누만티아
Numantia![]() |
![]() 누만티아 성벽의 현대적 재건 | |
위치 | 스페인 카스티야 레온 소리아 현 |
---|---|
지역 | 히스패니아 |
좌표 | 41°48′34.51″N 2°26′39.33″w / 41.8095861°N 2.4442583°W좌표: 41°48′34.51″N 2°26′39.33″W / 41.8095861°N 2.4442583°W/ |
유형 | 결산 |
역사 | |
문화들 | 셀티베리안 |
누만티아(스페인어: 누만시아)는 고대 셀티베리아의 정착지로, 유해가 소리아 시에서 북쪽으로 7km 떨어진 곳에 있으며, 가르레이 시의 세로 데 라 무엘라라고 알려진 언덕 위에 있다.[1]
누만티아는 셀티베리아 전쟁에서의 역할로 유명하다. 기원전 153년 누만티아는 로마와 처음으로 심각한 갈등을 겪었다. 20년간의 적대행위 끝에 기원전 133년 로마 원로원은 스키피오 에이밀리아누스 아프리카누스에게 누만티아를 파괴하는 임무를 부여했다. 그는 도시를 포위하여 탑, 해자, 임팩팅 로드 등이 지탱하는 9킬로미터의 울타리를 세웠다. 13개월간의 포위 공격 끝에 누만티안은 항복하기 전에 도시를 불태우기로 결정했다.
위치
누만티아 유적에 가장 가까운 정착지는 소리아 지방의 가리 마을이다. 가레이는 두에로를 가로지르는 다리 옆에서 자랐다. 이 도시는 소리아라는 작은 도시에서 불과 몇 마일 떨어져 있는데, 이 도시는 에포니모 지방의 수도다.
사이트의 초기 기록

누만티아는 철기시대의 언덕 요새(로마 용어로는 "opidum")로, 두에로 강의 건널목을 통제했다. 플리니 장로는 이곳을 펠렌도네스족의 도시로 꼽지만,[2] 스트라보나 프톨레마이오스와 같은 다른 작가들은 아레바시 사람들 사이에 그 도시를 두고 있다. 아레바시는 이베리아인들이 섞여 기원전 6세기에 켈트족을 이주시킴으로써 형성된 켈트족으로 누만티아와 우사마 근처 지역에 거주하였다.
로마와의 첫 번째 심각한 갈등은 기원전 153년 퀸투스 풀비우스 노빌리오르가 집정관을 할 때 일어났다. 누만티아는 세게다 시에서 몇몇 도망자들을 데려왔는데, 그는 벨리라고 불리는 또 다른 셀티베리아 부족에 속해 있었다. 벨리의 지도자 세게다의 카루스는 간신히 로마군을 물리쳤다. 그 후 로마인들은 누만티아를 포위하고 소수의 전쟁코끼리를 배치했으나 성공하지 못했다.
기원전 133년 그들이 패배하기 전에 누만티안은 많은 승리를 얻었다. 예를 들어 기원전 137년에 로마인 2만 명이 누만티아의 셀티베리아인(인구 4000~8000명)에게 항복했다. 로마의 젊은 장교인 티베리우스 그라쿠스는 퀘스터로서 일반적으로 레가테를 위한 행동인 누만티네와 평화 조약을 맺음으로써 로마군을 파괴로부터 구했다.
누만티아의 마지막 포위전
누만티아의 마지막 포위전은 기원전 134년에 시작되었다. 당시 로마 집정관이었던 스키피오 에이밀리아누스는 3만 명의 군인을 지휘하고 있었다. 그의 군대는 오랜 포위작전을 준비하면서 그 도시를 에워싸고 있는 여러 요새를 건설했다. 저항은 절망적이었지만 누만트인들은 항복하기를 거부했고 기근은 빠르게 도시로 퍼져나갔다. 8개월 후 대부분의 주민들은 노예가 되기보다는 자살을 결심했다. 기진맥진하고 굶주린 주민 몇 백 명만이 승리한 로마 군단에 항복했다.
누만트 방위
스페인어 표현인 Defensa numantina는 침략군에 대항하는 어떤 필사적이고 자살적인 최후의 저항도 나타내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후기 역사

파괴된 후 BC 1세기에는 일정한 거리계획이 있지만 큰 공공건물이 없는 점령유적이 있다.
그것의 붕괴는 3세기에 시작되지만, 로마인과 함께 4세기부터 여전히 남아있다. 그 후 6세기부터 비시가트의 점령에 대한 암시가 남아있다.
누만티아의 발굴과 보존
누만티아의 정확한 위치는 기억에서 사라졌고, 어떤 이론은 그것을 자모라에 놓았지만, 1860년 에두아르도 사베드라는 소리아 가레이의 정확한 위치를 확인했다. 1882년 누만티아 유적이 국가 기념물로 선포되었다. 1905년 독일의 고고학자 아돌프 슐텐은 도시 주변에 로마 수용소를 위치시킨 일련의 발굴 작업을 시작했다. 1999년, 로마 캠프는 힐포트가 처음 보호되었을 때 존재하지 않았던 스페인 유산 등록부의 한 범주인 조나 아르케로기카에 포함되었다.[3] 정기적인 발굴 작업이 여전히 진행 중이다.
소리아 누만틴 박물관(스페인어: 누만티노 뮤소). 이 박물관은 누만티아에서의 현장 전시도 담당한다.
이 사이트에서 가져온 물품들을 소장하고 있는 다른 소장품들로는 로마노-게르마니아 중앙 박물관인 마인츠가 있다. (일부 물건들은 아돌프 슐텐이 독일로 가져갔다.)[4]
역사경관에 대한 개발위협박
소리아 지방은 인구가 희박하고 누만티아는 주로 저강도 농업에 사용되는 토지로 둘러싸여 있다. 그러나 카스티야 이레온의 지방정부와 소리아시는 여러 가지 건설사업을 계획해 왔으며, 완공되면 누만티아 유적지 주변 경관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누만티아 근방의 제안된 발전은, 에스파냐 연구소, 라 히스토리아 연구소, 카탈로니아 고전 고고학 연구소, ICOMOS(국제기념물 및 유적지 협의회)의 스페인 섹션, 그리고 다수의 고대사 출발 등, 여러 분기로부터 광범위한 반대에 부딪혔다.스페인의 nts 2008년 누만티아에게 세계문화유산을 선언하라는 청원이 조직되었는데, 이는 지역 당국이 이 지역을 개발하지 못하게 할 것이라는 희망 때문이었다.[5]
환경의 도시
2010년, 듀로 강 근처의 생태학적으로 중요한 장소에 있는 "환경의 도시"에서 작업이 시작되었다.[6][7]
공업용지
시각적 관점에서 가장 피해가 큰 제안은 새로운 산업지구 개발계획(폴리고노 산업 de Soria II)이다. 이 산업용지는 누만티아와 로마 진지에 인접한 엘 카베조를 위해 계획되었다(또한 Los Arcos de San Juan de Duero의 로마네스크 유적지 일부에도 영향을 미칠 것이다). 이러한 발전을 위해 토지를 수용하는 것에 대해 귀족 마리찰라 가문이 법적 항소를 제기해 왔다.
상징성
누만티아 포위전은 고대 이베리아인들의 자유의식에 감탄하고 로마 군단과의 전투력을 인정한 몇몇 로마 역사가들에 의해 기록되었다. 스페인 문화에서, 그것은 이스라엘 사람들에게 마사다와 비슷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미겔 드 세르반테스(돈 키호테의 저자)는 오늘날 그의 가장 잘 알려진 극작품으로 우뚝 서 있는 포위작 엘세르코 데 누망시아에 관한 희곡을 썼다. 안토니오 마차도는 시집 캄포스 데 카스티야에서 이 도시를 언급하고 있다. 그 시는 시골과 카스티야 지방의 사람들에게 보내는 송이다. 더 최근에 카를로스 푸엔테스는 그의 수집품인 오렌지 나무에서 "두 개의 누만티아스"에 대한 짧은 이야기를 썼다.
몇몇 스페인 해군 함정은 누만시아로 명명되었고 소리아 대대는 바탈론 데 누만티노스로 명명되었다. 스페인 내전 당시 민족주의 누만시아 연대는 톨레도의 아자냐 마을을 점령했다. 공화당 대통령 마누엘 아자냐의 기억을 지우기 위해 누만시아 데 라 사그라로 개명했다.
"numantine resistance"라는 표현은 때때로 특히 내성적인 저항을 가리키기 위해 사용된다.[8]
참조
- ^ Keay, S., R. Mathisen, H. Sivan. "Places: 246523 (Numantia)". Pleiades. Retrieved April 30, 2017.CS1 maint: 여러 이름: 작성자 목록(링크)
- ^ Pliny. Natural History.
- ^ Membo와 Zona Arqueologica는 둘 다 Bien de Interés Cultural의 일종이다.
- ^ Delgado, Adrián (25 April 2017). "La Numancia inédita de Adolf Schulten". ABC (in Spanish). Madrid: Vocento. Retrieved 11 November 2018.
- ^ "Firmas para que Numancia sea declarado PATRIMONIO DE LA HUMANIDAD". Salvemos Numancia (in Spanish). Akham Networks. 2008.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9 June 2008. Retrieved 11 November 2018.
- ^ Cornejo, Laura (10 January 2017). "La Junta de Castilla y León gastó 93 millones en la ilegalizada Ciudad del Medio Ambiente y quiere invertir 20 más". El Diario (in Spanish). Retrieved 11 November 2018.
- ^ Simón, Pedro (31 August 2014). "Una burbuja de hormigón de 52 millones en plena Soria". El Mundo. Unidad Editorial Información General S.L.U. Retrieved 11 November 2018.
- ^ "Numantino". Diccionario de la Real Academia Española (in Spanish) (22nd ed.). Real Academia Española.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4 March 2007. Retrieved 11 November 2018.
참고 문헌 목록
- 라파엘 트레비노 "로마의 적 4: 스페인 군대 기원전 218년 – 기원전 19년", 오스프리 밀리터리, 맨어 암스 시리즈 180, 1992년 ISBN 0-85045-701-7
외부 링크
![]() | 위키미디어 커먼즈에는 누만시아와 관련된 미디어가 있다. |
![]() | 위키소스는 1911년 브리태니커 백과사전 기사 "누만티아"의 원문을 가지고 있다. |
- 제임스 그라우트: 로마나 백과사전의 일부인 '누만티아'
- 누만티아의 셀티베리아 주택 재건축 사진
- (스페인어) 2008년 9월에 액세스한 누만티아에 대한 현재 위협에 대한 정보
- (스페인어) 누에보 세르코아누만시아
- (스페인어) * 올가 라토레: 누아네
- 누만티아: 고고학과 역사, 호세 마리아 루손과 마리아 델 카르멘 알론소가 편집한 멀티미디어 책이다. 알프레도 히메노 마르티네스의 문자. 20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