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시바토키
Nashiba Tokioki남작 나시바토키 | |
---|---|
![]() | |
네이티브 이름 | 梨羽 時起 |
태어난 | 일본 조슈 번 | 1850년 9월 24일
죽은 | 1924년 10월 24일 [1] | (74세)
얼리전스 | ![]() |
서비스/지점 | ![]() |
근속년수 | 1880-1907 |
순위 | ![]() |
전투/와이어 | 보신 전쟁, 중일 전쟁, 러일 전쟁 |
기타작업 | 하우스 오브 피어스 |
토키오키 나시바 남작(梨iba 18, 1850년 9월 24일 ~ 1924년 10월 24일)은 1904년 야시마 해군의 전함 참사에서 활약한 것으로 유명한 일본 초기의 해군 제독이었다.
전기
나시바는 조슈 번(현재의 야마구치 현)에서 1000명의 고쿠 사무라이 가신의 4남으로 태어났다.어렸을 때, 그는 나시바 가문에 입양되었고, 그들의 이름을 땄다.그의 형은 시나노조 아리치 제독이었다.
사무라이 청년 시절, 도쿠가와 막부를 타도하기 위해 보신 전쟁에서 대대장으로 참전했다.그 후 1871년부터 철도부의 새로운 메이지 정부에서 근무했다.
1880년 8월, 일본 제국 해군에 입대하여, 프리깃함 후지산과 코벳 츠쿠바, 덴류, 콩고, 가쓰라기, 치요다에서 복무했다.제1차 중일 전쟁 때는 포병선 아카기에 이어 코르벳 아마기에 올랐다.
전쟁이 끝난 후 쿠레 해군지구에서 어뢰학교장을 지냈으며, 그 뒤를 이어 카이몬, 가쓰라기, 곤고, 아키쓰시마, 하시다테, 치넨, 다카사고, 도키와, 전함 하쓰세 등을 함장하였다.그 후 1903년 7월 제독 후임에 승진하여 쿠레 해군지구대 사령관과 준비함대 사령관으로 승진하였다.
러일 전쟁으로 나시바는 포트 아서 내 러시아 태평양 함대를 봉쇄한 IJN 1함대의 지휘를 맡았다.1904년 5월 14일 그는 하쓰세(플랙), 시키시마, 야시마와 함께 해상에, 순양함 가사기, 그리고 아서 항에서 일본군의 봉쇄군을 구제하기 위해 베셀 다쓰타를 파견했다.5월 15일 아침, 함대는 항구 입구를 가로질러 북쪽으로 순찰을 진행했다.이 코스는 이전에 러시아 마닐레이어 아무르가 깔았던 지뢰밭으로 일본 함대를 끌어들였다.하쓰세와 야시마 모두 해군 기뢰를 공격했고 러일 전쟁 중 일본 최대의 해군 재해로 실각했다.
전쟁이 끝난 후, 나시바는 요코스카 해군 지구와 사세보 해군 지구에서 다수의 참모직을 역임했으며, 마코 근위대 사령관으로 임명되었다.1907년 3월 부제독에 승진한 뒤 같은 해 10월 현역에서 물러났다.
1907년 9월, 나시바는 카조쿠 귀족제도에 따라 남작(단샤쿠)이라는 칭호를 받고 1911년부터 1916년까지 귀족원에서 근무했다.
원천
- Dupuy, Trevor N. (1992). Encyclopedia of Military Biography. I B Tauris & Co Ltd. ISBN 1-85043-569-3.
- Schencking, J. Charles (2005). Making Waves: Politics, Propaganda, And The Emergence Of The Imperial Japanese Navy, 1868-1922. Stanford University Press. ISBN 0-8047-4977-9.
- Warner, Peggy (2005). The Tide at Sunrise:A History of the Russo-Japanese War 1904-1905. Routledge. ISBN 0-7146-8234-9.
외부 링크
- Nishida, Hiroshi. "People of the IJN: Nashiba, Tokioki". Imperial Japanese Navy.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12-12-04. Retrieved 2008-02-19.
메모들
- ^ 니시다, IJN의 재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