니콜라스 아파티

Nicholas Apáti
니콜라스 아파티
에스테르곰 대주교
Apáti Miklós seal 1358.jpg
니콜라스 아파티, 1358년
설치된.1358
기간이 종료됨1366
전임자니콜라스 바사리
후계자토마스 테레그디
기타 게시물에스테르곰의 프로보스트
니트라 주교
자그레브의 주교
칼록사 대주교
재상
개인내역
죽은1366년 11월
국적헝가리인
디노미네이션천주교
부모님클레멘트

니콜라스 아파티(Keszei; 헝가리인:아파티 미클로스; 1366년 11월/12월)는 14세기 헝가리 수도원장으로, 1358년부터 사망할 때까지 에스테르곰 대주교를 지냈다.

조상과 조생

그의 출신지는 확실하지 않다. 그는 Bars County에서 유래한 농노 집안에서 태어났을 가능성이 있다.그의 아버지는 확실한 클레멘스였다.[1]그에게는 남동생 로렌스와 여동생 엘리자베스가 있었다.초기 교회학자인 페렌크 콜라니, 알바드 보사니, 족보학자 모르르 베르트너 등 교회학자들이 그를 프랑코이 가문의 일원으로 지목하고 그를 "데 프랑코" 또는 "프랑코이"라고 불렀다.[2]그러나 니콜라스의 첫 전기 작가 안탈 포는 그가 귀족 가문과의 친족 관계가 없음을 증명했다.대신 그는 '케세이' 성을 제안했는데, 1351년 8월 판사인 토마스 체세니 판사케스제 또는 케스지(가람케스지; 현재 슬로바키아 흐롱스케 코시히)의 땅을 자신에게 기증했기 때문이며, 이 행위는 1365년 2월 헝가리의 루이 1세에 의해 확인되었다.모어 워트너는 포르의 임의적인 이름 선정에 반대하였고, 또한 이전 입장을 수정하여 '레바이' 성을 제안하였는데, 원장님의 두 조카가 '데 르와' 접미사를 달고 나타났기 때문이다.그럼에도 불구하고 케세이의 이름은 역사 문헌에 퍼졌다.코넬 쇼바크, 팔 엥겔, 에니쿠 츄코비츠를 포함한 현대 역사학자들은 "아파티" 성을 사용하기 시작했다.[3]

위에서 언급한 토마스 체세니(Thomas Szecsényi)의 기부 서신에 따르면, 아파티는 첫 번째 찰스 1세, 그 다음 그의 아들 루이 1세를 충실히 섬겼다.[3]후자의 왕은 그의 확인헌장에서 아파티가 "거의 어린 시절부터" 왕궁을 섬기고 있었다고 말했다.그 결과 신학자 요세프 우드바르디는 아파티가 하층 귀족 출신이라고 여겼다.[2]그의 전기 작가 안탈 포는 아파티가 왕실 찬탈장에서 경력을 쌓기 시작했다고 썼다.교황 클레멘스 6세자그레브 주교로 임명되는 동안 학문적 능력을 언급하지 않았기 때문에 그가 외국 우니베르시타스에 참석하지 않은 것은 그럴듯하다.그러나 그는 궁중에서 보낸 세월에 걸쳐 유용한 실질적이고 행정적인 경험을 쌓았다.[3]그는 당시 자그레브 대학원의 일원이었던 스츨레스의 파슨으로 일컬어졌다.[1]

초기 경력

1349년 초, 아파티는 에스떼르곰의 직책대봉으로 승진했다.[2]그 후 1349년 5월 18일까지 니트라(현재의 슬로바키아 니트라)의 주교로 임명되었으나, 곧 그 해에도 여전히 스테판 프랑코이로 교체되었다.[4]한편 아파티는 1349년부터 1351년까지 왕실 예배당(라틴어: capellae regiae)의 우두머리(카운트)를 역임하기도 했다.[5]이러한 자질에서 그는 왕실 성직자들의 수녀원을 감독하고, 왕실 유물 보물을 지키고, 궁중 성직자들의 소송 활동을 보장하는 하인 평신도들에 대한 사법권을 행사하였다.그는 또한 왕실의 도장 관리자와 그 옆에 있는 왕궁에서 인증 장소의 책임자를 역임했다.[3]아파티는 1350년 1월 11일 교황 클레멘트에 의해 자그레브 교구로 양도되었다.[6]아파티는 1350년 4월 헝가리 군주가 두 번째 네폴리언 운동을 위해 출발했을 때 루이 1세를 호위했다.8월 3일 헝가리군에 아베사가 함락된 후, 아파티는 마을에서 주교로 봉헌되었다.아파티를 포함한 헝가리군은 1350년 10월 25일 부다에 도착했다.[2]

아파티는 1세기 전에 헝가리에 정착한 이교도 쿠만족의 개종 마지막 단계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였는데, 이 전환은 루이 시대에 완성되었다.[2]아파티는 1351년 후반에 오랜 관직 소유자인 테아메리우스의 사망에 따라 부총재가 되었다.[7]루이 1세는 1351년 말에 비슷한 시기에 의회를 열었다.아파티는 부총리로서 1222년의 황금불의 모든 조항을 확인한 그 법률의 초안자(later later as icus avitium)로, 자식이 없는 귀족들이 자유롭게 재산을 소유할 수 있도록 허가한 자를 구했다.이 법은 1848년 헝가리 혁명까지 존재했던 엔테일 제도를 도입했는데, 이 제도는 아이가 없는 귀족의 토지 재산을 "형제, 사촌, 친족에게 물려주어야 한다"[8]고 규정했다.그의 가족은 다이어트 중 아파티의 입법적 역할로 케즈라는 땅을 받았다.그러나 에스테르곰 대주교 니콜라스 바사리(Nicholas Vasari)는 왕의 결정에 반대하여 두 원장 사이에 소송이 발생하였다.곧 바사리는 그 소유의 정당한 기부를 인정했다.[8]아파티는 루이스의 충실한 측근으로 여겨졌다.헝가리 군주는 1352년 7월 1일 교황 클레멘트가 자그레브 교구에게 특정한 경우 고백의 은혜와 용서를 허가해 줄 것을 요청하자 주교의 이익을 위해 로마 쿠리아에 중재했다.아파티는 또한 교황법정으로부터 자그레브와 차즈마(Csazma) 지부 내에서 각각 2명의 은인을 자유롭게 기부할 수 있는 허가를 받았다.루이스의 개입으로 아파티의 조카들도 자그레브 대학지부의 카논이 될 수 있었다.[8]아파티는 1352년 2월 자신의 교구를 위해 메드베드그라드의 요새를 되찾는 데 성공했지만 단명 성장으로 판명되었다.üü의 왕실 고증인 은 1350년대 초반 아파티의 지도 아래 활동을 시작했다.존은 1353년부터 아파티의 성공회를 이끌었다.[8]

칼록사 대주교

니콜라스 아파티는 1356년 8월 4일 칼록사 대주교의 품격으로 이양되어 1년간의 공석이 끝났다.[9]그는 시르미아의 집사 니콜라스의 아들인 존을 10월에 아비뇽으로 보내어 의 창백함을 구하게 했다.[2]그 해에 루이스는 공식적인 선전포고 없이 베네치아 영토를 침공했고, 7월 27일 트레비소를 포위하기도 했다.아파티도 부대와 함께 지방에 거주했다.교황 인노첸시오 6세는 전쟁에 강력히 반대하며 베네치아인들에게 헝가리와 화해할 것을 촉구했다.그는 페르모 주교봉기오반니 캄펠로(Bongiovanni de Campeello)를 파견하여 양측을 중재하게 했다.루이 1세는 아파티에게 휴전 협상에서 그의 이익을 대변하도록 위임했다.베네치아 공화국은 "uti posidetis"를 제안했지만 헝가리인들은 자다르의 회복을 요구했다.교황 사절은 시뇨리아와 협정을 맺기 위해 베네치아를 방문했고, 아파티에게 사킬레에서 그의 대답을 기다려 달라고 부탁했다.협상은 예상보다 오래 걸렸고, 아파티 기자는 그의 돈이 이탈리아 지방의 반데리움에서 더 많은 자금을 조달하기 위해 바닥났다고 보고했다.아파티는 사킬레를 떠났고 그는 아킬레아의 총대주교룩셈부르크의 니콜라우스에 의해 수석대표로 교체되었다.교황 인노첸시오는 루이스를 "교회의 표준 신자"로 만들었고 프란체스코 2세 오르델라피와 교황국 내의 다른 반항적인 영주들에 맞서 싸울 수 있는 3년간의 십일조를 그에게 부여했다.교황은 아파티와 그의 집정관들에게 전화를 걸어 그의 군사 목표에 자금을 댈 수 있는 그들의 교회적 은사와 세금을 제공했다.[10]

귀국한 아파티는 1356년 11월경 왕실 총리로 임명되어 죽을 때까지 그 자리를 지켰다.[11]역사학자 임레 스젠트페리에 따르면 아파티는 보다 영향력 있고 가치 있는 존엄성을 나타내는 칭호를 채택했지만, 사실 왕실 부총재 시절과 같은 작업을 계속했다고 한다.13세기 후반부터 부총장들은 사실상의 찬스틸러리의 관리자로 여겨졌고, 총장직은 명예직으로 평가절하되었다.아파티는 칼록사 대주교로 임명되었을 때 재임 기간(13세기 초부터 주로 칼록사 대주교들이 재임하던 관직)의 옛 기능을 회복했다.[10]베르나트 L. 쿠모로비츠에 따르면, 찬스텔리지는 루이 1세까지 여러 부서로 구성되었다.아파티가 대주교로 승격했을 때 아파티 부총재직은 그에게 치욕적인 직함이 되었고, 이는 왕실의 사무실 주인들 사이에서 좌절을 시사했을 것이다.[12]

아파티는 1357년 초 아비뇽을 다시 방문하여 8월까지 다음 달을 보냈다.교황청에서 임명비를 냈고, 게다가 전임자인 데니스 라치피의 빚을 정리했다.[12]아파티는 궁중에서 고문과 참의의 역할 때문에 그 후 몇 년 동안 대교구(大敎口)에 머무르는 일이 거의 없었다.그는 칼록사(Kalocsa)에서 그를 대신할 수 있는 보조 주교들이 없었기 때문에 교황이 그에게 성직자를 봉헌하고 왕국 전 영토에서 미사를 거행할 수 있는 권한을 부여해 줄 것을 요청했다.교황 인노첸시오는 1357년 7월 26일 아파티에게 이러한 특권을 승인했지만, 헝가리의 다른 원장들과의 관할권 충돌을 피하기 위해 칼록사 대교구의 국경 내에서 그의 권한을 제한했다.같은 문서에서 교황은 또 최근 수십년간 '가난하고 형식 없는 교회'인 칼록사 가정성당 순례길에 오른 참회자들에게 4, 5년의 면죄부를 주기도 했다.[13]아파티도 상사에게 40명의 호위병을 거느리고 성묘를 허가해 줄 것을 요청했다.그러나 아파티는 결코 성지를 방문하지 않았다.[12]교황의 공로로 아파티는 1334년 토마스 세체니와의 불리한 계약을 계기로 전임자 중 한 사람인 라디슬라우스 얀키(Ladislaus Jancki)가 교환한 1357년 8월 혼트·괴뫼르(Gömör) 군에 있는 대주교의 땅을 되찾는 데 성공했다.[13]탄원서에는 아파티의 건강 상태에 대한 정보도 담겨 있다. 그의 신체적인 허약함과 위장의 소화기 계통이 좋지 않기 때문에 교황은 단식 기간 동안 헝가리 전통에서 면제를 받을 것을 요청했는데, 이때 신자들은 계란, 우유, 그리고 유제품이나 동물 제품을 먹지 않는다.교황 인노첸시오는 아파티가 그의 궁정의사의 조언에 따라 행동했어야 했다고 말했다.[12]

에스테르곰 대주교

에스테르곰 대주교 니콜라스 바사리(Nicholas Vásari)가 1358년 중반에 사망했다.아파티는 적어도 8월 23일 이후 그의 후계자로 지명되었다.[14]칼록사 대주교로 8월 25일 토마스 테레그디로 교체되었다.[9]1358년 9월 21일, 아파티는 에스테르곰 대주교로 취임하여 로마 가톨릭 보스니아 교구교구장인 요한에 대한 불성실 및 배신 혐의에 대한 조사 법정을 주재하였다.보스니아티브르코 1세와 루이 1세의 관계가 악화되자 피터 시클로시 주교가 루이 편을 들었다.그는 보스니아에 대한 새로운 십자군 원정에 대한 요구를 적극적으로 지지하여 티브르코의 적개심을 얻었다.반군은 심지어 그를 상대로 음모를 꾸몄는데, 이는 쟈코보에서 존과 같은 결말에 해당한다.피터는 그 편지들을 발견하여 감방장을 수감시켰다.아파티는 바흐스(현 세르비아 바치)에 일부 헝가리 수도원장 등 세속적인 영주들이 참석한 재판을 소환했다.이 과정에서 존은 자신의 죄를 인정하고 루이 1세에게 충성을 맹세했다.[15]교황 인노첸시오는 1358년 10월 8일 아파티를 에스테르곰 대교구로 옮겼다.[16]

루이스 1세 국왕 첫 봉인, 보스니아 반대 운동 중 니콜라스 아파티의 텐트에서 불명예스럽게 도난당했다.

임명 직후인 1359년 초에 에스테르곰에서 전국 회당을 열었다.그곳에서 그는 교황 인노첸시오의 지시로 에스테르곰 대교구의 패권을 인정해야 했던 스제케스페헤르바르의 단서의 참석을 요구했다.[17]아파티는 1359년 상반기에 아비뇽의 교황청을 방문했다.그곳에서 교황 인노첸시오는 그에게 헝가리 왕국에서 원장의 취임식을 허가했다.historian john의 역사학자 존은 성당 지부와 에스떼르곰에 있는 아파티의 대리인이 되었다.그 다음 해 중, 1364년 6월, 1365년 7월, 1366년 7월 등 왕실 문서에 의해 "총재"라고 언급되었다.그러나 궁중의 여러 관청의 교단에는 일관성이 없기 때문에 이 직함은 궁중에서 아파티의 막강한 지위만을 반영하고 있을 가능성이 있다.[17]역사학자 팔 엥겔은 헝가리 추기경 데메트리오스를 1377년 이 칭호를 채택하면서 헝가리 초대 총리로 간주했다.[11]

대주교는 1363년 봄 루이스가 보스니아를 두 방향에서 침공했을 때 티브르코에 대항하는 군사작전에 참가했다.팔라틴 니콜라스 콘트와 니콜라스 아파티 대주교가 지휘하는 군대가 스레브레니카를 포위했지만 요새는 항복하지 않았다.[18]아파티는 왕실의 도장을 자신의 군영으로 가져갔는데, 이 도장을 신하들이 포위하는 과정에서 도난당해 금공예에게 팔았는데, 이 도장은 베스테르체(현재의 루마니아 비스트리차)에 거주하고 있었다.새로운 도장이 만들어졌고 루이스의 이전의 모든 헌장들은 아파티도 지키고 있던 새로운 도장으로 확인될 예정이었다.[17]루이스의 개인 지휘하에 있던 군대는 7월에 소콜락을 포위했지만 포획할 수 없었다.헝가리군은 같은 달 헝가리로 귀환했다.한편 교황 우르반 5세는 1363년 3월 31일 키프로스의 베드로 1세의 요청에 따라 메디테라인의 무슬림 열강에 대한 십자군을 선포했다.그는 헝가리의 교회 수입에 3년 동안 십일조를 부과했고 교황 관리들이 세금을 징수할 수 있도록 루이스에게 지원을 요청했다.그러나 루이 1세와 팔라티네 쿤트는 이탈리아에서 이교도들과 교황의 적들에 대항한 앞으로의 전쟁에 대한 비용을 충당하기 위한 자원이 필요하다고 말하면서 교황 세자의 활동을 방해하기 위해 모든 노력을 기울였다.따라서 교황 우르바니는 아파티에게 자신의 결정을 철회하고 십자군 원정을 지지하도록 과대포장할 것을 촉구했다.아파티는 열의가 없어 지휘관 집행을 연장하려 했고, 따라서 교황청은 그에 대해 불쾌감을 표시했다.[17]니콜라스 아파티는 1266년 11월 20일에서 12월 2일 사이에 사망했다.[1]

참조

  1. ^ a b c 2006년, 301페이지.
  2. ^ a b c d e f 우드바르디 1991, 221페이지.
  3. ^ a b c d 헤게데스 2003, 페이지 175.
  4. ^ 엥겔 1996, 페이지 72.
  5. ^ 엥겔 1996, 페이지 91.
  6. ^ 엥겔 1996, 페이지 79.
  7. ^ 엥겔 1996, 페이지 90.
  8. ^ a b c d 헤게데스 2003, 페이지 176.
  9. ^ a b 엥겔 1996, 페이지 65.
  10. ^ a b 우드바르디 1991, 222페이지.
  11. ^ a b 엥겔 1996, 페이지 89.
  12. ^ a b c d 헤게데스 2003, 페이지 177.
  13. ^ a b 우드바르디 1991, 223페이지.
  14. ^ 엥겔 1996, 페이지 63.
  15. ^ 우드바르디 1991, 페이지 224.
  16. ^ 엥겔 1996, 페이지 64.
  17. ^ a b c d 헤게데스 2003, 페이지 178.
  18. ^ 2006년 302페이지.

원천

  • Dobronić, Lelja (1995). "Nikola I. [Nicholas I]". In Franko, Mirošević (ed.). Zagrebački biskupi i nadbiskupi [Bishops and Archbishops of Zagreb] (in Croatian). Školska knjiga. pp. 123–126. ISBN 953-0-60597-8.
  • Engel, Pál (1996). Magyarország világi archontológiája, 1301–1457, I. [Secular Archontology of Hungary, 1301–1457, Volume I] (in Hungarian). História, MTA Történettudományi Intézete. ISBN 963-8312-44-0.
  • Hegedűs, András (2003). "V. Miklós [Nicholas V]". In Beke, Margit (ed.). Esztergomi érsekek 1001–2003 [Archbishops of Esztergom 1001–2003] (in Hungarian). Szent István Társulat. pp. 175–179. ISBN 963-361-472-4.
  • Markó, László (2006). A magyar állam főméltóságai Szent Istvántól napjainkig: Életrajzi Lexikon [Great Officers of State in Hungary from King Saint Stephen to Our Days: A Biographical Encyclopedia] (in Hungarian). Helikon Kiadó. ISBN 963-208-970-7.
  • Udvardy, József (1991). A kalocsai érsekek életrajza (1000–1526) [Biographies of Archbishops of Kalocsa, 1000–1526] (in Hungarian). Görres Gesellschaft.

추가 읽기

  • Pór, Antal (1904). Keszei Miklós 13??–1366 [Nicholas Keszei 13??–1366] (in Hungarian). Magyar Történelmi Életrajzok, Hungarian Historical Society.
정치국
선행자 왕실 예배당의 우두머리
1349–1351
성공자
선행자 부총장
1351–1356
선행자 재상
1356–1366
성공자
가톨릭 교회 직함
선행자 니트라 주교
1349
성공자
선행자
데니스 라치피
자그레브의 주교
1350–1356
성공자
스테판 카니즈사이
칼록사 대주교
1356–1358
성공자
선행자 에스테르곰 대주교
1358–136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