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르베르트 키넌
Norbert Keenan노버트 키넌 경 | |
---|---|
![]() | |
국민당의 당수 서부 오스트레일리아에 | |
재직중 1933년 4월 – 1938년 4월 | |
선행자 | 제임스 미첼 경 |
성공자 | 로스 맥도널드 |
국회의원 서호주 출신 | |
재직중 1905년 10월 27일 – 1911년 10월 3일 | |
선행자 | 윌리엄 존슨 |
성공자 | 앨버트 그린 |
선거구 | 칼골리 |
재직중 1930년 4월 12일 – 1950년 3월 25일 | |
선행자 | 없음(새 생성) |
성공자 | 데이비드 그레이든 |
선거구 | 네들랜즈 |
개인내역 | |
태어난 | 글래스네빈, 아일랜드 더블린 주 | 1864년 1월 30일
죽은 | 1954년 4월 24일 수비아코, 서부 오스트레일리아 | (90세)
정당 | 민족주의(1930–1945) 자유당 (1945년 이후) |
기타정치 소속. | 독립(1904) |
모교 | 더블린 대학교 |
노르베르트 마이클 키넌 QC경(1864년 1월 30일 – 1954년 4월 24일)은 1905년부터 1911년까지 그리고 1930년부터 1950년까지 다시 서호주 입법회의 회원이었던 호주의 변호사 및 정치인이다.그는 1933년부터 1938년까지 국민당의 당수로 있었는데, 당시 국민당이 국민당과의 연정의 후배였다.키넌은 일찍이 뉴턴 무어 정부(검찰총장)와 제임스 미첼 경의 제2정부를 역임한 바 있다.
초년기
키넌은 아일랜드 더블린 주 글래스네빈에서 엘리자베스 아그네스(네 퀸)와 패트릭 조셉 키넌 경 사이에서 태어났다.[1]그의 아버지는 교육학자였고 아일랜드 추밀원이었다.[2]키넌은 중등학교(영국 서머셋)로 하바인스쿨(Endomen School, Somerset)에 보내졌고, 그 후 더블린 트리니티 칼리지에서 법학을 공부했다.1890년 킹스 인스(King's Inness)에 합격하여 아일랜드에서 법정 변호사로 활동할 수 있게 되었고, 이후 미들 템플에도 입회하여 잉글랜드와 웨일즈에서 법정 변호사로 활동할 수 있게 되었다.[3]키넌은 1895년 4월 서호주로 이민을 가서 칼골리에 정착하여 동부 골드필드에 대한 영국 투자자들의 이익을 대변하였다.[4]1901년 6월, 스타니포드 스미스를 대신하여 칼골리 시장으로 선출되었다.[5][6]그는 1905년 12월까지 그 직책을 맡았고, 국가 정치에 전념하기 위해 사임했다.[7]
정치 경력
1904년 주 선거에서 키넌은 무소속인 칼골리 의석을 두고 경쟁했으나 실패하여 현직 노동당원인 윌리엄 다트넬 존슨에게 패했다.1905년 선거에서 내각주의자(헥터 라손 정부의 지지자)로 서면서 결과를 뒤집었다.[8]1906년 5월 뉴턴 무어가 라손을 총리로 교체했을 때, 그는 키넌을 그의 법무장관으로 선택했다.그는 재임 중에 웨스턴 오스트레일리아의 선거제도에 대한 입법회 선정 위원회를 주재했는데, 이 위원회에서 주 정부는 우선 투표를 채택하고 그 밖의 다양한 변경을 할 것을 권고했다.[9]그 결과로 생긴 법안의 일부인 1907년 선거법은 대체로 키난에게 주어졌고,[4] 그 법은 여전히 시행 중이다.[10]키넌은 정부의 고위직으로서 1907년 프리미어스 콘퍼런스에서 서호주 대표를 맡기도 했다.1909년 5월 정부의 재정정책과의 이견으로 법무장관직을 사임하였다.[4]
키넌은 1911년 주 선거에 이의를 제기하지 않았으며, 그의 의석은 노동당 알버트 그린에게 빼앗겼다.[8]1908년 KC(King's Couns Council)가 된 그는 자신의 법률 관행에 주력했으며, 1912년부터 1918년까지 웨스턴 오스트레일리아 대학(UWA)의 원로원 의원에서도 근무했다.[4]키넌은 18년이 넘는 공백기를 가진 후 1930년 주 선거에서 다시 의회에 입성하여 국민당을 위해 새로 만들어진 네들랜드 의석을 차지했다.[8]당선된 지 불과 11일 만에 제임스 미첼 경이 구성한 새 부처에 포함되면서 비서실장과 교육부 장관직을 맡았다.[3]교육부를 책임지는 동안 키넌은 대공황 기간 동안 돈을 절약하기 위해 클레어몬트 교사 대학을 무기한 폐쇄하기로 한 인기 없는 결정을 내렸다.그는 1931년 9월 정부 정책에 대한 논쟁으로 내각에서 사임했다.[4]
1933년 주 선거에서는 미첼과 다른 두 민족주의 장관(존 스카단과 휴버트 파커)이 의원직을 상실하는 등 미첼 정부가 패배했다.[a]그가 유일하게 장관 경험을 가진 의회 내 남은 국민당이었기 때문에, 선거 후 당-실 회의는 키난을 새 지도자로 선출했다.민족주의자들은 너무 많은 의석을 잃어서, 그들은 컨트리 당과 연합하는 후배가 되었고, 컨트리 당의 대표인 찰스 라담은 야당 당수로 활동했다.키넌의 당은 1936년 선거에서 아무런 개선도 이루지 못했고, 그는 1938년 4월 로스 맥도날드에 유리하게 대표직을 사임했다.[4]그의 사임에는 그의 나이(74)와 건강이 요인이었다.[11][12]
키넌은 1936년과 1939년 선거에서 미래의 노동 상원의원인 도로시 탕니의 반대에 부딪혔지만 두 번 모두 쉽게 의원직을 유지했다.1943년과 1947년 선거 때도 그는 반대자로서 무소속 의원들과만 대면하면서 그와 같이 했다.[8]그는 1945년 창당한 자유당에 가입했었다.[3]1950년 선거 당시 86세인 키넌은 네들랜드에서 다른 세 명의 후보들에 의해 반대했다.그와 다른 한 후보는 자유당의 지지를 받았고, 다른 두 후보는 무소속 자유당 후보로 출마했다.키넌은 1차 예비투표에서 23.3%에 그쳐 최종 2개 후보 선호도를 세기에는 부족했고, 최종 승자는 당 청년당 대표인 25세의 데이비드 그레이든이었다.[8][13]
사생활
키넌은 1954년 4월 퍼스에서 90세의 나이로 세상을 떠났다.그는 1900년에 로즈 엘리자베스 파커와 결혼하여 두 아이를 낳았다.[3]그녀의 아버지는 1906년부터 1914년까지 서호주 대법원장을 지낸 스티븐 헨리 파커 경이었고,[14] 그녀의 삼촌은 두 차례에 걸쳐서 서호주 수상을 지낸 조지 리크였다.[15]키넌의 형제 중 한 명은 토마스 퍼시 드레이퍼(1919191921년 결혼)로 아내의 누이와 결혼했다.[16]
메모들
참조
- ^ The Irish Law Times and Solicitors' Journal. J. Falconer. 1884.
- ^ "MP Historical Data". www.parliament.wa.gov.au. Retrieved 14 November 2017.
- ^ a b c d Norbert Michael Kinan – Western Australia 의회 인명록.2016년 6월 15일 회수.
- ^ a b c d e f Bolton, Geoffrey (1983). "Keenan, Sir Norbert Michael (1864–1954)". Australian Dictionary of Biography. Vol. 9. Melbourne University Press. ISSN 1833-7538 – via National Centre of Biography, Australian National University.
- ^ "키넌의 시장성 검토" 칼골리 웨스턴 아구스, 1905년 9월 26일.
- ^ Johns, Fred (1914). Fred Johns's Annual, Mainly a Biographical Record of Australasia's Prominent People: (incorporating Who is who in Australasia). Sir I. Pitman & sons, Limited.
- ^ 1905년 12월 12일, 칼골리 웨스턴 아구스.
- ^ a b c d e Black, David; Prescott, Valerie (1997). Election statistics : Legislative Assembly of Western Australia, 1890-1996. Perth, [W.A.]: Western Australian Parliamentary History Project and Western Australian Electoral Commission. ISBN 0730984095.
- ^ 필립스, 해리(2012).서부 오스트레일리아의 비례대표제: 그것의 원칙, 역사, 결과 및 교육.퍼스, [W.A.]: 서부 오스트레일리아 선거 위원회. 페이지 15-17.
- ^ 1907년 선거법, 서부 오스트레일리아 법률, 주법 출판사, 서부 오스트레일리아 정부.2016년 6월 28일 회수.
- ^ 1938년 3월 20일자 선데이 타임즈 "은퇴할 키넌씨"
- ^ "미스터 키넌은 변화를 추구한다" 1938년 3월 21일 서부 오스트레일리아인.
- ^ Black, David. "PARLIAMENT, THE PEOPLE AND ARCHIVES: DOCUMENTING POLITICS IN WESTERN AUSTRALIA" (PDF). labourhistory.org.au.
- ^ Stephen Henry Parker – 서부 오스트레일리아 의회의 인명록.2016년 5월 14일 회수.
- ^ 조지 리크 – 서부 오스트레일리아 의회의 인명록.2016년 5월 14일 회수.
- ^ Thomas Percy Draper – Western Australia 의회 인명록.2016년 5월 14일 회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