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AO 1657-415
OAO 1657-415관측 데이터 EpochJ2000.0이쿼녹스J2000.0(ICRS) | |
---|---|
별자리 | 전갈자리 |
우측 상승 | 17h 00m 48.884s[1] |
탈위임 | −41° 39′ 21.46″[1] |
겉보기 크기(V) | >23[2] |
특성. | |
스펙트럼형 | Ofpe/WN9[3] |
겉보기 크기(J) | 14.09[1] |
겉보기 크기(H) | 11.68[1] |
겉보기 크기(K) | 10.38[1] |
변수형 | X선 바이너리[3] |
아스트로메트리 | |
방사 속도(Rv) | 57.2±3km[3]/s |
거리 | 7,100[2] pc |
궤도[3] | |
기간(P) | 10.44812±0.00013일 |
반암도(K1) (iii) | 22.1±3.5km/s |
세부 사항 | |
Ofpe/WN9 | |
미사 | 14.3±0.8[3] M☉ |
반지름 | 24.8±1.5[3] R☉ |
루미도 | ~126,000[3] L☉ |
온도 | ~2만[3] K |
콤팩트 오브젝트 | |
미사 | 1.42±0.26[3] M☉ |
기타 지정 | |
AX J1700.7-4139, 2MASS J17004888-4139214 | |
데이터베이스 참조 | |
심바드 | 자료 |
OAO 1657-415는 20,000광년 이상 떨어진 전갈자리(Scarpius)에 위치한 고질량 X선 바이너리(HMXB)이다.OAO 1657-415는 Ofpe/WN9의 스펙트럼 타입과 HMXB 중에서 가장 큰 편심도와 궤도 주기를 가지며, 또한 기증 항성이 훨씬 더 진화하기 때문에 특수하므로 (예: 중성자 항성)과 고도로 진화한 대규모 슬래시 항성으로 구성된다.다른 많은 HMXB 기증 별들.[3]
거리
OAO 1657-415는 지구에서 4.4~12킬로파섹 사이에 위치해 있으며, 지구에서 약 7.1킬로파섹일 가능성이 높다.그러나 최근의 Gaia 데이터는 광학 동반자의 시차 각도를 기준으로 2.2킬로파르초의 낮은 거리를 제시한다.
OAO 1657-415는 극도로 붉어졌다.가시적인 파장에서는 20.4의 크기만큼 붉게 물든다.[3]따라서 육안으로는 확실히 보이지 않으며 적어도 가시광선으로 보기 위해서는 매우 강력한 망원경이 필요할 것 같다.가시광대역 내 OAO 1657-415의 위치를 찾기 위한 헌신적인 노력에도 불구하고, 가시광선 크기가 23 이하인 광학부품은 발견되지 않았다.[2]
궤도
OAO 1657-415의 두 성분은 10.44812일마다 서로 공전하며, 편심률은 0.107로 HMXB의 경우 매우 높다.이 궤도 주기는 1년에 약 3초의 비율로 감소하고 있다.[3]2진법의 일식은 1.7일간 지속된다.[2]
항성 특성
OAO 1657-415의 공여 항성은 매우 진화된 항성으로, 전형적인 OB 초거성 또는 주계열성 HMXB 공여 항성보다 분명히 더 진화된 것이 분명하다.이는 OAO 1657-415의 대기에 많은 울프-레이트의 별과 마찬가지로 수소(XH = 5%)[3]가 심하게 고갈되어 있기 때문에 명백하다.OAO 1657-415는 이와 같이 진화된 기증자 별을 가진 HMXB가 발견된 4번째에 불과하다.유일하게 비슷한 은하계 예는 중성자 별이나 블랙홀처럼 콤팩트한 물체가 원을 그리며 선회하는 초기 WN형 울프레이트의 별인 시그너스 X-3이다.[3]
OAO 1657–415의 물리적 특성을 도출하려는 시도는 모형에 공식 적합할 수는 없지만 해당 특성에 대한 일반적인 추정치를 결정할 수 있었다.기증자 별의 발광도는 약 126,000이다.L☉ (105.1 L☉(), 약 20,000 K의 온도와 30 ~ 30 일광 반경의 온도.[3]그러나 OAO 1657-415의 유도 광도는 그 유형의 별에 비해 상당히 낮아서 Ofpe/WNL 별보다는 B형 초거성이 될 수 있음을 암시한다.단, 단자 속도가 낮고 질량 손실률이 B형 슈퍼자이언트에서 발견된 많은 값과 양립할 수 없는 경우가 있다.또 B형 슈퍼기지는 통상 헬륨(XH=83%)보다 수소가 5배 이상 많은데 이는 분명 그렇지 않다.배기가스 라인 별 V1104 전갈자리 등 유사하게 낮은 농도의 수소와 비교 가능한 반경을 가진 일부 후기형 울프 레이엣 별들이 발견되었는데, 이 별은 반경이 30 RSol이고 XH 값이 단 3%에 불과한 WN8 항성으로 Wolf-Rayet 단계로 진입하고 있다.또 다른 WN8 항성인 WR 123은 X 값이 매우 낮아서 0.5%까지 낮을H 수 있지만, 반경은 ~7 RSOL이다.[3][4]
이진의 미래
중심 붕괴 직전, OAO 1657-415가 즉각적으로 될 것처럼 울프-레이엣 별의 질량은 5-10MSol이다.OAO 1657-415가 강한 빠른 항성 바람을 통해 질량을 계속 잃을 경우, 두 항성은 기증된 항성의 질량이 5MSol로 감소하는 65일 이상 후 100만년 이내에 핵이 붕괴되기 전에 서로 궤도를 돌게 된다.[3]공여 항성이 죽은 후 그 핵이 중성자 항성이 된다면, 생성된 초신성은 한 항성의 질량을 상당 부분 제거함으로써 이항성을 교란시킬 수 있다.그러나 초신성은 이 킥의 방향에 따라 중성자 별을 다른 별과 결합하기 위해 일정한 방향으로 찰 수 있다.이를 통해 공전주기가 18.8일인 것으로 알려진 최장기 이중 중성자 항성계통 PSR J1811-1736보다 긴 기간을 갖는 이중 중성자 항성계통이 생성된다.[3]
참조
- ^ a b c d e Cutri, Roc M.; Skrutskie, Michael F.; Van Dyk, Schuyler D.; Beichman, Charles A.; Carpenter, John M.; Chester, Thomas; Cambresy, Laurent; Evans, Tracey E.; Fowler, John W.; Gizis, John E.; Howard, Elizabeth V.; Huchra, John P.; Jarrett, Thomas H.; Kopan, Eugene L.; Kirkpatrick, J. Davy; Light, Robert M.; Marsh, Kenneth A.; McCallon, Howard L.; Schneider, Stephen E.; Stiening, Rae; Sykes, Matthew J.; Weinberg, Martin D.; Wheaton, William A.; Wheelock, Sherry L.; Zacarias, N. (2003). "VizieR Online Data Catalog: 2MASS All-Sky Catalog of Point Sources (Cutri+ 2003)". CDS/ADC Collection of Electronic Catalogues. 2246: II/246. Bibcode:2003yCat.2246....0C.
- ^ a b c d Jaisawal, Gaurava K.; Naik, Sachindra; Epili, Prahlad R.; Chhotaray, Birendra; Jana, Arghajit; Agrawal, P. C. (2021). "AstroSat observations of eclipsing high mass X-ray binary pulsar OAO 1657-415". Journal of Astrophysics and Astronomy. 42 (2): 72. arXiv:2101.00815. Bibcode:2021JApA...42...72J. doi:10.1007/s12036-021-09701-x. S2CID 230433662.
- ^ a b c d e f g h i j k l m n o p q r Mason, A. B.; Clark, J. S.; Norton, A. J.; Crowther, P. A.; Tauris, T. M.; Langer, N.; Negueruela, I.; Roche, P. (May 2012). "The evolution and masses of the neutron star and donor star in the high mass X-ray binary OAO 1657-415". Monthly Notices of the Royal Astronomical Society. 422 (1): 199–206. arXiv:1102.3363. Bibcode:2012MNRAS.422..199M. doi:10.1111/j.1365-2966.2012.20596.x. ISSN 0035-8711. S2CID 1539813.
- ^ Hamann, W.-R.; Gräfener, G.; Liermann, A.; Hainich, R.; Sander, A. A. C.; Shenar, T.; Ramachandran, V.; Todt, H.; Oskinova, L. M. (2019-05-01). "The Galactic WN stars revisited. Impact of Gaia distances on fundamental stellar parameters". Astronomy and Astrophysics. 625: A57. arXiv:1904.04687. Bibcode:2019A&A...625A..57H. doi:10.1051/0004-6361/201834850. ISSN 0004-6361. S2CID 1042925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