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르드스템멘 역
Nordstemmen station경유역 | |||||||||||||||||||||
2007년 4월 역 건물. | |||||||||||||||||||||
일반 정보 | |||||||||||||||||||||
위치 | 하우프스트라제 138, 노르드스템맨, 로어 작센 독일. | ||||||||||||||||||||
좌표 | 52°10′2″n 9°47′24″E/52.16722°N 9.79000°E좌표: 52°10′2″N 9°47′24″E / 52.16722°N 9.79000°E/ 9 | ||||||||||||||||||||
회선 |
| ||||||||||||||||||||
플랫폼 | 4 | ||||||||||||||||||||
건설 | |||||||||||||||||||||
건축가 | 콘라드 빌헬름 하세 | ||||||||||||||||||||
다른 정보 | |||||||||||||||||||||
스테이션 코드 | 4581[1] | ||||||||||||||||||||
DS100 코드 | HNOS[2] | ||||||||||||||||||||
IBNR | 8000282 | ||||||||||||||||||||
카테고리 | 5[1] | ||||||||||||||||||||
운임존 | |||||||||||||||||||||
웹사이트 | www.bahnhof.de | ||||||||||||||||||||
역사 | |||||||||||||||||||||
열린 | 1853 | ||||||||||||||||||||
승객 | |||||||||||||||||||||
2,500 | |||||||||||||||||||||
서비스 | |||||||||||||||||||||
|
노르드스템멘 역은 하노버-에 위치해 있다.괴팅겐 철도와 힐데스하임-독일 로어 작센 주의 노르드스템멘 마을에 있는 뢰네 철도.역 건물은 콘라드 빌헬름 하세(1853–1854)가 지었지만, 1977년 이후 도이체 분데스반이나 도이체 반이 사용하지 않고 있다.힐데스하임 계약업체 더크 베텔스는 2011년부터 공적자금으로 2급 유산상장역 건물을 인수·회생시키려 했으나 허사였다.더크 베텔스가 시작한 공사는 2013년 3월 말 도이체 반의 계약이 이뤄지지 않아 중단됐다.
위치
그 역은 하노버-에 있다.괴팅겐 철도와 힐데스하임-노르드스템멘과 엘제 사이에 같은 노선을 공유하고 있는 뢰네 철도.하노버 남부 철도는 1853년 5월 1일부터 하노버에서 노르드스템멘을 거쳐 알펠트까지 교통을 위해 개통되었고, 노르드스템멘에서 힐데스하임까지의 노선은 1853년 9월 15일 왕립 하노버 주 철도에 의해 개통되었다.After the opening of the Weser Railway from Elze to Löhne by the Hanover-Altenbeken Railway Company (Hannover-Altenbekener Eisenbahn-Gesellschaft, HAE) for freight on 19 May 1875 and for passenger traffic on 30 June 1875, there were through trains on the Hildesheim–Hameln–뢰네 루트.해군은 엘제와 힐데스하임 사이에 2차 선로를 건설해 추가 교통량을 처리했다.1880년 1월 1일, 이 노선은 1866년 전쟁 이후 하노버 주 철도를 점령한 프러시아 정부에 의해 국유화되었다.노르드스템멘 역에서 뢰싱까지, 그리고 라우엔슈타트 마을을 거쳐 슐렌부르크에 있는 칼렌버그 제분소까지 철도가 운행되었다.1865년에 설립된 노르드스템멘 설탕 공장도 자체 측정에 의해 노르드스템멘 역에 연결되었다.
1896년에는 바르텐, 슐렌부르크, 아덴센, 할러부르크, 알페르데, 엘다그센, 알베스로데를 거쳐 스프링으로 가는 22.3km 길이의 메트로게 철도를 건설하는 계획이 있었는데, 이 철도는 여객과 화물 수송을 동시에 할 수 있게 되었다.협궤 철도는 승객 10만 명과 화물 3만 톤(노르드스템멘 설탕 공장용 사탕무 포함)을 실을 예정이었다.협궤 철도의 건설은 엘다그센 마을과 그들의 마을에 철도가 없기를 원하는 농부들의 반대로 실패하였다.
하노버 개국 이후-1991년, 다른 노선에 있는 뷔르츠부르크 고속철도는, 노르트스템멘 역에서 승객의 교통을 통한 것이 크게 감소하였다.오늘날에는 메트로놈(ME)으로 하노버와 괴팅겐을 잇는 노선에 매시간 열차가 운행되고 있으며, 화물열차와는 별도로 노르드스템멘 역을 경유하는 도이체 반 시외 열차도 일부 운행되고 있다.2006년 이후 화물 운송이 크게 증가함에 따라, 앞으로 화물 열차는 훨씬 더 많이 운행될 것으로 예상된다.노르웨스트반은 힐데스하임-하멜린 노선에서 시간당 여객열차를 운행한다.
역 면적
이 역은 뢰싱으로 가는 길에 옛 노르트스템멘의 농촌 마을 북쪽에 세워졌다.선로는 마을을 지나 서쪽으로 엘제 쪽으로 달렸다.1853년 역세권 남쪽에는 보호받지 못한 네 개의 교차로가 있어 서쪽으로는 노르드스템머 홀츠 리파리아 숲, 그리고 더 이상 존재하지 않는 로프 다리를 통해 슐렌버그까지 접근이 가능했다.현재 지구 도로 K 505로 불리는 이 도로는 1935년 아덴센까지 건설되었다.
노르드스템멘 역은 당초 1853년 5월 1일 하노버에서 노르드스템멘을 거쳐 알펠트까지 하노버 남부 철도의 관통역으로서 개통되었다.1853년 9월 15일 왕립하노버 주 철도에 의해 노르드스템멘에서 힐데스하임까지 노선이 개통되면서, 이 역은 철도의 분기점(독일어: 케일반호프) 위에 세워진 역 건물이 거리에 직접 접근하지 않고 철로 사이의 섬에 건설되는 등 철도 분기점이 되었다.당시 철도는 승객 외에 추가로 운반되어 수하물, 화물, 우편물, 소포, 전보 등을 확인했다.1853년에 섬의 역은 하나의 중앙 승강장에서 모든 열차가 출입구 건물 옆에 정차할 수 있고, 선로를 건너지 않고도 출입구 건물과 열차 사이에 짐을 싣고 내릴 수 있기 때문에 장점으로 여겨졌다.
1853년 이 역은 선로로 둘러싸인 여러 건물로 이루어져 있었다.역의 출입구는 선로를 넘어 장애물에 가로막혔고, 그 옆에는 건널목 관리인의 집이 있었다.승객들은 역에서 목적지까지 마차를 타고 갈 수 있었다.
그 역은 수많은 건물들로 확장되었다.노르드스템맨에게는 역장, 출납원, 훈련원, 전신 기사 3명, 창고 관리인, 마차 직원 2명, 짐꾼 2명, 짐꾼 1명, 순항 직원 7명, 보조원 1명이 1878년 역에서 근무한 주요 고용주였다.
노르드스템맨은 양 펜 5개를 가지고 있었으며 네덜란드에서 기차를 타고 여행하는 양치기들과 양치기 상인들이 그곳에 머물며 양을 사거나 팔기 위해 가는 목적지였다.역의 적재 경사로에는 벽돌로 된 노점이 있었다.성문이 세워졌을 때, 양들은 경사로를 통해 마차로 곧장 달려갔다.
1870년, 설탕 공장으로 통하는 철도 건널목과 마리엔베르크스트라데의 철도 건널목에 의해 선로가 북쪽으로 건너갔다.1871년, 기차역 식당 선로 동쪽에 얼음집이 있었다.
많은 철도 노동자들이 노르드스템맨에 거주했고 농촌은 역까지 확장되었다.
옛 쾨니그 게오르크스 V. 폰 하노버 마차 하우스는 철로 사이의 쐐기 모양으로 입구 건물 북쪽에 세워졌다.이 마차집은 보존되어 있다.도이체 반의 운영에 사용되었으며, 건물 북쪽에는 L 410번으로부터 출입구가 있는 주차장이 있다.
1905년과 1908년 사이에 작은 포장마차 창고를 대체하는 긴 마차집이 역 구내 남쪽에 지어졌고, 그 중 북부는 급행화물 발송에, 남부는 우편물 취급에 사용되었다.이 마차집은 보존되어 있으며, 유산으로 등재된 건물이다.20세기 말, 이 건물의 북부는 처음에는 티켓 판매에 사용되었고, 그 후 창고가 완전히 닫힐 때까지 대기실로 사용되었다.2007년 이후 일반인이 출입할 수 없는 마차장 면적이다.2012년과 2013년 콰이(Quaß) 연수계획(사회적 혜택 대신 실업자를 위한 훈련과 업무 제공)에 따라 창고를 개조해 출입구 건물 개보수 작업장으로 전환했다.
이 마차 가옥과 역 건물은 1914년까지 마차 하우스 남쪽의 장벽에 의해 통제된 수평 교차로를 통해 큰 도로에서 접근할 수 있었다.1914년부터는 마차집, 화장실 블록, 출입구 건물까지 안전하게 접근할 수 있는 터널도 생겼다.
1970년경까지 노르드스템맨의 비즈니스 센터는 중심가(현재의 고속도로 L 410번)에 있었고, 이후 마을 중심가와 노르드스템맨의 남동쪽에 있는 새로운 주거 지역으로 이동했다.
1961년과 1963년 사이에 남북 철도의 전기화를 위해 노르트스템맨에 카트리네이션 마스트가 설치되었다.1963년 5월 26일 하노버에서 아이첸베르크까지, 1965년 5월 29일 노르트스템맨에서 힐데스하임을 거쳐 레테까지 전동차가 운행되기 시작했다.
1980년에는 매일 최대 420대의 열차가 역을 통과했다.이것은 수평 교차 관문에서 긴 대기 시간을 야기했다.이것들은 1981년부터 1982년까지 아덴센으로 가는 K 505번 지방도로의 고가도로와 역의 남쪽 입구로 가는 보행자 터널로 대체되었다.
이 역 부지는 2006년에 마지막으로 380만 유로에 재건되었다.[5]1, 2, 3번 트랙의 새로운 플랫폼은 높이 76cm, 길이 190m이며 11번 트랙의 플랫폼은 높이 55cm, 길이 90m이다.[6]따라서 플랫폼은 노선에서 사용되는 차량에 해당하며 장애인이 쉽고 접근할 수 있는 현대식 롤링 스톡으로의 진입과 출구를 허용한다.플랫폼에는 시각 장애인을 위한 새로운 촉각 바닥 커버가 제공되었고, 투명한 날씨 방지 보호소와 벤치, 캐비닛, 통이 있는 현대식 시설들이 제공되었다.새로운 스피커 시스템과 조명, 무선 제어 시계, 목적지 표시장치 및 새로운 신호 시스템이 갱신을 완료한다.역에는 장애인을 위한 경사로와 하우프스트라데(본가)에 서핑 중인 터널이 있었다.도이체 반의 작업과 병행하여 노르드스템멘 자치단체는 약 430만 유로를 들여 하우프스트라제 옆에 이전 화물열차 선로를 포장하여 자전거 주차 및 버스정류장을 조성하였다.주차 시설은 보행자 터널을 통해 플랫폼으로 접근한다.약 300만 유로의 토지를 이 공사에 기부했다.주 정부는 총 비용 약 8백만 유로의 약 550만 유로를 지원했다.
하노버, 괴팅겐, 힐데스하임/보덴부르크와 하멜린과 뢰네로 가는 환승 없는 연결선이 있다.도이체 반에 따르면 2006년에 약 2,500명의 여행객들이 노르드스템멘 역에서 지역 및 장거리 서비스를 이용했다고 한다.
철도 서비스
노르드스템멘 역은 번데와 뢰네에서 배드 오인하우젠 수드와 린텔른을 거쳐 힐데스하임과 보덴부르크까지 웨서 철도의 도심 북쪽에 위치해 있다.이 노선은 NordWestBahn에 의해 운영된다.기차는 주간에는 매시간, 주말에는 매 2시간마다 운행한다.
이 역은 다음과 같은 서비스가 제공된다.[7]
- 지역 서비스 RE 2 Uelzen - Celle - Hannover - Barnten - Elze - Kreiensen - Northeim - 괴팅겐
- 지역 서비스 RB 77 Bünde - Löne - Hamelin - Hildesheim
또 화물열차는 남북 방향으로 역을 통과한다.2012년부터 하노버 남쪽 동서 방향으로 화물열차를 운행해 하노버 북쪽 노선의 화물열차를 해소하는 방안이 논의되고 있다.이 화물은 엘제 역과 노르드스템맨 역들을 지나 힐데스하임 쪽으로 갈 것이다.
리셉션 빌딩 및 계획된 리노베이션
역 건물은 원래 1853년부터 1854년까지 건물 관리인 바에 의해 건축가 줄리어스 라쉬의 설계에 의해 건축가 콘라드 빌헬름 하세가 건축하였다.당시 율리우스 라쉬는 왕립 하노버 주 철도의 작품 감독이었다.
콘라드 빌헬름 하세는 중세 브릭 로마네스크 건축과 브릭 고딕 양식의 건축물을 역사주의 양식으로 혼합하여 입구 건물을 계획하였다.그는 빨간색과 노란색 원색의 벽돌을 여러 색으로 사용했다.건물의 평면도는 세로축과 가로축에 대칭이 되도록 설계되었다.
장방형 평면 위에 지붕이 있는 넓은 1층 중앙 블록은 남북으로 천막형 평면 위에 천막 지붕이 있는 더 큰 다층 코너 정자로 경계를 이루고 있다.두 모서리 정자는 정면에는 돌출된 숍파사드와 12m 높이(39ft)의 블라인드 게이블이 있으며, 게이블을 넘어 뻗어 있는 기둥과 탑으로 둘러싸여 있다.전체적으로 역건물은 길이 63.38m, 폭 15.8m, 표면적 1080m², 공사량 12,000m²이다.
1977년 도이체 분데스반(Deutsche Bundersban)은 사무실을 엘제 역으로 옮겼다.역 건물은 더 이상 필요하지 않았고 1988년에 승객들에게 폐쇄되었다.가구, 창문, 원래의 유리는 더 이상 사용할 수 없다.
2000년에는 붕괴의 위험 때문에 역 건물의 이미지를 형성했던 독특한 굴뚝이 제거되었다.창문과 문은 기물 파손을 막기 위해 칩보드로 막혔다.2001년 7월, 건물 중앙부에서 불이 났다.지붕의 일부분만이 파괴되었다.
2002년과 2003년에 조사된 건물의 물리적 무결성과 손상 정도에 대한 조사 결과가 나왔다.세르풀라 라크리만(건식 썩음)이 확산되면서 건물의 보존 상태가 영향을 받아 지붕 등 목조건물의 일부에 심각한 열화를 초래한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거의 건물 전체가 영향을 받고 있다.이어 기존에 닫혔던 창문에는 그릴이 설치돼 붕괴 위험이 있는 천장을 받치고 지붕 위에 새 덮개를 설치했다.상장된 건물에 대한 매입자가 발견되지 않았기 때문에 도이치 반은 2005년 여름 하노버에 있는 연방 철도청(EBA)에 철거 신청서를 제출했다.도이체 반은 현재 목적에 충분한, 계획된 철거 후에 현대적인 역 건설에 착수했다.
역세권의 보존과 재사용에 대한 많은 논의가 있었지만, 아직 합의가 이루어지지 않았고 철거될 것으로 알려졌다.
메모들
- ^ a b "Stationspreisliste 2022" [Station price list 2022] (PDF) (in German). DB Station&Service. 7 February 2022. Retrieved 13 March 2022.
- ^ Eisenbahnatlas Deutschland (German railway atlas) (2009/2010 ed.). Schweers + Wall. 2009. ISBN 978-3-89494-139-0.
- ^ "Verbundgebiet" (PDF). ROSA Tarifverbund. Retrieved 5 February 2021.
- ^ "Regionalzug und S-Bahn" (PDF). Großraum-Verkehr Hannover. December 2020. Retrieved 31 January 2021.
- ^ "Bahnhof Nordstemmen Modernisiert". Drehscheibe Online. 14 December 2006. Retrieved 3 May 2014.
- ^ "Platform information for Nordstemmen station". Bahnhof der DB Station & Service AG. 14 December 2006. Retrieved 3 May 2014.
- ^ 노르드스템멘 역 시간표 (독일어로)
참조
- Nachweisung über den Bau und Betrieb der unter Hannoverscher Verwaltung stehenden Eisenbahnen (in German). Hannover. 1851–1866.
- Adolf Funk (publisher together with J. Rasch) (1861). "Über Trennungsbahnhöfe, insbesondere über den Bahnhof zu Nordstemmen". Zeitschrift des Architekten- und Ingenieurvereins für das Königreich Hannover (in German). Hannover. VII. (시트 214 및 215에 도면이 있는 436-442번 항목)
- Heusinger von Waldegg, Edmund (1877). Handbuch für specielle Eisenbahn-Technik (in German). Vol. 1(3): Der Eisenbahnbau. Leipzig. pp. 744 / table XLVI Fig. 3. (1877년 개정판: Archiv-Verlag, Braunschweig 2005)
- Das Landesdirektorium, Verfasser: Lichtenberg., ed. (1896). Erläuterungsbericht für eine Kleinbahn von Springe nach Barnten und Nordstemmen (in German). Springe.
{{cite book}}
: 일반적 이름(도움말)을 가지고 있다(Nedersaecchischchen Statats- Un Un Universitethttsbliotheck Götingen). - Kokkelink, Günther (1968). "Die Neugotik Conrad Wilhelm Hases – eine Spielform des Historismus". Hannoversche Geschichtsblätter. (in German). Hannover. 22: 93–94.
- Heinrich Bartels (1983). Nordstemmen von der Vorzeit bis zur Gegenwart. Eine Ortschronik (in German). Burgstemmen: Volksbank Leinetal eG.
- 1843-1983. 140 Jahre Eisenbahndirektion Hannover (in German). Hannover: Bundesbahndirektion Hannover. c. 1983.
- Matthias Fuhrmann (1994). "Das Bw Nordstemmen.". Deutsche Bahnbetriebswerke und der Triebfahrzeugpark der deutschen Eisenbahnen von 1920 bis heute (in German). München: GeraNova Zeitschriftenverlag.
- Günther Kokkelink, Monika Lemke-Kokkelink (1998). Baukunst in Norddeutschland. Architektur und Kunsthandwerk der Hannoverschen Schule 1850-1900 (in German). Hannover: Schlütersche. ISBN 3-87706-538-4.
- Werner Wagener (4 January 1997). "Ein Bahnhof für ein Schloss. Schlossbaumeister Hase entwarf auch das Bahnhofsgebäude". Aus der Heimat. (in German). 1997.
- Werner Wagener (1998). "Was ist aus ihm geworden? Vom königlichen Bahnhof zum Absteiger in Nordstemmen.". Hildesheimer Heimat-Kalender 1998 (in German). Hildesheim: Verlag Gebrüder Gerstenberg. pp. 100–105.
- Annette Roggatz (2000). "Nordstemmen – ein Bahnhof auf dem Abstellgleis?". Berichte zur Denkmalpflege in Niedersachsen. (in German). Niedersächsisches Landesamt für Denkmalpflege. 20 (Year book): 27–28.
- Hansjörg Küster (2006). "Abriss oder Aufbruch. Rettung für den Bahnhof Nordstemmen!". Niedersachsen (in German) (1): 31.
- Michael Bahls (2006). Die Hannover-Altenbekener Eisenbahn (in German). Nordhorn: Kenning. pp. 201–203. ISBN 3-927587-77-X.
- Nadine Pflüger, Werner Beermann (2007). Der Architekt Conrad Wilhelm Hase und seine Bauten aus früher Zeit. Die Bahnhöfe Elze und Nordstemmen (in German). Vol. 7. Elze: Schriftenreihe des Heimat- und Geschichtsvereins Elze und seiner Ortsteile e. V.
외부 링크
![]() | 위키미디어 커먼스는 노드스템멘 역과 관련된 미디어를 보유하고 있다. |
- "Kultur- und Heimatverein Nordstemmen" (in German). Retrieved 3 May 20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