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먼 모리슨

Norman Morrison
노먼 모리슨
Norman MorrisonVietnamNationalMuseumofHistory.jpg
태어난(1933-12-29) 1933년 12월 29일
미국 펜실베니아 주, 이리
죽은1965년 11월 2일(1965-11-02)(31세)
미국 버지니아주 알링턴 카운티 펜타곤
사망 원인미국베트남전 개입에 항의하기 위해 분신했다.
국적.아메리칸
모교우스터 대학교
배우자앤 웨일스
아이들.3

노먼 모리슨(Norman Morrison, 1933년 12월 29일~1965년 11월 2일)은 미국의 베트남 전쟁 개입에 항의하기 위해 31세에 자기 분신을 한 것으로 가장 잘 알려진 볼티모어 퀘이커교도였다.펜실베니아 주 출신의 모리슨 부부는 1956년 우스터 대학을 졸업했다.그는 결혼했고 두 딸과 아들을 [1]낳았다.1965년 11월 2일 모리슨은 등유를 뒤집어쓰고 로버트 맥나마라 국방장관의 [2]펜타곤 사무실 아래에서 분신했다.이 조치는 틱 꽝덕과 다른 불교 승려들이 남베트남 정부의 응고디엠 [3]천주교 총통 탄압에 항의하기 위해 분신한 이후 취해진 것으로 보인다.

죽음.

모리슨은 당시 한 살이었던 딸 에밀리를 펜타곤으로 데려갔고, 불을 지르기 전에 그녀를 내려놓거나 군중 속에 있는 누군가에게 넘겨주었다.모리슨이 에밀리를 데려간 이유는 완전히 알려지지 않았다.하지만 모리슨의 아내 앤 웰시는 나중에 "그가 그렇게 생각하든 아니든 간에, 에밀리와 함께 있는 것이 노먼에게 마지막이자 큰 위안이었다고 생각한다.그는 우리가 폭탄과 네이팜으로 죽이고 있는 아이들의 강력한 상징이었습니다. 아이들을 품에 [4]안아줄 부모가 없었기 때문입니다."

그가 웨일즈에게 보낸 편지에서 모리슨은 그의 행동에 대한 믿음을 그녀에게 안심시켰다."내가 당신을 사랑하지만...나는 신부의 마을의 어린이들을 돕기 위해 가야 한다 알고 있다.".맥나마라 국방 장관은 그의 가족 뿐만 아니라 나를 그리고 나라를 위해 이익을 위해서 그 비극으로 모리슨의 죽음을 묘사했다.그 수많은 미국의 청년기 교향곡들 베트남인들의 삶을 파괴하는 것 살인죄에 대한 그것은 격렬한 항의이다.그는 앤 웨일스어는 세명의 아이들, 벤(암의 1976년 죽)크리스티나와 에밀리보다 오래 살았어요.[5]

레거시

모리슨은 자신보다 더 위대한 대의를 위해 자신을 희생하는 독실하고 진실한 사람으로 보였다.베트남에서 모리슨은 그의 이름이 Mo Ri Xon으로 [6]불리게 되면서, 몇몇 사람들에게 빠르게 민속 영웅이 되었다.모리슨이 죽은 지 5일 후, 베트남 시인 뚜후는 모리슨이 자신의 딸 에밀리를 호칭하며 [7]희생의 이유를 말하는 목소리를 가정하여 "에밀리, 내 아이"라는 시를 썼다.

모리슨으로부터 1주일 후, 로저 앨런 라포트도 뉴욕시 유엔 건물 에서 비슷한 공연을 했다.1967년 5월 9일, 1967년 펜타곤 야영 시작의 일환으로, 시위자들은 모리슨을 위해 철야 시위를 벌였고, 그 후 제거되고 [3]체포될 때까지 4일 동안 펜타곤을 점령했다.

신문 – 더 선 (볼티모어)

모리슨의 미망인 앤과 부부의 두 딸은 1999년 베트남을 방문해 인기시 에밀리 마이 [5]차일드를 쓴 시인 투후를 만났다.앤 모리슨 웰시는 자신의 논문 '파이어 오브 더 하트: 노먼 모리슨의 베트남과 집에서'[8]에서 방문과 남편의 비극에 대해 이야기합니다.

2007년 미국을 방문했을 때 응우옌민 트릿 베트남 국가주석은 모리슨이 분신한 곳 근처 포토맥에 있는 현장을 방문해 모리슨을 [9]추모하는 투호의 시를 낭독했다.

문화 묘사

영화 제작자 에롤 모리스는 맥나마라 장관을 다큐멘터리 영화 '전쟁의 안개'에서 장시간 인터뷰했다. 맥나마라는 "모리슨이 국방부에 와서 휘발유를 뒤집어썼다.내 사무실 밑에서 분신해 죽었는데...그의 아내는 '인간은 다른 사람을 죽이는 것을 중단해야 한다'는 매우 감동적인 성명을 발표했다.그리고 그것은 내가 공유했던 신념이고, 그때 공유했고, 나는 오늘날 그것을 더욱 강하게 믿는다."맥나마라는 "선한 일을 하기 위해 얼마나 많은 악행을 해야 하는가?우리에겐 어떤 이상과 책임감이 있습니다때로는 악에 가담해야 한다는 것을 인식하되, 악은 최소화해야 합니다."

아마도 모리슨의 죽음에 대한 가장 상세한 [10]설명은 1997년에 출판된 수상 작가 폴 헨드릭슨의 "The Living and the Dead: Robert McNamara and Five Lives of a Lost War"에 나올 것이다.

모리슨의 미망인 앤 웰시는 어린 자녀들과 함께 프랑스 다큐멘터리 '베트남에서 멀리'의 한 코너에 등장해 차분하게 남편의 죽음에 대한 상황을 묘사하고 남편의 행동에 대한 찬성을 표명한다.이 영상에는 파리에 사는 베트남 주재원 앤 우옌(Ann Uyen)의 인터뷰가 삽입되어 있으며, 그는 모리슨의 희생이 베트남 사람들에게 어떤 의미인지를 묘사하고 있다.

모리슨의 처참함은 HBO의 영화 'Path to War'에서 묘사되는데, 이 영화에서 그는 빅터 슬레작에 의해 묘사된다.

모리슨은 에이미 클램핏의 1983년 저서 킹피셔에서 "달리아 정원"이라는 시의 주제이다.

그 사건은 조지 스타벅의 시 '최근의'[11]에 영감을 주었다.

캐나다 극작가 숀 데바인의 희곡.유니언은 모리슨의 딸 에밀리와 로버트 맥나마라의 만남을 상상한다.이 연극은 시로코 드라마에 의해 2013년에 출판되었다.

메모리얼

베트남 도시 다낭에서는 노먼 모리슨이 남베트남에 대한 미국의 개입에 반대하는 행위를 기념하기 위해 도로 이름이 붙여졌다.이 도로와 평행하게 프란시스 헨리 [12]로비의 이름을 딴 도로도 있다.

북베트남은 그의 이름을 따서 하노이 거리를 지었고 그를 기리는 [13]우표를 발행했다.미국은 북베트남에 [14]대한 금수 조치 때문에 이 우표의 소유가 금지되었다.

「 」를 참조해 주세요.

레퍼런스

  1. ^ profile Archive 2012-12-15 at archive.오늘날 wooster.edu, 2014년 12월 11일 액세스.
  2. ^ "The Peaceists", 타임지, 1965년 11월 12일, 2007년 7월 23일에 접속.
  3. ^ a b Tucker, Spencer C. (2011). Encyclopedia of the Vietnam War, The: A Political, Social, and Military History (2nd ed.). ABC-CLIO. p. 775. ISBN 978-1-85109-960-3. Retrieved 9 October 2015.
  4. ^ Hollyday, Joyce(1995년 7월~8월).그레이스 라이크, Sojourners 매거진
  5. ^ a b Steinbach, Alice (30 July 1995). "The Sacrifice of Norman Morrison – Thirty years ago a Baltimore Quaker set himself on fire to protest the war in Vietnam. Did it make a difference?". The Baltimore Sun. Retrieved 2021-04-05.
  6. ^ My Lai Peace Park 웹사이트 2004-03-06 Wayback Machine에 보관
  7. ^ 크리스찬 G.아피 (2008) 베트남: 모든 면에서 말하는 결정적인 구술 역사.Ebury Press, 페이지 155
  8. ^ Flintoff, John-Paul (15 October 2010). "I told them to be brave". The Guardian. Retrieved 2021-04-05.
  9. ^ Thanh Tuấn (July 7, 2007). "Đọc thơ Tố Hữu bên bờ sông Potomac". Tuoi Tre. Retrieved 2007-07-07.
  10. ^ 워싱턴 포스트지.워싱턴 D.C. 1999년 11월 4일 페이지 C. 14
  11. ^ ""of Late"". Poetryfoundation.org. Poetry Foundation. Retrieved 19 January 2017.
  12. ^ Lê, Gia Lộc (9 November 2013). "Ân nhân của nhân loại". Báo Đà Nẵng.
  13. ^ BBC (2010년 12월 21일).불타는 삶: 앤 모리슨 웰치
  14. ^ Mitchell, Greg (13 November 2010). "When Antiwar Protest Turned Fatal: The Ballad of Norman Morrison". The Nation. Retrieved 9 October 2015.

추가 정보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