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나 오코레
Nnenna Okore![]() |
네나 오코레 | |
---|---|
태어난 | 네나 오코레 1975 |
국적 | 나이지리아와 오스트레일리아인 |
교육 | 나이지리아의 대학교, 은수카, 아이오와 대학교 |
로 알려져 있다. | 조각, 설치미술 |
수상 | 풀브라이트 장학금 |
나나 오코레(Nenna Okore, 1975년 오스트레일리아 출생)는 나이지리아와 미국 양쪽에서 활동하는 화가다.그녀의 대체로 추상적인 조각품들은 그녀의 즉각적인 환경 안에서 질감, 색깔, 형태에 의해 영감을 받는다.[1]오코어의 작품은 반복적이고 노동집약적인 기법을 통해 복잡한 조각과 설치물을 만들기 위해 종종 플로츠나 버려진 물건을 사용한다.[2]그녀는 나이지리아 현지인들이 일상 업무를 수행하는 것을 보면서 직조, 바느질, 구르기, 비틀기, 염색 등 자신의 몇 가지 방법을 배웠다.[3][2][4]오코어의 작품 대부분은 상세한 표면과 생체모형 형성을 탐구하고 있으며, 그녀의 작품은 미국 내외의 갤러리와 박물관에 전시되어 있다.[2][3][5][6]그녀는 2012년 풀브라이트 스콜라 상을 포함해 여러 개의 국제상을 수상했다.[7]
오코레는 현재 시카고 노스파크 대학교에서 미술학 교수로 재직하고 있으며, 그곳에서 그녀는 조각품을 가르친다.[8]교수와 사서의 딸인 그녀는 종종 자신의 미국 정체성과 나이지리아의 정체성을 비교하고 조국과 미국의 정체성의 대조를 조사한다.[2]
배경
오코레는 나이지리아 아비아 주 우투투에서 온 부모에게서 호주 목요일 섬에서 태어났다.[9][10]네 살 때 호주에서 나이지리아로 이사한 후, 오코레는 어린 시절의 대부분을 나이지리아 남동부의 대학 도시인 Nsukka에서 보냈고,[9] 그곳에서 양쪽 부모가 모두 Nsukka의 나이지리아 대학에서 학자로 일했다.오코르는 기독교인으로 자라났고 이후 전통적인 이그보 관습에 노출되지 않았지만, 후에 그녀의 문화에서 이러한 요소들과 다시 연결되었다.[11]오코레의 예술은 이후 아연 지붕이 있는 황폐화된 진흙 어도비 집, 부서진 구조물에 기대어 쌓아 놓은 장작더미, 누더기 옷을 입은 사람들, 험준한 지형 등 누크카의 시각적 특성에 영향을 받았다.붕괴와 재탄생이 삶의 방식에 필수불가결한 열대 환경에서 자라난 오코레는 쇠퇴에 이끌렸고 시간이 지나가는 방식은 어릴 때부터 사물에 영향을 끼쳤다.[11]
캠퍼스 경계선에 가까운 상급 직원 숙소에서 생활하면서, 오코레는 지역 시장 및 기타 농촌 인구와의 일상적 상호작용을 접하면서, 교외 지역사회와 지속적으로 접촉하고 있었다.[11]오늘날, 그녀의 작품은 점토, 밧줄, 직물, 막대, 그리고 종이와 같은 다양한 환경 재료를 사용하고 있는데, 그녀는 은수카에 있는 동안 자주 접하게 되었다.
교육
오코레는 스와질랜드에 있는 나이지리아 대학교 국민학교, 나이지리아 대학교 중등학교, 워터포드 캄흐라바 유나이티드 월드 칼리지에 고등학교를 다녔다.[12]그녀는 초등학교 때 미술에 열성적이었고, 특히 뜨개질, 바느질, 그리고 크로셰를 했다.이 기간 동안 오코레는 1993년 유네스코가 주관한 아프리카 어린이 미술 콩쿠르에서 1등을 하는 등 복수 미술상을 수상했다.중등학교에서는 정물화를 자주 그리고 수채화를 그렸다.그녀의 가족, 특히 그녀의 아버지 A. O.오코르는 예술가가 되기 위한 그녀의 노력을 지지했다.
그녀가 스와질랜드에서 고등학교를 졸업할 무렵, 오코레는 인쇄술, 도자기, 모형화, 아크릴화 등에 능숙했다.몇 년 후, 그녀는 세네갈의 다카르, 나이지리아의 아부자, 중국의 베이징을 여행하는 UNIFEM 여성 권한 부여 예술 대회에서 우승하여 세계 여성 회의의 아프리카 젊은이들을 대표했다.
1995년 오코레는 나이지리아 대학인 Nsukka의 Fine and Applied Arts 학부 과정에 등록했다.[12]그녀의 첫 매체는 기름과 아크릴 물감이었다.3학년이 될 때까지 오코어는 그녀의 작품과 또래들의 더 전통적인 그림을 구별하기 위해 캔버스에 있는 특이한 재료들로 실험을 시작했다.그녀는 다른 재료들 중에서 나뭇잎, 주트, 천, 막대, 조각난 사진, 빗자루, 재활용 종이, 그리고 가죽을 사용했다.그 후, 그녀는 물감, 흙, 밧줄, 직물, 그리고 다른 발견된 물체들로 이루어진 질감 구조로 특징지어지는 자유롭게 흐르는 표면을 만들기 시작했다.그녀의 마지막 해까지, 그녀의 작품들은 나이지리아 경험과 관련된 소비와 창의적인 재활용 문제에 주로 초점을 맞추었다.오코레는 치지오케 오누오라, 치케 아니아코르, 엘 아나쓰이 등 스승들의 영향을 받았다.엘 아나츠이는 특히 오코르에게 "마음, 상상력,[13] 경험을 창의성의 매개체로 사용하는 것을 그에게서 배웠을 뿐만 아니라 성장하지 못한 토착적 관행 몇 가지를 다시 연결하도록 강요했다"고 말하면서 오코르에게 영향력이 컸다.[11]오코레는 또한 아르테 포베라의 경험적인 스타일이 그녀의 시각적 서술에 강하게 어필하는 영향을 많이 받았다.[13]오코레는 1999년 나이지리아 누크카 대학에서 미술학 학사 학위를 받고 1등상을 받았다.[14]
2년 후, 오코레는 2005년에 수료한 아이오와 대학교의 미술 석사 과정을 위해 미국으로 이주했다.[7]
경력
오코어는 아이오와 대학을 졸업한 뒤 2005년 노스파크대에 영입돼 미술학과 조각부대를 지도·감독했다.그녀는 현재 미술학과 교수와 학과장으로 학부생들에게 3차원 디자인, 조각 연습, 그리고 그림 그리기를 가르친다.[7]
오코레의 작품은 교수 경력 외에도 아시아, 유럽, 북미, 아프리카의 국제 공연장을 가로지르는 80여 개의 솔로 및 그룹 쇼에서 전 세계 관객들에게 전시되었다.그녀의 작품들은 조각 잡지, 뉴욕 타임즈, 파이낸셜 타임즈, 아트 남아프리카 그리고 세라믹스와 같은 출판물들에서 긍정적으로 검토되었다. 예술과 지각.그녀는 2001년 나이지리아 라고스의 얼터너티브 스페이스에서 '메타퍼스'라는 제목의 첫 단독 전시회를 열었다.그녀의 두 번째 개인전은 2002년 라고스 나이지리아 디디 박물관에서 열린 '선을 넘어'라는 제목이 붙여졌다.2002년 미국 아이오와주 아이오와대 전기자 갤러리에서 '다시 대표'라는 제목의 첫 단독 전시회를 연 그는 이후 매년 단독 전시회를 진행해 왔다.[15]
2012년 오코어는 풀브라이트 스콜라 상을 받았다.이 보조금으로, 그녀는 일련의 새로운 창조적 탐험을 하는 동안, 라고스 대학에서 1년 동안 교육 프로젝트를 위해 나이지리아로 갔다.그곳에서 1년 동안 그녀는 학생들에게 예술을 만들고 영감을 찾는 대안적인 과정에 노출시켰고, 환경에 대해 변화된 관점을 갖도록 격려했다.[16]그녀는 2013년 자신의 프로젝트를 마치고 미국으로 돌아왔다.
자재
오코어의 미국에서의 초창기 시절은 그녀에게 환경적, 문화적 차이를 보여주었다.그녀의 주변환경에서 영감을 받은 새로운 재료를 채택하면서, 그녀는 그녀가 나이지리아에서 사용했던 스틱, 나뭇잎, 주트 재료와 같은 비슷한 물체들을 통합했다.
오코레 소재 선택은 일상의 소재를 용도 변경해 혁신적인 예술 형태를 창조하려는 엘 아나츠이의 철학에도 큰 영향을 받는다.이러한 제작 방식은 서양에서 제작한 미술 재료의 높은 비용 때문에 필요에 따라 부분적으로 형성되었다.오코어는 버려진 신문이나 왁스 같은 재료의 덧없음에 질식하기보다는 조각적 잠재력에 초점을 맞춘다.[17]
오코어는 유기성, 섬유성, 유순성, 그리고 그 밖의 물질의 특성을 특징으로 하는 경향이 있다.그녀의 현재 작품에서, 그 물질들은 과도하고, 뿌리처럼 생겼거나, 빽빽한 형태의 시각적 특성을 포착한다.특히 종이는 오코르의 과정에 다양한 가능성을 제공한다.좀 더 비전통적인 길을 가면서, 그녀는 발견된 종이, 점액 섬유, 염료, 커피, 보풀을 포함한 재료들을 펄핑하여 풍부하고 신체적인 종이 표면을 만든다.[13]그녀는 또한 신문의 상징적인 서술적 성격을 포함하고 있다.버랩은 오코레의 작품에도 등장하는데, 이 작품에서는 일시적이고 섬세한 이목구비로 사용된다.
일과 개념
노화, 죽음, 부패의 테마는 오코르의 작품에서 재발하여 지구의 취약성과 파괴한도를 강조한다.[10]오코레는 작품 내내 '플로라'(꽃) 모티브나 에센스를 반복적으로 사용해 이러한 죽음과 파괴한도, 그리고 부활의 본질 등을 강조한다.[18]그녀는 풍화, 황폐, 생명이 없는 형태를 통해 물리적 세계의 다양하고 촉각적인 측면을 포착한다.오코레의 작품은 수작업 반복 과정을 통해 직물, 나무, 지형, 건축의 복잡하고 뚜렷한 특성을 드러낸다.그녀의 작품들은 섬유와 같은 아프리카의 전통적인 여성공예에서도 영감을 받고 있다.오코레는 때로는 서아프리카에서 조달한 삼베, 철사, 종이와 같은 짜고, 염색하고, 구불구불하고, 놀리는 재료들을 짜는 느리고 고된 과정을 거치며, 극적인 직물 설비를 만든다.[19][8]어렸을 때 오코어는 동시대 사람들이 그들이 변형시킨 재료로 작품을 만드는 것을 보았고, 이것은 그녀에게 그녀의 작품에서 비슷한 관행을 하도록 영감을 주었다.그녀는 종종 버려지는 것들을 아름답게 보도록 그녀의 청중들에게 격려하면서 사람들이 그것들을 보는 방식을 바꾸는 방식으로 재활용된 물질을 다시 만든다.[20]이 재활용의 주제는 오코르의 작품 전반에 걸쳐 일정하다. 그녀는 그녀의 조각품을 기후 대화의 한 부분으로 보기 때문이다.그녀의 전형적인 유기물 재료와 대비되는 재료를 사용하여: 플라스틱, 직조 같은 전통적인 관습과 함께 그녀는 물질뿐만 아니라 점점 더 부자연스러운 세계에서 오는 혼합성을 보여주는 것을 목표로 한다.[21]그녀의 조각품들은 종종 나이지리아에서 만난 야생동물과 공예 문화를 반영하는데, 그곳에서 그녀는 자연세계를 관찰하고 손으로 빗자루를 만드는 것과 같은 반복적인 육체 노동에 종사하는 사람들을 보면서 자랐다.[19]이그보 여성 오코레가 되는 것은 또한 이그보 문화와 역사의 요소들, 특히 식민주의의 지속적인 영향을 끌어낸다.[17]오코르는 정기적으로 Nsukka로 가는 여행을 하는데, 이것은 그녀의 일의 많은 부분을 고무시키는 환경과 문화에 대한 어린 시절의 기억을 환기하는 한 방법이다.[20][13]
갤러리 표현
- 미국 뉴욕의 데이비드 크루트 갤러리.
- 미국 뉴욕의 현대 아프리카 미술관.
- 미국 런던의 10월 갤러리.
- 미국 에머리빌의 베크리스 갤러리.
- 미국 인디애나폴리스의 쿠아바 갤러리.
- 미국 뉴욕 예술 디자인 박물관
- 영국 맨체스터의 맨체스터 미술관.
- 브라질 상파울루 주 무슈 아프로
- 영국 케임브리지의 흥 갤러리.
- 미국 멤피스의 멤피스 브룩스 미술관.
참조
- ^ "Intricate abstract sculptures by Nnenna Okore inspired by veins, roots, and flora". Creative Boom. 2017-11-22. Retrieved 2020-08-11.
- ^ a b c d Perry, Elle. "Nnenna Okore's "Sheer Audacity" at the Brooks". Memphis Flyer. Retrieved 2020-08-11.
- ^ a b Heckel, Jodi. "Contemporary artist Nnenna Okore to visit Krannert Art Museum". news.illinois.edu. Retrieved 2020-08-11.
- ^ Cotter, Holland (2012-11-08). "Nnenna Okore: 'Transfiguration'". The New York Times. ISSN 0362-4331. Retrieved 2020-08-11.
- ^ "The Buzz Around Contemporary African Art: 10 Trending Artists at 1:54 Contemporary African Art Fair". Artsy. 2014-10-12. Retrieved 2020-08-11.
- ^ "Nnenna Okore - 45 Artworks, Bio & Shows on Artsy". www.artsy.net. Retrieved 2020-08-11.
- ^ a b c "Nigerian artist Nnenna Okore to exhibit work in London". The Guardian of Nigeria. 2017-10-19. Retrieved 2018-04-22.
- ^ a b "Nnenna Okore is on a picturesque exploration of the cycle of life". Retrieved 2020-08-11.
- ^ a b "Nnenna Okore interview: Political by Nature (2013)". www.artdesigncafe.com. Retrieved 2020-08-11.
- ^ a b studio. "Nnenna Okore: 'My work seeks to highlight Earth's vulnerability and fragility'". Studio International - Visual Arts, Design and Architecture. Retrieved 2020-08-11.
- ^ a b c d "Fragility, elegance and decay" – via Free Online Library.
- ^ a b "Nnenna Okore - 50 Artworks, Bio & Shows on Artsy". www.artsy.net.
- ^ a b c d "Political by Nature: A Conversation with Nnenna". ProQuest 1370724767 – via ProQuest.
- ^ http://nnennaokore.com/bio/
- ^ "Nnenna Okore - Bio & Works". Sakhile&Me.
- ^ "The Nuts and Bolts of Recycle Art: A Dialogue With Nnenna Okore". March 25, 2019.
- ^ a b Nzegwu, Nkiru (2020). "Temporality, Oríkì and Nigeria's Contemporary Art". Aesthetic Temporalities Today. Image. Vol. 185. pp. 87–100. doi:10.14361/9783839454626-008. ISBN 978-3-8376-5462-2. S2CID 234425520.
- ^ "Nnenna Okore: 'My work seeks to highlight Earth's vulnerability and fragility'". www.studiointernational.com.
- ^ a b Thackara, Tess (2018-07-30). "These 20 Female Artists Are Pushing Sculpture Forward". Artsy. Retrieved 2020-08-11.
- ^ a b Hemmings, Jessica (2010). "Material Meaning". Wasafiri. 25 (3): 38–46. doi:10.1080/02690055.2010.486251. S2CID 219613794.
- ^ Wagner-Lawlor, Jennifer (2018). "Poor theory and the art of plastic pollution in Nigeria: Relational aesthetics, human ecology, and "good housekeeping"". Social Dynamics. 44 (2): 198–220. doi:10.1080/02533952.2018.1481685. S2CID 150301600.
원천
- Nenna Okore 웹사이트의 아티스트 프로필
- 로버트 프리스 "본성별 정치": 2013년 7월/8월 조각 잡지 Nenna Okore와의 2500단어 인터뷰
- 파우스티나 안얀우 "가장 간단한 일에서 영감을 찾아서…" C.Hub Magazine, 2권 2012/13.
- 크리스 스프링, 아프리카 직물 투데이, 스미스소니언 북/영국 박물관 출판부, 2012.
- Nena Okore: 2012년 11월 9일 뉴욕 타임즈 홀랜드 커터의 '변형'
- Jackie Wullschlarger, "We Face Forward...", 파이낸셜 타임즈, 2012년 8월 12일.
- Tajudeen Sowole, "Step Away, Ferguson, African Art가 맨체스터를 인수하다" 2012년 6월 15일 나이지리아 가디언.
- Kate McCrickard, "쓰레기 관리/사물이 찢겨진" 아트 남아프리카 공화국, 2011년 6월 9.4권.
- "Metatorphoses와 함께, Okore는 영국으로 돌아간다.", 나이지리아 가디언, 2011년 4월 19일.
- A. M. 위버, "취약성, 우아함, 부패" 세라믹스: 예술과 인식, 이슈 83, 2011년 3월.
- 맥필립 은와추크우, "니거 미술 시장...., 2010년 11월 25일 뱅가드, Nenna Okore"가 말한다.
- 제시카 헤밍스, "물질적 의미", 와사피리, 이슈 63, 2010.
- Elizabeth Upper, "Into the Art of Africa", Overf Magazine, Winter 2009/2010.
- Okwui Enwezor와 Chika Oke-Agulu, 1980, 2009년 이후 현대 아프리카 예술.
- 치카 오케 아굴루, "뉴 오더" 2009년 10월 6일자 어라이즈 매거진
- 제시카 크로니카 "네나 오코레의 예술 .....""재활용 자재 설치", 2009년 8월 11일 The Inspector.
- Mike Giuliano, "Visual Arts: 다섯 명의 예술가가 아트 센터를 '종이'로" 2009년 7월 30일 하워드 카운티 타임즈.
- Albert Stabler, "Tom Torluemke and others in the Cultural Center" , Faccess Magazine, 2009년 7월 26일.
- 2009년 7월 10일, 넥스트 신문, "Wakeful Souls"의 Uzor Maxim Uzoatu.
- 바네사 오피옹, 2009년 6월, Weekly Trust, "Rocks to Riches with Art".
- Victor Ehikhamenor, "작은 것들의 여신...", 넥스트 신문, 2009년 6월 19일.
- 2009년 6월 20일, 오케추크우 우와에조크, "자연의 모조품".
- 2009년 6월 16일 나이지리아 컴퍼스, "지구의..." Nenna Okore는 홈쇼를 한다.
- 제시카 헤밍스 "네나 오코레:2009년 7월 런던 10월 갤러리" 표면 디자인 저널 "Ulukuba at London".
- 2009년 4월 9일, 넥스트 신문, "라고스의 콘템포러리 아트 옥션" 에마뉘엘 애니파이트.
- 줄리안 루프, 본햄스 헤드라인 2009년 3월 "Bonhams에서 열린 최초의 영국 현대 아프리카 미술 경매에서 스포트라이트를 받은 아프리카 작가들"
- 2009년 3월 28일 The Financial Times, "Art of Africa"의 Simon de Burton.
- Katy Donoghue, "Attist to Watch: Nnena Okore", Whitewall Magazine, Spring Essue, 2009.
- 2009년 2월 8일자 넥스트 신문, "Nenna Okore와 함께 Studio 방문: 버려지고 발견한 것들의 예술"
- 분미 악파타오호헤 "우루쿠바:2008년 12월 3일 아프리카 투데이 '무한 흐름'
- 폴리 새비지 "소개:2008년 10월 16일부터 12월 6일까지 런던의 전시 카탈로그"울루쿠바-무한 흐름".
- 로버타 스미스 2008년 9월 26일자 뉴욕타임스의 "오래된 재료를 사용하여 박물관에 새로운 얼굴을 바른다"
- 바바라 머레이, 2007년 1월 8일자 파라피나 매거진 "마인드 오프너-아프리카의 여성 예술가"
외부 링크
- R. J. Preece "Nenna Okore 인터뷰: 자연에 의한 정치(2013), 아트 디자인 카페
- 타운 앤 가운, 2012년 8월
- 2012년 10월 23일, 아트 앤 컬처 매븐 "Nenna Okore at the Contemporary Africa Art Gallery New York City"
- 씨허브 매거진 "우리 시대의 예술가: 네나나 오코레"
- 2012년 4월 22일 아프리카에서 일어난 "Nenna Okore in her studio"
- Semmi W, "2014년 5월 19일 BAM의 2014 DanceAfrica Festival에서 Nenna Okore", Art-In-Fact,
- "나나 오코레: 메타폴리스", A-n
- 당 미술관 음밤베의 나나 오코레
- Holland Cotter, "Nenna Okore: '변형'," 뉴욕 타임즈, 2012년 11월 8일
- 10월 갤러리 Nena Okore 페이지
- 아프리카 투데이
- 세컨드 라이프: 리믹스 더 노멀
- 웨일스 오리엘 모스틴 갤러리 전시
- 채널 4 아트 컬렉션
- 현대아프리카 미술관 "나나나 오코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