뉘른베르크 법전
Nuremberg Code뉘른베르크 법전(독일어: 뉘른베르거 코덱스)는 미국 v브란트 법원이 제2차 세계대전 말 뉘른베르크 재판의 한 결과로 만든 인간 실험에 대한 연구 윤리 원칙의 집합체다. 브란트 판결 50주년 기념일에 쓴 리뷰에서 카츠는 "판단을 주의 깊게 읽어보면 (저자들이) 인간실험을 할 때마다 실천하기 위한 강령을 썼다는 것을 알 수 있다"고 쓰고 있다."[1]
배경
강령의 기원은 제2차 세계 대전 이전 독일 정치에서 시작되었으며, 특히 1930년대와 1940년대에 시작되었다. 1920년대 중반부터, 보통 인종 위생에 찬성하는 독일 의사들이 대중과 의학 사회에 의해 비윤리적 의료 행위를 고발당했다. 인종 위생 사용은 아리아 인종을 촉진하기 위해 독일 정부에 의해 지원되었다. 인종 위생 극단주의자들은 민족주의 이념의 핵심 개념인 인종 순수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생물학의 사용을 촉진하기 위해 국가사회주의와 병합했다. 의사들이 1929년 '유대인 볼셰비즘'의 독일 의료계를 정화하기 위해 과학 이념에 이끌려 '국가사회주의 의사회'를 설립하는 데 힘을 보탰다.제국의 보건소 위원인 알폰스 스토더는 "의욕적인 실험은 치료적 목적이 없다"고 주장했다.그리고 의사인 프레드릭 폰 뮬러 도이치 아카데미 대통령이 비판에 동참했다.[2]
비윤리적인 인간 실험에 대한 비판에 대해 바이마르 공화국(191933년 독일 정부)은 '새로운 치료와 인간 실험 가이드라인'을 발표했다. 가이드라인은 유익성과 비남성성에 기초했지만, 사전동의에 대한 법적 교리를 강조하기도 했다. 가이드라인은 치료적 연구와 비치료적 연구의 차이를 명확히 구분했다. 치료 목적상, 가이드라인은 긴급한 상황에서만 동의 없는 행정을 허용했지만 비치료 목적의 경우 동의 없는 행정이 엄격히 금지됐다. 그러나 바이마르로부터의 지침은 아돌프 히틀러에 의해 부정되었다. 1942년까지 나치당에는 38,000명 이상의 독일 의사들이 포함되었는데, 그들은 살균법 같은 의료 프로그램을 수행하는데 도움을 주었다.[3]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나치당의 당원들에게 다수의 전쟁 범죄에 대한 책임을 묻는 일련의 재판이 열렸다. 이 재판은 1945년 5월 2일 해리 트루먼 대통령의 승인을 받았으며, 미국, 영국, 소련이 주도했다. 그들은 1945년 11월 20일 독일의 뉘른베르크에서 뉘른베르크 재판으로 알려지게 되면서 시작되었다. '닥터스 재판'으로 알려지게 된 USA v Brandt의 재판에서는 전쟁 중 인간에게 비윤리적인 의료 절차를 수행한 독일의 의사들이 재판을 받았다. 그들은 강제 수용소에서 비인간적이고 비윤리적인 인간실험을 한 의사들뿐만 아니라, 독일 시민의 350만 명 이상의 살균작전에 관여한 의사들에도 초점을 맞췄다.[4][5]
피고인 중 몇몇은 그들의 실험이 전쟁 전에 사용되었던 실험과 거의 차이가 없으며, 합법적인 실험과 불법적인 실험을 구분하는 법이 없다고 주장했다. 이것이 DRS를 걱정시켰다. 재판 과정에서 검찰과 함께 일했던 앤드루 아이비와 레오 알렉산더. 1947년 4월, 알렉산더 박사는 미국 전쟁범죄 자문위원회에 합법적인 의학 연구를 위한 6가지 사항을 요약한 각서를 제출했다.[6]
1947년 8월 9일 인간 실험을 위해 환자의 명시적인 자발적 동의가 필요하다는 내용의 '각서'로 알려진 강령의 초안이 작성되었다.[7] 1947년 8월 20일, 판사들은 칼 브란트와 다른 22명에 대한 판결을 내렸다.[8] 평결은 비망록의 요점을 거듭 강조했고, 검찰측 전문 의료 고문들에 대한 대응으로 비망록의 원래 6개 포인트를 10개로 수정했다. 이 10가지 요점은 강령으로 알려지게 되었는데, 강제에 대한 사전동의와 부재, 적절한 과학적 실험, 그리고 실험 참가자들에 대한 유익성 등의 원칙을 포함하고 있다. 주로 히포크라테스 선서(Hippocratic Showder)에 근거한 것으로 생각되는데, 이는 환자를 보호하면서 의학에 대한 실험적인 접근을 지지하는 것으로 해석되었다.[9][10]
저자 '논란'
이 암호는 처음에는 무시되었지만, 쓰여진 지 약 20년 후에 훨씬 더 큰 의미를 가지게 되었다. 그 결과, 강령 신설에 대한 실질적인 경쟁적 주장이 있었다. 닥터스 재판을 주재한 미국 판사 3명 중 한 명인 해럴드 세브링(Harold Sebring)이 저자라는 주장도 나왔다. 레오 알렉산더 MD와 앤드루 아이비 MD도 각각 저자로 지목됐다. 영국의 내과 의사이자 책 휴먼기니 피그스의 저자인 모리스 헨리 팟워스에게 보낸 편지에서 앤드류 아이비는 이 암호의 단독 저자를 주장했다. 재판 후 약 30년이 지난 레오 알렉산더도 단독 저자를 주장했다.[11] 그러나 의사재판의 녹취록과 배경문서, 최종판결문 등을 세심하게 읽어본 결과 저자가 공유되고 재판 자체에서 코드가 커졌다는 점이 더욱 인정된다.[12]
뉘른베르크 강령의 10가지 포인트
코드의 10가지 요점은 "허용 가능한 의료 실험"이라는 제목의 재판관 평결 부분에서 주어졌다.[6]
- 인간 주체의 자발적인 동의는 절대적으로 필수적이다. 이는 관련자가 법적 동의를 할 수 있는 능력을 가져야 한다는 것을 의미하며, 무력, 사기, 기만, 압박, 과대포장 또는 그 밖의 제약이나 강요의 어떤 요소들의 개입 없이 선택의 자유 권력을 행사할 수 있는 위치에 있어야 하며, 충분한 지식과 이해를 가져야 한다. 그가 이해하고 깨달은 결정을 내릴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관련된 주제 요소들 이 후자 요소는 실험 주체의 긍정적인 결정을 수용하기 전에 실험의 성격, 기간 및 목적, 수행 방법 및 방법, 예상되는 모든 불편과 위험, 그리고 건강이나 노력에 미치는 영향을 그에게 알려야 한다.그가 실험에 참여했기 때문일 수도 있다. 동의의 품질을 확인하는 의무와 책임은 실험에 착수, 지시 또는 관여하는 각 개인에게 있다. 그것은 다른 사람에게 위임을 받지 않을 수 있는 개인적인 의무와 책임이다.[13]
- 그 실험은 사회의 이익을 위해, 다른 방법이나 연구 수단에 의해 입증되지 않고, 자연에서 무작위적이고 불필요한 결과를 낳지 않는 것과 같은 것이어야 한다.
- 실험은 동물 실험의 결과와 질병의 자연사 또는 연구 중인 다른 문제에 대한 지식을 바탕으로 설계되고 기초하여 예상되는 결과가 실험의 수행을 정당화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야 한다.
- 실험은 불필요한 육체적 정신적 고통과 부상을 모두 피할 수 있도록 실시되어야 한다.
- 사망 또는 불능화 부상이 발생할 것이라고 믿는 선행적 이유가 있는 경우 어떤 실험도 수행해서는 안 된다. 단, 실험의사가 피험자 역할을 하는 실험에서는 예외일 수 있다.
- 감수해야 할 위험의 정도는 실험으로 해결할 문제의 인도주의적 중요성에 의해 결정되는 위험의 정도를 초과해서는 안 된다.
- 적절한 준비를 하고 실험 대상을 부상, 장애 또는 사망의 먼 가능성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는 적절한 시설을 제공해야 한다.
- 그 실험은 과학적으로 자격을 갖춘 사람만이 수행해야 한다. 실험을 수행하거나 참여하는 사람의 실험의 모든 단계를 통해 최고 수준의 기술과 주의가 요구되어야 한다.
- 실험하는 동안 인간 주체는 실험의 지속이 불가능해 보이는 신체적 또는 정신적 상태에 도달했다면 자유롭게 실험을 끝낼 수 있어야 한다.
- 실험 과정 중 담당 과학자는 실험이 계속되면 실험에 부상, 장애 또는 사망에 이를 가능성이 있다고 믿어야 하는 선의, 탁월한 기술 및 신중한 판단을 수행할 수 있는 가능성이 있는 경우 어떤 단계에서든 실험이 종료될 수 있도록 준비해야 한다.주제의
중요도
그 강령은 어떤 국가나 어떤 협회에서도 공식 윤리 지침으로 받아들여지지 않았다. 사실, 개별 환자에 대한 히포크라테스적 의무와 정보 제공의 필요성에 대한 강령의 언급은 처음에는 미국 의학 협회에서 선호하지 않았다.[14] 캣츠는 서구 세계가 처음에는 뉘른베르크 법전을 "야만인을 위한 법전이지만 일반 의사들에게는 불필요한(혹은 불필요한) 것"[1][15]이라고 일축했다고 관측한다. 게다가, 최종 판결은 정치범, 유죄판결을 받은 흉악범, 건강한 자원봉사자와 같은 경우에 이 강령이 적용되어야 하는지에 대해 명시하지 않았다.[citation needed] 명확성의 결여, 비윤리적 의료 실험의 잔혹성, 그리고 강령의 비타협적인 언어는 그것이 특이하게 극악무도한 위반을 위해 고안되었다는 이미지를 만들어냈다.[1]
그러나 일부에서는 세계 인권에 막대한 영향을 끼친 임상 연구 윤리 역사상 가장 중요한 문서로 간주하고 있다. 미국의 경우, 강령과 헬싱키 관련 선언문은 미국 보건 및 휴먼 서비스 부서가 인간 대상자의 윤리적 대우를 위해 공표한 규정인 [16][17]연방규정강령 제45부 46편에 대한 기초를 형성하고 있으며, 제도적 검토위원회(IRBs)에서 사용되고 있다. 1966년 국제 시민 및 정치적 권리에 관한 국제규약이 유엔에 의해 채택되어 1976년 3월 23일까지 발효될 예정이다. 제7조는 대상자의 '의학적 또는 과학적 실험에 대한 자유로운 동의' 없이 행해지는 실험을 금지하고 있다.[14] 코버넌트는 2019년 9월 현재 173개의 주 정당이 있다.
가우는 2014년 리뷰에서 이 강령이 "법적 지형에 진입했을 뿐만 아니라, 전 세계 윤리 실천의 모든 미래의 강령의 원형이 되었다"[11]고 관측한다. 무료 또는 고지된 동의에 대한 발상은 세계보건기구가 제안한 '인간과 관련된 생물학적 연구를 위한 국제 윤리적 가이드라인'의 기초가 되기도 했다.[11][failed verification] 또 다른 주목할 만한 심포지엄 리뷰는 2017년 비엔나 의과대학이 발표한 ' 뉘른베르크 강령 이후 70년 동안의 의료윤리, 1947년 현재에 이르기까지'이다. 마커스 뮬러 대통령과 렉터 뮬러 총장은 자신의 서론에서 "법령은 의학 역사상 가장 중요한 이정표 중 하나를 구성하며, 처음으로 인간 주제에 대한 연구를 위한 적절한 틀을 제공하게 된다"고 쓰고 있다. 안타깝게도, 이 이정표는 계몽된 인간성에서 비롯된 자발적이고 예방적인 조치가 아니라, 끔찍한 나치 잔학 행위들의 여파로 생겨났을 뿐이다. 그 개념에 따라 뉘른베르크 법전은 여러 가지 법률적 측면에서 풍부한 결실을 맺어 임상연구와 생명윤리의 초석이 되었다."[18]
참고 항목
참조
- ^ a b c Katz, J. (1996). "The Nuremberg Code and the Nuremberg Trial. A reappraisal". JAMA. 276 (20): 1662–6. doi:10.1001/jama.1996.03540200048030. PMID 8922453.
- ^ Grodin MA. " 뉘른베르크 강령의 역사적 기원" 인: 나치 의사들과 뉘른베르크 법전: 인간 실험에서의 인권. 아나스, GJ, 그로딘, MA (에드) 1992년 옥스퍼드 대학 출판부
- ^ Vollmann, J.; Winau, R. (1996). "Informed consent in human experimentation before the Nuremberg code". BMJ. 313 (7070): 1445–1447. doi:10.1136/bmj.313.7070.1445. PMC 2352998. PMID 8973233.
- ^ "Eugenics/Euthanasia". ABC-CLIO. Retrieved 16 September 2013.
- ^ "Archived copy".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8 October 2013. Retrieved 5 October 2013.CS1 maint: 제목으로 보관된 복사본(링크)
- ^ a b "Nuremberg Code". The Doctor's Trial: The Medical Case of the Subsequent Nuremberg Proceedings. United States Holocaust Memorial Museum Online Exhibitions. Retrieved 13 February 2019.
- ^ Mukherjee, Siddhartha (2010). The Emperor of All Maladies (First Scribner Hardcover ed.). Scribner. p. 33.
- ^ Annas, George J, Michael A. 그로딘. 나치 의사들과 뉘른베르크 강령. 뉴욕: 옥스퍼드 대학 출판부, 1992.
- ^ Weindling, Paul (2001). "The Origins of Informed Consent: The International Scientific Commission on Medical War Crimes, and the Nuremburg Code". Bulletin of the History of Medicine. 75 (1): 37–71. doi:10.1353/bhm.2001.0049. PMID 11420451. S2CID 20239629.
- ^ 와인들링, 폴 "정보화된 동의의 기원은 다음과 같다. 의료 전쟁 범죄에 대한 국제 과학 위원회와 뉘른베르크 코드"라고 말했다. 의학사 75.1호(2001): 37–71.
- ^ a b c Gaw, Allan (2014). "Reality and revisionism: New evidence for Andrew C Ivy's claim to authorship of the Nuremberg Code". Journal of the Royal Society of Medicine. 107 (4): 138–143. doi:10.1177/0141076814523948. PMC 4109334. PMID 24566934.
- ^ Shuster, Evelyne (1997). "Fifty Years Later: The Significance of the Nuremberg Code". New England Journal of Medicine. 337 (20): 1436–1440. doi:10.1056/NEJM199711133372006. PMID 9358142.
- ^ "The Nuremberg Code (1949)" (PDF). research.wayne.edu.
- ^ a b Junod, Valérie (2005). Clinical drug trials Studying the safety and efficacy of new pharmaceuticals. Genève: Schulthess. p. 545. ISBN 9783725550227.
- ^ Jacobs, Noortje (1 August 2012). "Which Principles, Doctor? The early crystallization of clinical research ethics in the Netherlands, 1947-1955" (PDF). Utrecht University. Prof.dr Frank Huisman (Historical and Comparative Studies of the Sciences and the Humanities).
- ^ Hurren, Elizabeth (May 2002). "Patients' rights: from Alder Hey to the Nuremberg Code". History & Policy. United Kingdom: History & Policy.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7 December 2013. Retrieved 9 December 2010.
- ^ "Public Welfare". Access.gpo.gov. 1 October 2000.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4 February 2012. Retrieved 31 August 2013.
- ^ Czech, Herwig; Druml, Christiane; Weindling, Paul (2018). "Medical Ethics in the 70 Years after the Nuremberg Code, 1947 to the Present". Wiener Klinische Wochenschrift. 130 (Suppl 3): 159–253. doi:10.1007/s00508-018-1343-y. PMID 29926188.
추가 읽기
- 와인들링, 바울: 나치 의학 및 뉘른베르크 재판 (Palgrave, Basingstoke 2004)
- 슈미트, 울프: 뉘른베르크의 정의: 레오 알렉산더와 나치 의사 재판 (Palgrave, Basingstoke 2004)
- 슈미트, 울프: 칼 브란트. 나치 의사: 제3제국의 의학과 권력 (Continuum, London, 2007)
- Weindling, Paul (2001). "The Origins of Informed Consent: The International Scientific Commission on Medical War Crimes, and the Nuremberg Code". Bulletin of the History of Medicine. 75 (1): 37–71. doi:10.1353/bhm.2001.0049. PMID 11420451. S2CID 20239629.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3 October 2008.
- Marrus, Michael R. (1999). "The Nuremberg Doctors' Trial in Historical Context". Bulletin of the History of Medicine. 73 (1): 106–123. doi:10.1353/bhm.1999.0037. PMID 10189729. S2CID 29831220.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 December 2007.
- 영국 의학 저널 7070호, 313권: 1448페이지, 1996년 12월 7일.
- 뉘른베르크 법전(1947년). 인: 미엘케 F. 미첼리히 A. 오명의 의사: 나치 의료 범죄 이야기 뉴욕: 슈만, 1949: xxii-xxv.
- 칼 엘리엇이 2010년 9월 마더 존스 잡지에 기고한 글 '살인 만들기'는 뉘른베르크 코드가 미네소타에서 유효한 법적 선례인지 묻고 있다.
외부 링크
![]() | Wikisource는 이 기사와 관련된 원본 텍스트를 가지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