냇 펜들턴
Nat Pendleton냇 펜들턴 | |
---|---|
![]() | |
태어난 | 나다니엘 그린 펜들턴 1895년 8월 9일 |
죽은 | 1967년 10월 12일 (72) |
모교 | 컬럼비아 대학교 (BA |
직업 | 배우, 레슬링 선수 |
년 활동 | 1913–1956 |
배우자 | 바바라 에블린(m?-1998; 그의 죽음) 후아니타 알폰조(m?-?) |
메달 기록 | ||
---|---|---|
남자 자유형 레슬링 | ||
미국을 대표하는 | ||
올림픽 경기 | ||
![]() | 1920년 앤트워프 | 헤비급 |
나다니엘 그린 펜들턴(Nathaniel Greene Pendleton, 1895년 8월 9일 ~ 1967년 10월 12일)은 미국의 올림픽 레슬링 선수, 영화 배우, 무대 연주자였다.[1]동생 에드먼드 펜들턴(1899~1987)은 파리 미국교회의 유명한 음악 작곡가 겸 합창단장이자 오르가니스트였다.null
어린 시절과 레슬링 경력
나트 펜들턴은 1895년 아이오와 주 데이븐포트에서 아델라이드 E.와 나다니엘 G. 펜들턴에게 나타니엘 그린턴으로 태어났으며, 그는 미국 혁명 장군 나타나엘 그린의 후손인 것으로 알려졌다.[2][3]나트는 콜롬비아 대학에서 공부했고, 그곳에서 레슬링 경력을 시작했으며, 그 종목에서 학교 팀의 주장으로 일했다.[3]그는 1914년과 1915년에 두 번이나 동부 대학간 레슬링 협회(EIWA) 챔피언이었다.벨기에 앤트워프에서 열린 1920년 하계 올림픽 미국 레슬링 대표팀에 선발된 펜들턴은 대회 도중 단 한 경기만 패해 은메달을 받았다.[4]그 결과를 둘러싸고 논란이 계속되고 있다.펜들턴의 올림픽 감독인 조지 피네오와 그의 팀 동료인 프레드 마이어는 그가 마지막 경기에서 이겼으며 금메달을 땄어야 했다고 주장했다.피네오는 나중에 그 손실을 "많은 불만족스러운 결정들 중 가장 인기가 없는 결정"이라고 회상했고, 마이어는 "핀들턴이 이 콘테스트의 우승자였다, 이거나 부츠가 아니었다"[5]고 말했다.미국으로 돌아온 그는 프로 레슬러가 되었고 프로모터 잭 컬리와 팀을 이루었다.컬리는 펜들턴을 공격적으로 홍보하고 있었고, 그 중 펜들턴이 같은 날 밤 에드 '스탱글러' 루이스와 다른 레슬링 선수를 이길 수 있다고 자랑하는 등 거만한 도전들을 잇달아 발표했다.존 페섹은 펜들턴과 맞서기 위해 입대하였고, 1923년 1월 25일에 열린 합법적인 대회에서 페섹은 펜들턴을 물리치고 부상을 입혔다.[6]펜들턴은 그 후 1920년대 중반까지 미인증 부분과 단역으로 할리우드 영화에 출연하기 시작했다.null
영화 및 무대 경력
펜들턴은 적어도 94편의 단편 영화와 특색에 캐스팅되었는데, 대부분 조연에서 주로 "혼잡스러운 착한 남자들"이나 느리게 움직이는 폭력배, 갱단, 경찰로 분류된다.[3]예를 들어, 그는 마르크스 브라더스가 주연한 1932년 코미디 영화 '말 깃털'에서 하포와 치코를 납치한 두 명의 대학 축구 선수 중 한 명으로 출연한다.1936년 작품 The Great Ziegfeld에서 그는 서커스 강자 외젠 산도우를 연기하는데, 이 역할은 그에게 그의 경력에 대한 최고의 평을 가져다 주었다.null
펜들턴은 마르크스 브라더스의 1939년 특집 '서커스단에서'에서 다시 서커스 강자로 등장한다.그는 1930년대와 1940년대 두 편의 MGM 영화 시리즈의 반복적인 역할에서도 볼 수 있다.그는 킬다레 박사와 그 스핀오프 시리즈인 길레스피 박사의 구급차 운전사인 조 웨이먼이다.그는 또한 The Thin Man 시리즈에서 뉴욕 경찰 중위 존 길드를 연기한다.전 레슬링 선수의 최종 출연작은 애벗과 코스텔로가 주연한 1947년 개봉된 벨라 루고시와 벅 프리바츠 컴 홈이다.null
비록 레슬링 링 밖에서 펜들턴의 프로 경력은 주로 영화 작업에 전념했지만, 그는 1925년 브로드웨이 연극인 개구쟁이 신데렐라, 1928년 회색 여우 등 일부 무대 작품에서도 공연했다.[3]null
죽음
펜들턴은 1967년 캘리포니아주 샌디에이고의 한 병원에서 심장마비로 사망했다.[3]null
레거시
펜들턴은 아이오와주 워털루의 글렌 브랜드 레슬링 명예의 전당,[7] 아이오와주 크레스코의 아이오와 레슬링 명예의 전당,[8] 컬럼비아 대학 육상 명예의 전당 등 여러 명예의 전당에 소속되어 있다.[9]2015년에는 그의 전기가 출판되었다.레슬링의 베테랑 작가 겸 역사가인 마이크 채프먼이 쓴 이 책의 제목은 펜들턴: 컬럼비아의 레슬링 올림피안과 할리우드 [10]스타의 놀라운 이야기null
필모그래피
- 게티스버그 전투(1913년) (확인되지 않음)
- 버드 의미로서의 후세이어 스쿨마스터 (1924년)
- 바버 역의 무슈르 보케어(1924년)
- 지미로 결혼하자(1926년)
- 제임스 듀건 역의 웃는 여인 (1929년)
- 팻 오데이로써 큰 연못 (1930)
- 팻 오데이 역의 라 그랑데마레(1930)
- 두아네스의 마지막 (1930년) 보사메르 (미승인)
- 스모크로써의 바다늑대 (1930)
- 바다 밑(1931) '버치' 와그너로 (미인증)
- 푸르비스로서 공정한 경고(1931)
- 미스터 레몬 오브 오렌지 (1931)는 갱스터 (미수증)
- 빅 잭 역의 스타 목격자(1931)
- 노틀담의 정령(1931)은 부코치로써
- 이사회 멤버로서 지배적인 목소리 (1931)
- 행크 역의 블론드 크레이지(1931) - 일명 피트
- 가너 역의 비밀 목격자(1931) - 보디가드
- 건너 역의 스타 목격자(1931) - 보디가드
- 고디바 부인의 남편으로 맨해튼 퍼레이드(1931)
- 스파이크 멀리건 역의 포츠빌 팔로카(1931, Short)
- 택시! (1932년) 트럭 운전사 불 마틴 역으로 (미수)
- 아베 고만 역의 야수(1932년)
- 켈리 역의 바보 조언(1932) - 개구쟁이 소년
- 벤서 역의 지옥불 오스틴(1932)
- 키드 멜로즈 역의 빅 타이머(1932)
- 댄스홀 배관공으로 플레이걸(1932) (장면 삭제)
- 오토바이 경찰 역의 걸 크레이지(1932) (미수)
- 타이거 역의 주 변호사 (1932년) - 복서 (미수증)
- 피고측 변호사(1932년)는 머그로
- 조 역의 텐더풋(1932) - 질투심 많은 남편 (미수)
- 누구의 손으로? (1932년) 델마로
- 다윈의 축구 선수 맥하디 역의 말 깃털(1932)
- 매니악 킬러로서의 노출(1932)
- 마이크 맥두걸 역의 나이트 클럽 레이디(1932년)
- 버키 오닐 역의 속임수(1932)
- 스트라보로서의 십자가의 표식 (1932년)
- 레슬링 선수로서의 살(1932) (미인증)
- 조 살바토레 역의 휘파람(1933)
- 오토바이 경찰 역할의 낙하산 점퍼(1933) (미취득)
- 골디, 오토바이 경관 캐시디로 사이좋게 지내다
- 맨해튼의 아이(1933년)는 스파이레네로
- 세사노 상병(1933) 역의 백인 자매
- 프랑스 깡패(1933)로 추악한 기계(1933) 사용(미승인)
- 알로이시우스 P의 성가신(1933)매카시(미인증)
- 스톨비치 역의 아기 얼굴 (1933) - 노동자 (미수증)
- 셰익스피어 역의 레이디 포 데이(1933년)
- 토니 가조티 역의 펜트하우스(1933년)
- 나는 해리포터 역의 노 엔젤(1933년)이다.
- Henchman Big Mike 역의 촌장(1933)
- 라디슬라우스 페트로스키 역의 대학 코치(193
- 레게 강(1934년)의 레그 캐피
- 알프레드 '티니' 스미스 역의 도망자 연인(1934년)
- Sing and Like It(1934)을 T로 부른다.페니 실베스터
- 스퍼드 역의 맨해튼 멜로드라마(1934년)
- 길드로써 날씬한 남자 (1934)
- 로키 역의 디펜스 레스(1934)
- 스트로치 역의 고양이-파우(1934년)
- 미주리 주에서 온 소녀(1934년)가 라이프 가드로 출연하다
- 스키피로 스트레이트 이즈 더 웨이 (1934년)
- 해리 오툴 역의 다이아몬드 위의 죽음(1934년)
- 윌리엄 T. '슈츠' 매지즈 역의 게이 신부(1934년)
- 맥 역의 타임스퀘어 레이디(1935년)
- 로키 역의 베이비 페이스 해링턴(1935년)
- 무모한(1935년) 블러썸
- '스퍼드' 버크 역의 함대 살인(1935년)
- 너클스 베네딕트처럼 침착하라(1935년)
- '피콜로 피트'로 밴드(1935년)가 나온다.
- 헨리 포케(1935년)로 공중에서 방영된다.
- 히스 병장 역의 정원 살인 사건(1935년)
- 산도우 역의 그레이트 지그펠트(1935년)
- 로키 오닐 역으로 텔레비전(1936년)에 갇힘
- '스파이머' 크루프 역으로 맹세한 적(1936년)
- 듀간 역의 행운아(1936년)
- 군중 속의 두 명(1936년) 플린 역
- Sing Me a Love Song (1936년)을 Rocky로 부른다.
- 행운의 병장으로서 밤의 엄호 아래(1937년)
- 벤베누토 로만디 역의 도시의 노래 (1937년)
- 스마일즈 호건 역의 강웨이(1937년)
- 대학에서 시작한 인생(1937년)은 조지 블랙, 일명 리틀 블랙 구름으로 불린다.
- 조 스코파폴루스 역의 부인 스윙 유어 레이디(1938년)
- 아르센 루핀 리턴즈(1938년) 조 도일 역
- 폴 테리슨 역의 패스트 컴퍼니(1938년)
- 숍원천사(1938년)는 '다이스'로 불린다.
- '플로피' 필의 체이서(1938년)
- 크라우드 로어(1938년)를 '퍼그' 월시(Walsh)로 한다.
- 조 웨이먼 역의 젊은 킬다레 박사(1938년)
- 버들 버틀로 'Em Up O'Connor(1939년) 태우기
- 킬다레 박사(1939년)를 웨이맨으로 부른다.
- 프레드 코레츠 하사 역으로 원더풀 월드 (1939년)
- '삭스' 마틴으로서의 6,000 적(1939년)
- 빌린 시간(1939년)에 그라임스 씨로
- 강자 골리앗으로 서커스 (1939년)
- 길드 중위로서 또 다른 마른 남자(1939년)
- 조 웨이먼 역의 킬다레 박사의 비밀(1939년)
- 노스웨스트 통로(1940년)를 '캡' 허프로
- 로스코로 돌아온 유령(1940년)
- 구급차 운전자 조 웨이먼 역의 킬다레 박사의 이상한 사건(1940년)
- '건보트' 잭린 역의 팬텀 레이더스(1940년)
- 본즈맨 역의 뉴문(1940) (미인증)
- 황금 플라이싱(1940년)은 '뚱보' 베르너 역활용
- 닥터 킬다레 고즈 홈(1940) 웨이맨 역
- 조 웨이먼 역의 킬다레 박사의 위기(1940년)
- CPO '스파이크' 노즐로서 비행 명령(1940년)
- Buck Prevates (1941) 병장으로서.마이클 콜린스
- 최고 병장으로서 멀리건 상사(1941)가 최고 병장으로 있다.허먼 멀리건
- 소니 맥간 역의 감옥 하우스 블루스 (1942)
- 시장가의 미친 박사(1942) 레드 호건 역
- 길레스피 박사(1942)를 조 웨이먼으로 부른다.
- 조 웨이먼 역의 길레스피 박사의 새 조수(1942)
- 조 웨이먼 역의 길레스피 박사의 형사 사건(1943)
- '킬러' 케네디로 스윙 피버(1943)
- 짐 워드 역의 데스 밸리 (1946)
- 빌 레이먼드 역의 겁에 질려 죽다 (1947)
- Buck Privates Come Home (1947) 콜린스 병장으로서 집으로 돌아오다
- 슐리츠 플레이하우스(1951-1959, TV 시리즈)는 오토 "비티" 램 역으로 출연(최종 출연)
참조
- ^ "Nat Pendleton". Olympedia. Retrieved 11 September 2021.
- ^ Rainho, Manny (August 2015). "This Month in Movie History". Classic Images (482): 24–26.
- ^ a b c d e "Nat 펜들턴, 영화 캐릭터 배우, 사망", 로스앤젤레스 타임즈, 1967년 10월 13일, 섹션 II, 페이지 8. 프로퀘스트 역사 신문
- ^ "Nat Pendleton". sports-reference.com.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20-04-18. Retrieved 2013-09-01.
- ^ Chapman, Mike. Pendleton: The Amazing Story of Columbia's Wrestling Olympian and Star of Hollywood. p. 30.
- ^ "Pendleton's unparalleled route: Olympics, pros, Hollywood". 25 May 2006.
- ^ "National Wrestling Hall of Fame".
- ^ "Iowa Wrestling Hall of Fame".
- ^ "Columbia University Athletics Hall of Fame".
- ^ "Mike Chapman's website".
외부 링크
![]() | 위키미디어 커먼스는 냇 펜들턴과 관련된 미디어를 보유하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