니콜라이 구벤코
Nikolai Gubenko니콜라이 구벤코 | |
---|---|
![]() | |
문화부 장관 | |
재직중 1989년 11월 21일 – 1991년[1] 11월 27일 | |
프리미어 | 니콜라이 리즈코프 발렌틴 파블로프 이반 실라예프 |
선행자 | 바실리 자카로프 |
성공자 | 폐지된 사무실 |
개인내역 | |
태어난 | 1941년[2] 8월 17일 오데사, 우크라이나 SSR, 소비에트 연방[2] |
죽은 | 2020년 8월 16일[2] 러시아[2] 모스크바 | (78세)
정당 | 러시아 연방 공산당 |
배우자 | 잔나 볼로토바 |
직업 | 배우, 영화 및 연극 감독, 시나리오 작가, 정치인 |
니콜라이 구벤코(러시아어: и:иаааййчччччччччччччччччч;;;;;;, 1941년 8월 17일 ~ 2020년 8월 16일)는 소비에트 및 러시아의 배우, 영화 및 연극 감독, 시나리오 작가, 타간카 배우 커뮤니티 극장의 설립자였다.그의 영화 "바디드 게임"은 1977년 칸 영화제에 참가하였다.[3]그는 1985년에 RSFSR의 People's Artist로 선정되었다.[4]
구벤코는 정치에도 적극적이었다.그는 구소련의 마지막 문화부 장관(1989–1991년)과 1995년에서 2003년 사이에 러시아 국가 두마 부차관보를 지냈다.2005년부터 그는 모스크바 도시 두마 대리인으로 활동했다.[5][6]
초년기
니콜라이 구벤코는 오데사 방어 때 오데사 카타콤스에서 태어났으며, 오데사 방어 기간 중 다섯 아이 중 막내였다.[7]그의 어머니는 러시아인이고 그의 아버지는 우크라이나 태생이었다. 둘 다 1942년 대애국전쟁 중에 죽었다.[8][9]그의 아버지는 니콜라이가 태어나기 전에 소련 공군에 입대하여 보로실로브그라드 근처에서 전사했다.지역 식물 중 한 곳의 수석 디자이너인 그의 어머니는 나치 로마인 오데사를 점령하는 동안 심문을 받았으며 그녀가 협업을 거부하자 살해되었다. 그녀의 시신은 니콜라이의 할아버지에게 " 교수형 흔적"이 남아 있었다.[10]
구벤코의 형제자매는 모두 입양되었고, 그는 전쟁이 끝난 후 그를 오데사 고아원으로 보낸 조부모와 함께 남겨졌다.[7]그리고 그는 영어에 중점을 두고 특별 기숙학교에 들어갔다.졸업과 동시에 그는 군사 외국어 학원에 입학할 예정이었으나 니키타 흐루쇼프의 전쟁 개혁에 따라 1955년에 문을 닫았다.[10]그 후 1958년[2] 오데사 영 스펙터 극장에 입단하여 무대공과 엑스트라로 활동하였다.[11]
경력
1960년경 구벤코는 모스크바에 도착하여 VGIK의 연기부 입학시험에 합격했는데, 이 과정은 그가 1964년에 끝마친 세르게이 제라시모프와 타마라 마카로바가 이끌었다.[4]연구 중에 그는 미래의 아내인 배우 자나 볼로토바를 만났다.[11]학생 시절 그는 마르렌 쿠치예프가 감독한 소련의 컬트 영화 '아이엠 스무스'(원래 일리히의 문이라는 제목)의 주연 중 한 명에서 연기를 했다.그것은 오랫동안 문제 많은 생산 역사를 가지고 있었다.1962년에 끝난 이 영화는 모스크바 크렘린궁에서 상영되었고, 이를 이념적 전환에 비유하고 "전혀 용납할 수 없고 소련 사람들에게 이국적인 공공 및 사생활의 이념과 규범"[12]이라고 비판한 니키타 흐루쇼프를 크게 화나게 했다.
최종 컷은 구벤코가 이미 졸업한 1965년에야 발표되었다.그는 베르톨트 브레히트의 <아투로의 저항성 상승>을 원작으로 한 졸업장 연극에서 아돌프 히틀러를 연기했다.[10]구벤코가 나중에 회상했듯이, 그는 부모님의 죽음에 책임이 있는 남자에 대한 모든 증오심을 그 역할에 쏟아 부었다.구벤코가 영화배우로 공부했음에도 불구하고 연극을 찾은 유리 류비모프는 즉시 타간카 극장에 입회할 것을 제안할 정도로 그의 연기는 강력해졌다.[11]1964년부터 1960년대 말까지 그곳에서 영화계에 전념하기로 결심하고 VGIK에서 감독 과정에 입학했으며, 1970년에 마친 게라시모프와 마카로바도 이끌었다.[4]
1971년과 1988년 사이에 구벤코는 6편의 영화를 감독했다.첫 번째, "전선에서 돌아온 병사"는 RSFSR의 바실리예프 브라더스 주 상을 받았다.[4]1976년 그의 부상 게임(또는 포드랭키)은 그의 원작을 바탕으로 했다.그 이야기는 전후 오데사의 고아들의 삶을 다뤘다.구벤코에 따르면, 50/50의 자서전적이었고, 많은 개인적인 세부 사항들을 포함하고 있었다.[10]15명의 주연은 실제 고아들에 의해 수행되었다 - 그는 전국의 고아원과 기숙학교에서 온 수천 명의 아이들을 지켜보았다.[11]이 영화는 2030만 명이 관람했으며 1977년 칸 영화제에 참가했다.[3][13]1977년 시카고 국제영화제에서 동상 휴고상을 수상하기도 했다.[5]
1987년 구벤코는 아나톨리 에프로스의 죽음으로 타간카 극장으로 돌아왔다.그는 그것을 지휘했고, 오래된 연극을 부활시키기 시작했으며, 동시에 유리 류비모프가 구소련으로 복귀하는 것을 돕기 위해 그의 모든 영향력을 행사했다.[14][15]류비모프의 시민권이 회복되자마자 감독직을 떠났지만 배우로서 극장에 남아 있었다.그는 또한 구소련의 문화부 장관직을 제안받았고, 1917년 아나톨리 루나차르스키 이후 비슷한 직위를 가진 최초의 소련 예술 전문가가 되었다.[5]소련 해산이 일어난 1989년부터 1991년까지 재임했으며, 그래서 그는 마지막 소비에트 문화부 장관이었다.
1992년 류비모프 모스크바 시장이 서명하기 위해 가브릴 포포프 모스크바 시장에게 보낸 계약 이후 타간카에서 분열이 발생했는데, 그는 기본적으로 "외국인 동료들"을 유치하여 극장을 민영화하고 계약체제로 옮겨야 한다고 제안했다.이것은 그가 언제든지 배우를 고용하거나 해고할 수 있게 해주었을 것이고, 한편 모든 내적 갈등은 국제법원에서 해결되었을 것이다.[14][15][16]
류비모프 자신은 대부분의 시간을 해외에서 보냈고 배우들과의 대화를 거부했다.어느 순간 그는 회의에 참석했다가 시위대의 편을 들어 해고된 구벤코와 말다툼을 벌이기도 했다.[15][16]그러나 그는 블라디미르 비소츠키의 노래를 바탕으로 한 연극 블라디미르 비소츠키에서 연기를 계속했다.류비모프는 이어 오몬의 도움을 받아 그의 입장 금지를 요청했고 연극을 취소했다.[14][17]그 후 구벤코는 35명의 다른 배우들과 함께 떠나 그가 죽을 때까지 운영했던 타간카 배우들의 공동체라는 비주립 극장을 설립하고 배우, 무대 감독, 극작가로 참여했다.[11][15]2008년에는 국가 지위를 받았다.[18]
선택 필모그래피
연도 | 제목 | 원제목 | |||
---|---|---|---|---|---|
감독 | 시나리오 작가 | 배우 | |||
1965 | 나는 스무 살입니다. | Мне двадцать лет | 니콜라이 포킨 | ||
1966 | 라스트 콘맨 | Последний жулик | 페티아 다치니코프/보컬스 | ||
1967 | 암호 필요 없음 | Пароль не нужен | 바실리 블류커 | ||
1969 | 감독 | Директор | 알렉세이 즈보리킨 | ||
젠트리족의 고향 | Дворянское гнездо | 시트니코프 | |||
1971 | 전선에서 돌아온 병사 | Пришёл солдат с фронта | ![]() | 니콜라이 예고로프 | |
1974 | 행복해지고 싶다면 | Если хочешь быть счастливым | ![]() | 안드레이 로디오노프 | |
1975 | 그들은 나라를 위해 싸웠다. | Они сражались за Родину | 골로쇼코프 중위 | ||
I Want the Floor | Прошу слова | 세르게이 우바로프 | |||
1976 | 부상 게임 | Подранки | ![]() | ![]() | 그리고리 알베르토비치/알렉시 바르테네프(음성) |
1977 | 특별 주의 구역에서 | В зоне особого внимания | 알렉산드르 볼렌티르 (음성) | ||
1980 | 휴일의 삶 | Из жизни отдыхающих | ![]() | ![]() | 알렉세이 파블리셰프 (음성) |
I. Oblomov의 삶에서 온 며칠 | Несколько дней из жизни И. И. Обломова | 스톨츠의 아버지(목소리) | |||
1983 | And Life, Tears, Love | И жизнь, и слёзы, и любовь | ![]() | ![]() | |
1988 | 금지 구역 | Запретная зона | ![]() | ![]() | 에피소드(수정) |
2001 | 이사할로예프 | Исаев | 내레이터(음성) | ||
2013 | 쿠! 킨짜자 | Ку! Кин-дза-дза | 블라디미르 치조프(음성) |
참조
- ^ Постановление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го Совета СССР от 27 ноября 1991 года № ГС-19 «К вопросу об упразднении министерств и других центральных органов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го управления СССР»
- ^ a b c d e умр래 рроооойуууууtass.rutass.rutass.rutass.rutass.rutass.rutass.ru.tass.ru (2020년 8월 16일)
- ^ a b "Festival de Cannes: Wounded Game". festival-cannes.com. Retrieved 11 May 2009.
- ^ a b c d 시네마:백과사전, 메인 에드.세르게이 윷케비치(1987년).— 모스크바:소비에트 백과사전, 페이지 108
- ^ a b c 안나 키셀고프1989년 12월 27일 뉴욕 타임즈에서 진리를 과제로 삼은 소비에트 문화부의 새 장관
- ^ 모스크바 시티 두마 웹사이트에서 니콜라이 구벤코
- ^ a b 섬들. 러시아-K의 니콜라이 구벤코 다큐멘터리 (러시아어)
- ^ 니콜라이 구벤코: 2014년 9월 16일(러시아어) 베체르냐야 모스크바에서 우크라이나 국민 인터뷰를 노예로 삼았다.
- ^ 올가 샤블린스카야.노동당, 2015년 7월 11일 (러시아어로) Patisty i Fakty에서 인터뷰를 할 수 있는 다른 방법은 없다.
- ^ a b c d 니콜라이 구벤코. 2009년 러시아-K(러시아어) 라이프라인 토크쇼
- ^ a b c d e 2011년 러시아의 니콜라이 구벤코 다큐멘터리 (러시아어)
- ^ 조세핀 울.20살, 40년 후
- ^ 키노포이스크에서 열린 부상 게임
- ^ a b c 레오니드 필라토프(2007)직접 연설.— 모스크바: AST, 페이지 180—187 ISBN 978-5-17-045464-8
- ^ a b c d 마리아 시디크2013년 4월 8일 이토지 매거진 №14에 실린 타간카 막다른 기사(러시아어)
- ^ a b 세르게이 사모신.타간카 극장(Taganka Theatre)은 1992년 1월 20일 코메르산트(Kommersant)에서 유리 류비모프(Yuri Lyubimov) 기사를 폐지하기로 결정했다(러시아어).
- ^ 세르게이 사모신.유리 류비모프는 1992년 3월 6일 코메르산트에서 니콜라이 구벤코 기사와 계속 다투고 있다(러시아어).
- ^ 결의안 № 2008년 10월 14일부터 모스크바 포털(러시아어)에서 947-COLDORK
문학
- 니콜라이 구벤코(2014년).황당무계 극장.정치판에서 연극을 한다.— 모스크바:Algorythm, 256쪽 ISBN 978-5-4438-0696-9
- 에브게니 그로모프(2012년).니콜라이 구벤코감독과 배우.— 모스크바:Algorythm, ISBN 5-9265-0067-2 288쪽
외부 링크
![]() | 위키미디어 커먼즈에는 니콜라이 구벤코와 관련된 미디어가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