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브 샬롬
Neve Shalom네브 샬롬 נְוֵה שָׁלוֹם واحة السلام | |
---|---|
![]() 마을의 모습 | |
어원: 평화의 오아시스 | |
좌표: 31°49′4″N 34°58′47″E / 31.81778°N 34.97972°E좌표: 31°49′4″N 34°58′47″E / 31.81778°N 34.97972°E/ | |
나라 | ![]() |
구 | 예루살렘 |
의회 | 예후다 마테 |
설립됨 | 1969 |
인구 (2019)[1] | 323 |
웹사이트 | nswas |
네브 샬롬(헤브루: נְוֵההההה lit lit lit lit lit lit, light. 평화의 오아시스(Aasis of Peace))는 바아갓 as-살람(아랍어: واةةةةةمم)[2]으로도 알려진 이스라엘의 협동 마을로, 두 민족이 평화, 평등, 이해를 위한 교육 활동을 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기 위해 이스라엘 유대인과 아랍인이 공동으로 설립한 마을이다. 마을은 아얄론 계곡이 내려다보이는 라트룬 언덕 꼭대기 두 곳 중 한 곳에 위치해 있으며 텔아비브와 예루살렘의 중간 지점에 위치해 있다.[3] 마테 예후다 지방 평의회의 관할하에 들어가, 2019년에는 323명의 인구를 가지고 있었다.[1]
역사
네브 샬롬이라는 이름은 이사야 32장 18절의 한 구절에서 따온 것이다. "나의 백성은 평화의 오아시스에서 살게 될 것이다."[4]
그 마을은 브루노 후사르 신부의 두뇌집단이었습니다. 이집트에서 비실용 유대인의 아들로 태어나 프랑스에서 공학을 공부하던 중 기독교로 개종했다. 전시 프랑스의 독단적인 반유대주의를 직접 목격함으로써 그의 유대인 뿌리에 대한 인식이 더욱 날카로워졌다.[5] 그는 도미니카 국에 가입했고 1950년 사제 서품을 받았고 1953년 유대학 센터를 설립하기 위해 예루살렘으로 보내졌고, 1966년 이스라엘 시민권을 취득했다. 1970년, 에큐메니컬한 종교간 대화를 촉진하기 위해, 그는 지역 트라피스트 사원으로부터 100년 임대료로 1년에 3펜스의 '페퍼콘 임대료'로 라트런에 있는 무인의 땅으로[7] 분류된 40헥타르(120에이커[6])의 지형을 얻었다. 이 지역은 황량하고, 나무도 없고, 물도 없고, 샅샅이 뒤덮여 있었으며, 비잔틴 시대 이후로는 경작되고 있지 않았다.[8] 처음에 외국인들은 그와 경험을 공유하기 위해 왔지만, 한두 달 이상 남아 있는 사람은 거의 없었다. 오두막에 정착하여 계속 사는 안네 르메뇽을 위해서 말이다.[9]
후사르의 프로젝트는 팔레스타인의 역사적 공동체의 복잡한 모자이크로부터 각 개인이 공동체에 가져온 뚜렷한 문화유산, 언어, 정체성을 보존하면서 평등과 상호존중이라는 관점에서 주민이 살아갈 수 있는 사회문화적 틀을 만드는 것을 구상했다. 동시에, 그것은 전국의 사람들이 서로의 말을 듣는 것을 배울 수 있는 평화의 학교로서 기능하도록 설계될 것이다.[10]
후사르 자신의 말로 다음과 같다.
"우리는 그 나라의 다른 지역 주민들로 구성된 작은 마을을 염두에 두고 있었다. 유대인, 기독교인, 이슬람교도들은 각각 다른 사람들의 믿음을 존중하면서 자신의 신앙과 전통에 충실한 채 그곳에서 평화롭게 살 것이다. 각자는 이러한 다양성 속에서 개인적 풍요의 원천을 발견할 것이다."[11][12]
조건이 가혹했고, 처음에 후사르는 그 장소의 버스 안에서 살았다.[6] 화장실 같은 기본적인 시설도 부족했고, 일주일에 한 번 10km를 운전해서 키부츠 나흐손까지 가야 샤워를 할 수 있었다.[13][14] 첫 다섯 가족, 네 명의 유대인, 그리고 한 명의 팔레스타인[15] 사람들은 1978년에 텐트에 살면서 그곳에 정착했다. 초기 멤버들(1980년 11월)[16] 중에는 이스라엘 가수 데이비드 브로자의 할아버지 웰즐리 아론 소령이 있었다.[17] 데이비드 브로자(David Broza)는 "할아버지가 합류한 무리의 사람들은 그 장소를 자신의 안에서 평화를 찾는다는 생각을 지역사회와 지역에 평화를 가져오는 전주곡으로 확장하는 기회로 보았다"고 말한다.[17] 평화학교는 1978년에 설립되었다. 건국 가문은 주로 세속적인 배경에서 왔다.[18] 네브 샬롬-와하트 as-살람 모델은 1989년 비욘드 워 상을 수상했으며,[19] 1992년 미국에서 지속된 유대인-팔레스타인 거실 대화 그룹의 탄생에 영감을 주었다.

몇 년 동안 그것은 공식적인 원조가 없는 고아 공동체로 살아남았다. 1994년 해외 서포터즈와 미국 외교관 새뮤얼 W. 루이스의 로비를 거쳐 이스라엘 정부가 심경의 변화를 일으켜 보조금을 지급하기 시작했으며, 자치단체로서의 법적 지위를 마을로 확대했다. 결과적으로, 그것은 자율 구역제 권리를 얻었다.[20] '평화의 학교'는 2000년 알 아크사 인티파다가 발발하자 항의와 애도 속에 한 달 동안 계속된 파업으로 문을 닫고, 폭력사태가 확산되자 팔레스타인에 대한 복지 제공을 위해 노력했다.[21]
동화가 촉진되지 않는 반면, 비록 드문 경우이긴 하지만, 결혼간 결혼은 반대하지 않는다. 선호도는 각 공동체가 뚜렷한 정체성을 유지하는 것이다.[22] 경쾌한 양문화 정체성의 위조는 어려움을 지우지 않았다. 그레이스 푸이버거의 계정서류인 학교생활을 할 때에도, 아이, 교사, 가족들이 상호작용을 할 때 고통스러운 긴장이 관계에서 발생한다.[23] 한 주민은 이 문제를 다음과 같은 용어로 언급했다.
네브 샬롬/와하트 알살람 체험은 갈등을 인간화시킨다. 오아시스라고 불리지만, 국내 다른 지역과 비교했을 뿐이다. 그 마을은 여러 가지 어려움이 있지만 적어도 우리는 깨지지 않고 있다. 우리는 어느 마을처럼 개인적인 다툼이 있지만, 우리는 그 분쟁을 싸우기 보다는 살아가고 있다.[24]
새 천년의 출현을 기념하기 위해, 1990년대 말에 트라피스트 수도원은 주민들에게 완전한 선물로 50에이커의 땅을[25] 네브 샬롬/와하트 아스살람에게 양도하기로 결정했다.[26]
인구통계학
그 마을은 60여 가구가 살고 있다 원칙적으로 주민의 절반은 이스라엘계 유대인이며 나머지는 이슬람교도와 기독교계 이스라엘인이다. 또 다른 300명의 유대인 및 아랍인 가족이 지역사회에 정착하기 위해 대기자 명단에 남아 있다. 최근 승인된 확장계획은 앞으로 몇 년 안에 92채의 다른 택지에 의해 마을이 성장할 수 있도록 할 것이다. 이 마을은 건국 이래 다양한 시설에서 기본적인 지원 기능을 제공하기 위해 정기적으로 국제 자원 봉사자들을 불러모았다.
행정구조
지역사회는 운영위원회나 사무국에 의해 운영되며, 소위원회처럼 매년 민주적인 투표로 선출된다. 사무처장은 사실상 마을 시장 역할을 한다. 또한 마을의 다양한 활동을 운영하기 위한 내부 위원회가 몇 개 있다. 유대인과 팔레스타인 아랍 대표들 사이에 수적 균형이 일관되게 관찰되고 있다. 그러나 회전은 관찰되지 않으며 1995년 이후 마을 관리자는 항상 팔레스타인 아랍인이었다.[18] 마을 학교의 유대인 수업은 각각 유대인과 아랍인 교사가 있지만, 이것은 교육과정으로 확장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수학은 각각의 모국어로 아이들에게 가르친다.[27] 원칙적인 문제가 의제에 오를 때, 마을 전체 구성원으로 구성된 심의회가 구성되고, 그 최종 결정은 모든 사람에게 구속력을 갖는다.[28] 이후 성인이 된 유대인 주민들도 똑같이 Arabic,[20][23]가 그리 능숙하지 않다 공식적인 숙고의 몇분을 히브리어로 전문 위원, 연수회를 히브리어로 Rabah Halabi"공표 정책과 실제 상황"[29]과 Feuerverger에 큰 차이가 있는이라고 설명하는 것을 설명하는 것, 파올로 프레 이레.Rómulo., illu의 이론을 이용해 실시된다.strates은 곳t 언어는 힘의 굴절 문제를 야기한다.[23]
교육
그레이스 피에버거에 따르면, 네브 샬롬/와하트 as-살람의 해방교육은 '평화롭게 함께 살기 위해 가르치고 배우는, 다문화 화합의 세계적인 롤 모델이 되었다'고 한다.[30] 마을에는 3개의 교육기관이 있다.
- 유아원에서 8학년까지의 2개국어(아랍어 – 히브리어) 아동 교육 프레임워크로, 등록자 수는 250명(2009–2010)이다.[31] 약 90%의 학생들이 네브 샬롬에서 와하트 아스살람까지 반경 30km의 마을과 마을에서 온다. 어린이 교육 틀에서 가장 큰 단위는 1984년 전국 최초로 설립된 국민학교다. 오늘날, 학교는 인정받고 국가로부터 약간의 지원을 받는다.
- 평화를 위한 학교: 유대인과 아랍인의 만남 프로그램을 네브 샬롬 ~ 와하트 as 살람의 정신으로 제공하는 독특한 교육 기관. 1979년에 설립된 SFP는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 영토에서 온 약 35,000명의 청소년과 성인을 대상으로 워크숍, 세미나, 강좌를 진행했다. 평화학교는 또한 분쟁 단체와의 만남의 기술에서 촉진자들을 훈련시킨다. 교사 워크숍은 교육부로부터 실무교육 인증을 받았다.[32]
- '침묵의 집'("Beit Dumia/Bayt Sakinah")[33]으로 알려진 브루노 후사르 추모 다원주의 영적센터는 중동 분쟁의 핵심인 쟁점에 대한 영적 성찰과 그 해결을 모색하기 위한 장소이자 틀이다. 그 센터는 일반 대중에게 공개되는 다양한 활동과 세미나를 진행한다. 이슬람교도들은 금요일 기도를 하고, 유대인, 안식일 예배를 드리고, 기독교인들은 일요일에 그곳에서 예배를 드린다.[18]
경제와 문화
마을에는 작은 게스트하우스도 있어 마을과 문화적 맥락으로 지역 또는 외국 집단을 발굴하는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2006년 6월 22일 핑크 플로이드의 프런트맨 로저 워터스(Roger Waters)가 이 마을에서 라이브 콘서트를 열어 5만 명이 넘는 팬들이 몰렸다.[34]
사건
2010년 5월 31일, 마을 정치 협의회는 가자지구의 플로티야 공습 중 몇몇 인권 운동가들의 죽음을 알리는 표지판을 마을 밖에 설치하고 가자지구의 포위를 해제할 것을 요구했다. 당초 표지판의 문구는 사망자를 '살인'이라고 표현했지만, 이후 '살인'으로 바뀌면서 마을의 공감대를 더 잘 반영한 것으로 나타났다.[35] 지난 6월 아루츠 셰바는 이 문제를 놓고 유대인과 아랍계 사이에 균열이 생겼다고 보도한 바 있다. 전자는 IDF의 군인들을 과격파로부터 옹호하고 길라드 샬릿의 석방을 요구한 것으로 알려졌다. 또한 유대인 주민들을 마을에서 추방하겠다는 협박이 있었다고 보도했다.[36] 이에 대해 이 공동체는 이 계획이 민주적으로 수행되고 승인되었으며 이 마을의 유대인과 팔레스타인 사람들로부터 왔다는 취지의 글을 웹사이트에 게시했다.[35] 같은 해 7월, 공동체는 이 지역의 광범위한 인권 문제를 다루기 위해 유대인-팔레스타인 공동 회의를 조직했는데, 이 회의에는 기디언 레비부터 네브 고든, 지브 하다스 인권의사 전무이사에 이르는 연사들이 참석했다.[37]
2012년 6월 14일 가격표 공격은 14대의 차량이 밤새 타이어에 펑크를 내고 몇몇 차량은 인종차별주의적인 구호가 그려져 파손되는 결과를 낳았다.[38]
평가
네브 샬롬 프로젝트는 광범위한 평가를 이끌어내는데, 일부는 지역적 공존 모델로서의 모범적인 기능을 자랑하고, 다른 일부는 이 실험을 무시한다. 1998년 중동 분기점에서, Joseph Montville은 그것을 '진정한 풀뿌리 평화 과정의 증거'로 받아들였다. 국경 양쪽에 있는 학교와 대학의 학생들을 가르치고 훈련시키기 위한 네트워킹 분야의 광범위한 작업을 문서화하면서, 그는 그것을 투 트랙 외교의 효과적인 부분으로 인용하면서, 양측의 종교적 과격주의자들과 세속주의자들 모두 "다른" 사람들과의 접촉을 선호하지 않으며, 다른 이스라엘 사람들은 무시하지는 않지만 그것을 고려한다고 언급했다. 순진하고 [20]비현실적인 환상으로서 이에 에드워드 알렉산더는 몬트빌의 긍정적인 평가를 일축했다. 상호 이해를 위해 유대인과 아랍인 사이에 다리를 놓는 것은 아랍인들이 유대인의 주권을 부인하는 반면 유대인들은 그것을 포기하는 것을 거부하는 등, 둘 다 서로를 완전히 인식하고 있다는 사실을 무시한다고 그는 주장한다. 네브 샬롬은 유대인들이 '트렘블링 게토 유대인'의 그것과 유사한 자기 학대 행위로 그들의 시오니즘을 억압해야만 존재할 수 있고, 아랍인들은 그 존경을 유쾌하게 관찰한다. 몬트빌의 증거는 한 유대인 소년이 그의 팔레스타인 지도자가 분노를 터뜨리는 동안 '확실한 동정' 행위로 죄책감을 흡수했다는 사례를 보여준다. 잊혀진 것은 '아랍의 증오를 초래한 것은 이스라엘 점령 때문이 아니라 그 점령으로 이어진 아랍의 증오와 공격'이라고 그는 결론지었다.[39] 미국에 본사를 둔 이슬람 싱크탱크의 아흐마드 유수프 소장은 호혜적 부정적 고정관념에 관한 대화의 한계를 강조한다. 한 사람은 네브 샬롬에게 눈물을 흘린다고 그는 지적한다. 그러나 위기 해결 기법과 사회 심리학을 통해 안보 우려를 해소하는 것은 충분하지 않다. 팔레스타인의 관점에서 진정한 성공은 안보뿐 아니라 정의와 평등에 초점을 맞춘 문제 해결로 구성될 것이다. 최적으로 이것은 연방 이항국가를 필요로 한다. 유수프는 아랍 속담의 인용으로 끝을 맺었다. 그 속에서 한 소년이 도살자가 양 한 마리를 죽이면서 울고 있는 것을 발견한다. 그의 아버지는 그에게 눈물에 집중하지 말고 손에 든 칼에 집중하라고 말한다.[40]
H. Svi Shapiro는 Grace Feuerberger의 모노그래프를 리뷰하면서 평등한 지위와 권리를 누리는 시민들에게 시민적 업적을 제공하고자 하는 Neve Shalom의 열망을 평가하여 다음과 같이 결론짓는다.
Neve Shalom/Wahat Al-Salam은 이 문제에 대한 결정적인 해결책을 제공하지 않는다. 그러나 그것은 우리가 용기있고 이상적이며 사려 깊은 한 집단의 사람들이 어떻게 이 상황에 내재된 긴장을 중재하기 위해 고군분투하고 있는지를 볼 수 있게 해준다.[41]
기자 조 프리먼은 그 마을과 그 복잡한 정체성에 대해 썼다.[42]
참고 항목
- 기바트 하비바 – 이스라엘의 좌파, 공유 사회 지향 교육 기관
- HaKfar HaYarok – 이스라엘의 청소년 마을로, 다수의 진보적인 교육 기관이 있다.
- 핸드 인 핸드: 이스라엘 유대인 아랍 교육 센터
- 의도적 공동체
인용구
- ^ a b "Population in the Localities 2019" (XLS). Israel Central Bureau of Statistics. Retrieved 16 August 2020.
- ^ 할라비 & 잭 2004, 페이지 125."이 마을은 히브리어와 아랍어로 공식 명칭을 가지고 있다. 네브 샬롬/와하트 알 살람(Neve Shalom/Wahat al Salam)은 공동체의 삶에서 아랍인과 유대인의 파트너십을 전하기 위한 것이다. 실제로 히브리어를 할 때는 마을을 "네브 샬롬"이라고 부르고, 아랍어를 할 때는 "네브 샬롬"이라고 부르기도 하며, 때로는 "와하트 알 살람"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단지 마을의 구성원들이 영어나 다른 제3외국어를 말할 때, 그들은 두 언어로 그 마을의 완전한 이름을 언급한다.
- ^ Feuerer 2001, 페이지 1
- ^ 가브론 2008, 페이지 57–72.
- ^ 가브론 2008 페이지 58.
- ^ a b 몬tville 1998, 페이지 21.
- ^ Gavron 2006, 페이지 58
- ^ Feuerberger 2001, 페이지 121–123.
- ^ 가브론 2008 페이지 59.
- ^ Feuerberger 2001, 페이지 xv, 124.
- ^ 후사르 1989.
- ^ Feuerer 2001, 페이지 119
- ^ Feuerer 2001, 페이지 127.
- ^ 몬트빌 1998, 페이지 21-22.
- ^ 가브론 2008, 페이지 59–60:압델살람 나자르와 그의 아내 아이샤. 나사렛 근처 아라베의 이맘의 아들이었고, 후사르로부터 키부츠에 대한 경험을 쌓으라는 말을 들었다. 그는 시나이-가자 국경에 있는 케렘 샬롬에서 자원봉사로 일하러 갔고 그곳에서 일란과 타마르 프리슈를 만났다. 그들은 함께 네브 샬롬으로 이사했다.
- ^ Silman-C청 1992
- ^ a b "Neve Shalom Wahat-Al-Salam". DavidBroza.net.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October 9, 2010.
- ^ a b c 가브론 2008, 페이지 61.
- ^ 비욘드 워 어워드 페이지 http://traubman.igc.org/bwaward.htm
- ^ a b c 몬트빌 1998.
- ^ 가브론 2008, 페이지 57.
- ^ 가브론 2008 페이지 64.
- ^ a b c 샤피로 2010, 페이지 104.
- ^ Feuerer 2001, 페이지 141.
- ^ 가브론 2008 페이지 60.
- ^ Feuerer 2001, 페이지 143.
- ^ 가브론 2008, 페이지 65.
- ^ Feuerberger 2001, 페이지 2-3.
- ^ Halabi & Zak 2004, 페이지 125, 128.
- ^ Feuerer 2011, 페이지 84.
- ^ Salinas 2007, 페이지 104.
- ^ Feuerberger 2001, 페이지 xxvii.
- ^ Feuerer 2001, 페이지 2.
- ^ JPost 2006.
- ^ a b 2010년 5월 31일 프리덤 플로티야 nsws.org에서 '프리덤 플로티야에 대한 공격 테스트 중'
- ^ 로넨 2010.
- ^ '네브 샬롬/와하트 알 살람에서 유대인-팔레스타인 공동 회의' 2010년 7월 22일 웨이백 기계에 2016-03-04 보관.
- ^ Hasson & Rosenberg 2012.
- ^ 1998년 알렉산더
- ^ 유수프 1998.
- ^ 샤피로 2010, 페이지 106.
- ^ 조 프리먼, '아랍은 볼테르' 2015년 8월 5일 태블릿 잡지
참조
- Alexander, Edward (December 1998). "No, an Exercise in Jewish Self-Debasement". Middle East Quarterly. Vol. V, no. 4. pp. 28–30. Retrieved 9 October 2012.
- Aron, Wellesley (1992). Silman-Cheong, Helen (ed.). Rebel with a Cause: A Memoir. Veritas Publications. ISBN 978-0-853-03245-8. Retrieved 8 October 2012.
- Ashford, Mary-Wynne; Dauncey, Guy (2006). Enough Blood Shed: 101 Solutions to Violence, Terror and War. New Society Publishers. ISBN 978-0-865-71527-1. Retrieved 9 October 2012.
- Feuerverger, Grace (2001). Oasis of Dreams: Teaching and Learning Peace in a Jewish-Palestinian Village in Israel. Routledge. ISBN 978-0-415-92939-4. Retrieved 8 October 2012.
- Feuerverger, Grace (2011). "Teaching for the Love of it: an education professor's narrative at the crossroad of language, culture, and identity". In Kitchen, Julian; Parker, Darlene Ciuffetelli; Pushor, Debbie (eds.). Narrative Inquiries into Curriculum Making in Teacher Education. Emerald Group Publishing. pp. 71–89. ISBN 978-0-857-24591-5. Retrieved 9 October 2012.
- Gavron, Daniel (2008). "Living together". Holy Land Mosaic:Stories of Cooperation and Coexistence Between Israelis and Palestinians. Rowman & Littlefield. pp. 57–72. ISBN 978-0-742-54013-2. Retrieved 8 October 2012.
- Halabi, Rabah; Zak, Michal (2004). "Language as a bridge and obstacle". In Halabi, Rabah (ed.). Israeli and Palestinian Identities in dialogue: The School for Peace Approach. Rutgers University Press. pp. 119–140. ISBN 978-0-813-53415-2. Retrieved 9 October 2012.
- Hasson, Nir; Rosenberg, Oz (8 June 2012). "Racist graffiti sprayed at mixed Jewish-Arab village in central Israel". Haaretz. Retrieved 8 October 2012.
- Hussar, Bruno (1989). When the Cloud Lifted (Quand la nuée se levait). Veritas Publications. pp. 57–72. ISBN 978-1-85390-048-8. Retrieved 8 October 2012.
- ICBS (2010). Population by settlement. Government of Israel. Retrieved 8 October 2012.
- JPost (22 July 2006). "Thousands flock to Waters concert". Jerusalem Post. Retrieved 8 October 2012.
- Montville, Joseph V. (December 1998). "Neve Shalom: A Model of Arab-Israeli Coexistence?". Middle East Quarterly. Vol. V, no. 4. pp. 21–28. Retrieved 9 October 2012.
- Ronen, Gil (13 June 2010). "'Peace' Village Torn by Flotilla". Arutz Sheva. Retrieved 8 October 2012.
- Salinas, Moises (2007). Planting Hatred, Sowing Pain: The Psychology of the Israeli-Palestinian Conflict. Greenwood Publishing Group. ISBN 978-0-275-99005-3. Retrieved 9 October 2012.
- Shapiro, H. Svi (2010). "All we are saying. Identity, Communal Strife, and the Possibility of Peace". In Chapman, Daniel Ethan (ed.). Examining Social Theory: Crossing Borders/Reflecting Back. Peter Lang. pp. 101–114. ISBN 978-1-433-10479-4. Retrieved 9 October 2012.
- Yusuf, Ahmad (December 1998). "No, but a Useful Step toward Bi-Nationalism". Middle East Quarterly. Vol. V, no. 4. pp. 30–32. Retrieved 9 October 2012.
외부 링크
- 마을 홈페이지(다국어)
- 평화학교 홈페이지(영어, 아랍어, 히브리어)
- 평화의 오아시스의 미국 친구들
- 네브 샬롬의 영국 친구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