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로스트 시티 래블러
New Lost City Ramblers뉴로스트 시티 래블러 | |
---|---|
![]() 1960년대에 | |
배경 정보 | |
기원 | 미국 뉴욕시 |
장르 | 옛날 옛사람들 |
년 활동 | 1958–2019 |
레이블 | 포크웨이즈 |
과거 구성원 | 마이크 시거 존 코언 톰 페일리 트레이시 슈바르츠 |
뉴로스트 시티 램블러즈(New Lost City Ramblers, 또는 NLCR)는 민속 부흥기인 1958년 뉴욕시에서 결성된 미국 현대 구시대 현악단이었다.마이크 시거, 존 코언, 톰 페일리가 창립 멤버였다.트레이시 슈워즈는 1962년에 그룹을 탈퇴한 페일리를 대신했다.[1]시거는 2009년 암으로 사망했고,[2] 페일리는 2017년, 코헨은 2019년 사망했다.[3]NLCR은 옛 음악 부흥에 참여하였고, 많은 후기 음악가들에게 직접적인 영향을 주었다.
경력
람블러스는 1920년대와 1930년대에 녹음된 78rpm의 오래된 음악가 레코드에 그들이 들은 전통적인 연주 스타일에 초점을 맞추며 두각을 나타냈다.뉴로스트 시티 람블러스는 위버나 킹스턴 트리오와 같은 다른 당대 민속 단체들이 했던 것처럼 이 남쪽 소리들을 "삭제"하는 것을 거부했다.대신, 람블러스는 항상 진정한 소리를 위해 노력해왔다.[4]그러나 람블러스는 단지 그들에게 영감을 준 옛날 녹음들을 베끼기만 한 것은 아니었다.오히려 그들은 모방의 노예가 되지 않으면서 동시에 마주친 다양한 옛날 스타일을 사용하곤 했다.[citation needed]
램블러스는 모에 아쉬의 요청에 따라 J. E. 마이어의 "New Lost Train Blue"[5]와 찰리 풀과 노스캐롤라이나 램블러스의 애칭에 근거하여 그들 이름을 지었다.
대공황에서 노래에, 잃어버린 도시 Ramblers 때 실제로 Agnes"언니"구리에 있는 뉴딜 정책 시절로부터 인기 있는 정치 노래, 모든 그들의 상업적으로 발행한 자료 일지에서 발췌하며,"이동 하세요"은, 이 앨범에서 실시된 다양한 단지"토니는 슈워츠의 컬렉션 — 가수로부터 unidentified"[6]로 기록하고 공연을 했다.nningham, 전체 제목은 "How Can Keep On Moving(너도 마이그레이션하지 않는 한)"이다.이후 이 누락으로 람블러스의 앨범을 들었던 라이 쿠더는 자신의 '퍼플 밸리 안으로' 앨범의 첫 판에 '전통적'으로 이 곡을 녹음하게 되었는데, 이 사실을 알리면 흔쾌히 정정했다.쿠더는 또한 같은 뉴로스트 시티 램블러스의 앨범에 수록된 다른 곡을 다루었는데, 그는 라벨이 형편없는 카세트 카피에서 들었을지도 모른다: 뉴로스트 시티 램블러스가 필지 존 카슨에게 인정하지만, 쿠더 노트에는 여전히 "전통적인"[7]이라고 적혀 있다.램블러스가 다룬 '부머의 이야기'도 마찬가지지만, 이 곡은 카슨 로비슨이 작사해 1929년 '철도 부머'라는 제목으로 처음 녹음한 곡이다.
자서전 《크로니클레스》에서 다음과 같이 썼다. 제1권, 밥 딜런은 1960년 람블러스가 그들의 기록을 들었을 때 그에게 준 인상을 다음과 같이 묘사했다.
그들의 스타일과 노래, 소리 등 그들의 모든 것이 내게 어필했다.나는 그들의 외모, 그들의 옷차림, 그리고 특히 그들의 이름이 마음에 들었다.그들의 노래는 가무트 스타일을 울렸고, 산악 발라드부터 바이올린 곡, 철도 블루스에 이르기까지 모든 것이...난 며칠 동안 람블러스에 있을 거야.그 당시에는 그들이 78개의 오래된 기록들을 복제하고 있는지 몰랐지만, 어쨌든 그게 뭐가 중요했을까?그것은 전혀 중요하지 않았을 것이다.그들은 독창적인 스페이드를 가지고 있었고, 신비로움을 가진 사람들이었다.나는 그들의 말을 충분히 들을 수 없었다.[8]
그 그룹은 1960년대 후반에 갈라졌다.슈바르츠와 시거는 서로 다른 음악가들과 함께 공연했고 함께 단명하는 스트레인지 크릭 싱어즈를 결성했다.[1]
뉴로스트 시티 램블러스의 포크웨이즈 레이블에 대한 광범위한 음반은 스미스소니언 협회의 일부인 모아쉬가 사망한 후 CD에 포크웨이즈 타이틀을 재발행한 이후 시작되었다.
존 코헨은 그레이트풀 데드의 1970년 노래인 '존스 아저씨 밴드'의 십일장 존에게 영감을 주었다고 한다.[9]
음반 목록
- 더 뉴 로스트 시티 램블러 (1958) (포크웨이 레코드)
- 공황의 노래 (1959년) (포크웨이)[10]
- 어린이를 위한 구시대 노래 (1959년) (민속)
- The New Lost City Ramblers Vol. II (1960) (민간도로)
- The New Lost City Ramblers Vol. III (1961년) (포크웨이)
- 톰 팰리, 존 코언, 마이크 시거, 더 뉴 로스트 시티 램블러스의 노래 (1961년)
- 더 뉴 로스트 시티 램블러 (1961년)
- 뉴로스트 시티 뱅 보이즈가 부른 지구는 지구다(1961년)
- 더 뉴 로스트 시티 램블러즈 제4권 (1962년) (포크웨이즈)
- 미국 문샤인 & 금주 (1962년) (포크웨이즈)
- 뉴로스트 시티 람블러즈 제5권 (1963년) (포크웨이즈)
- 시골로 떠났다 (1963년)
- 라디오 스페셜 # 1번 (1963년)
- 트레이시 슈워츠와 함께한 뉴 로스트 시티 램블러: 시골로 떠났다 (1963년) (포크웨이즈)
- 현악대 악기(1964) (포크웨이)
- 올드 타임리 뮤직 (1964)
- 농촌 배달 1호(1965) (민속도로)
- 앞으로 다가올 일들에 대한 추억 (1966) (민중)
- 모던 타임즈 (1968년) (포크웨이즈)
- 사촌 에미(1968년)와 함께한 뉴로스트 시티 횡보자들 (포크웨이즈)
- 대격차 (1975) (민중도로)
- 20주년 음악회 (1978년)
- 20년 콘서트 공연 (1978년)
- 톰 팰리, 존 코언, 마이크 시거가 뉴로스트 시티 램블러스의 노래를 부른다(1978) (포크웨이)
- 올드 타임 뮤직 (1994)
- Early Years, 1958-1962 (1991년) (국민학교)
- 그들의 현장에 서 있는 것-Vol. II, 1963-1973 (1993) (스미소니언 민속길)
- There Ain't No Way Out (1997년) (Folkways)
- 40년 음악회 공연(2001)
- 50년: 어디서 왔나? 어디로 가십니까?(2009) (스미스소니언 포크웨이즈)
참조
- ^ a b The Guinness Who's Who of Folk Music, 1993, ISBN 0-85112-741-X
- ^ "Mike Seeger Cleared Paths, Showed Us The Way". Npr.org.
- ^ "Banjo Player, Folklorist, Photographer and Filmmaker John Cohen Has Died". Npr.org.
- ^ The Guinness Who's Who of Folk Music, 1993, p. 208, ISBN 0-85112-741-X,
Rather than ape their immediate predecessors who popularized the style, the trio preferred to invoke the music's original proponents, including Gid Tanner And His Skillet Lickers and the Carolina Tar Heels.
- ^ Gura, Philip F. "Roots and Branches: -Forty Years of the New Lost City Ramblers- Part I". The Old-Time Herald. Winter 1999/2000. Vol. 7, no. 2. Retrieved January 22, 2020.
- ^ FW05264 라이너 노트는 스미스소니언 사이트에서도 읽을 수 있다.
- ^ 스미스소니언 포크웨이즈 노트와 "Into the Purple Valley" 비교
- ^ 밥 딜런, 2004년 1권, 페이지 238
- ^ Francescani, Chris (May 18, 2014). "Bob Dylan's 'Da Vinci Code' Revealed". Thedailybeast.com. Retrieved September 19, 2019.
- ^ "Smithsonian Folkways - Search". Smithsonian Folkways Recordings. Retrieved September 19, 2019.
외부 링크
- 일러스트레이티드 뉴 로스트 시티 램블러스의 음반 목록
- 일러스트레이션된 Tom Paley의 음반 목록
- 스미스소니언 포크웨이즈 음반 목록
- 존 코헨 & 톰 팰리와의 인터뷰 - NLCR 50년차
- 마이크 시거, 존 코언, 톰 팰리, 트레이시 슈워츠와 많은 다른 영화들과 함께 뉴 로스트 시티 램블러스에 관한 새로운(2009) 다큐멘터리 영화
- NPR 라디오 방송 50주년 기념 뉴 로스트 시티 횡포
- 프레드 로빈스의 올드톤 루트 음악 축제 헌정 비디오
- 1968년 5월 프레드 로빈스(Fred Robins)에 의해 Davidson College Photos에서 열린 New Lost City Ramblers
- 1975년 2월 24일 프레드 로빈스(Fred Robins)에 의해 뉴욕 비크먼(Beekman)의 뉴 로스트 시티 램블러즈(Town Crier Caf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