 8, 20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