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FC 네이션스컵

OFC Nations Cup
OFC 네이션스컵
OFCcup.png
설립.1973년, 49년(연장)
지역오세아니아(OFC)
팀 수8 (파이널)
현재 챔피언 New Zealand뉴질랜드
(5번째 제목)
가장 성공한 팀 New Zealand뉴질랜드
(5개의 타이틀)
웹 사이트www.oceaniafootball.com
2020년 OFC 네이션스컵
토너먼트

OFC 네이션스컵OFC 회원국들 사이에서 열리는 국제 축구 대회이다.1996년부터 2004년까지 2년마다 개최되었으며, 1996년 이전에는 오세아니아 네이션스컵이라는 이름으로 두 개의 다른 대회가 불규칙하게 열렸다.2006년에는 한 번도 대회가 열리지 않았지만 2009년 FIFA 컨페더레이션스컵 예선전과 2010년 FIFA 월드컵 플레이오프전을 겸한 2008년 대회에서는 뉴질랜드 축구대표팀이 우승자로 떠올랐다.

역사적으로, 매우 큰 간극은 호주뉴질랜드를 작은 섬나라의 경쟁자들로부터 분리시켰고, 축구계의 나머지 국가들은 이 대회에 거의 관심을 기울이지 않았다.사실, 첫 8회 이후 이 트로피는 호주와 뉴질랜드가 차지했다.2012년 OFC 네이션스컵에서 타히티는 호주와 뉴질랜드를 제외한 지역 팀으로는 처음으로 우승컵을 거머쥐었다.호주가 성공한 주된 이유는 OFC를 탈퇴했기 때문이다.

역사

초판(1973~1980)

이 대회는 1973년에 "오세아니아 컵"으로 시작되었다.이 초판은 예선전 없이 진행되었고 뉴질랜드 오클랜드에서 열린 주최자가 타히티를 2-0으로 꺾고 우승을 차지했다.이 대회는 1980년 독립한 후 바누아투가 된 뉴 헤브리데스와 같이 호주 팀이 불참하고 FIFA 회원국이 아닌 팀들이 참가한 것이 특징이다.

오세아니아컵의 제2회 대회는 1980년 FIFA 회원국이 아닌 뉴칼레도니아에서 열렸다.호주는 누메아에서 결승전을 치렀고 타히티를 4-2로 이겼다.토너먼트는 뉴질랜드가 조별리그에서 타히티 (3-1)와 피지 (4-0)에게 패배하는 등 부진한 결과를 보였다.2년 후 그들은 1982년 FIFA 월드컵 출전 자격을 얻었다.이 두 판은 예선전이 없는 유일한 판이었다.이 판이 끝난 후 토너먼트는 중단되었다.그래서 호주는 어떤 대회에도 출전하지 않고 16년 동안 오세아니아 챔피언 타이틀을 유지했다.공백 기간(1981~1995년) 동안 가장 중요한 오세아니아 지역 토너먼트는 호주와 뉴질랜드 사이에서만 열린 트란스-타스만 컵이었다.

2년마다 반환(1996~2004)

1996년, OFC가 FIFA 컨페더레이션스컵의 공식 지위에 올랐을 때, 이 대회는 "오세아니아 네이션스컵"으로 재등장하여 컨페더레이션스컵의 예선전 역할을 하였다.1996년 대회에는 개최국이 없었지만, 첫 예선전이 열렸고, 4개 팀이 준결승과 결승전을 치렀습니다.트란스-타스만컵 준결승전을 치른 호주와 뉴질랜드, 그리고 폴리네시아컵 우승자인 타히티와 멜라네시아컵 우승자인 솔로몬 제도와의 준결승 2차전.호주는 타히티(6-0, 5-0)와의 결승전에서 손쉽게 우승컵을 방어했다.이번 대회 득점 1위 크리스 트라야노프스키(호주)는 최종전에서 파페테(타히티)에서 4골, 캔버라(호주)에서 2차전 3골 등 7골을 모두 넣었다.이 결과 덕분에 스코틀랜드 오세아니아 챔피언 에디 톰슨이 아닌 영국 테리 베너블스가 감독을 맡은 이 호주팀은 1997년 사우디아라비아에서 열린 FIFA 컨페더레이션스컵에 출전했다.

1998년 판에는 호주가 주최하고 호주와 뉴질랜드가 우세한 6개 팀이 참가했다.브리즈번에서 열린 결승전에서 뉴질랜드가 마크 버튼의 골로 개최국 호주를 1-0으로 이겼다.이번 판에서는 호주 선수 다미안 모리가 10골을 넣어 역대 최고 기록을 세웠다.그는 또한 1996년 1골, 1998년 10골, 2002년 3골 등 세 번의 대회에서 14골을 넣어 오세아니아 네이션스컵 득점왕이기도 하다.

제5판은 2000년에 타히티가 주최했다.토너먼트 구조는 확인되었고 다시 호주와 뉴질랜드는 파페테에서 결승전에 진출하였다.호주는 2-0으로 세 번째 우승을 차지하여 2001년 FIFA 컨페더레이션스컵 출전권을 얻었다.이번 대회 출전권을 얻은 피지는 내전으로 인해 기권하게 되었고 호주와의 준결승전에서 인상적인 바누아투로 교체되었다: 프랭크 파리나가 감독사커루스는 케빈 무스카트의 페널티킥 덕분에 1-0으로 승리하였다.2년 후 호주팀은 한국과 일본에서 열린 2001 FIFA 컨페더레이션스컵에서 3위를 차지했다.

뉴질랜드가 주최한 2002년 대회에서는 8개 팀이 참가하여 호주와 뉴질랜드가 우승을 차지하였다.이것은 그들의 3회 연속 결승 경기였다.호주팀은 연장전 끝에 용맹한 타히티와의 준결승에서 승리했다.사커 호주는 재정적인 문제에 연루되었다: 존재하지 않는 재정적인 기여는 호주 선수들이 뉴질랜드로 가기 위해 그들 자신의 길을 지불해야 한다는 것을 의미했다. 그래서 스콧 치퍼필드는 필요할 때 그의 부름에 응하고 그의 나라를 위해 경기한 유일한 호주의 대규모 유럽 대표단 중 한 명이 되었다.토너먼트를 위한 eam.그래서 결승전은 오클랜드에서 열린 역사적인 라이벌들을 라이언 넬슨의 골로 1-0으로 꺾고 세 번째 우승을 차지했다.

2006년 FIFA 월드컵 예선[1] 겸하고 호주에서 열렸던 2004년 판에서는 6개국이 독특한 조로 나뉘어 경기를 펼쳤으며, 첫 번째 두 나라는 두 개의 조로 결승전을 치렀다.조별리그에서 바누아투는 놀랍게도 뉴질랜드를 4-2로 이겼지만 남은 경기에서 모두 졌다.이 경기와 호주와의 무승부(2-2)로 솔로몬 제도는 호주와의 결승전에서 준우승과 출전권을 획득할 수 있었다.결승전에서 솔로몬 제도는 홈그라운드인 호니아라에서 5-1로, 시드니에서 6-0으로 완패했다.게다가 프랭크 파리나 감독이 오세아니아 네이션스컵 트로피를 두 번이나 차지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자 오늘까지 유일하다.2년 후, 네덜란드인 거스 히딩크가 감독을 맡았고 팀 카힐, 해리 키웰, 마크 브레시아노, 브렛 에머튼, 존 알로이스같은 많은 2004년 오세아니아 네이션스컵 득점자로 구성되었다.그러나, 2006년에 AFC에 가입하기로 결정하면서 오세아니아 축구계를 크게 변화시켰다.

새로운 시대(2006년~현재)

호주는 2006년 1월 1일 아시아 축구 연맹에 가입하였고, OFC 회원국을 탈퇴하였다.뉴칼레도니아가 우승한 2007년 남태평양 게임은 OFC에서 최하위 3개 팀의 예선전이 되었으며 우승 팀은 2008년 OFC 네이션스컵에 진출할 수 있다.2008년 OFC 네이션스컵은 정해진 장소 없이 네 팀이 홈 앤 어웨이에서 한 조로 경기를 치른다.이 대회는 또한 OFC의 2010년 FIFA 월드컵 예선전의 일부이기도 했다.뉴질랜드는 뉴칼레도니아에 앞서 6전 5승으로 4승째를 거뒀다.놀랍게도 피지는 로이 크리슈나의 두 로 라우토카(피지)에서 열린 뉴질랜드와의 마지막 경기에서 2-0으로 승리했다.득점 1위 셰인 스멜츠(뉴질랜드)는 8골을 넣었다: 뉴칼레도니아와의 경기에서 4골은 원정에서 3-1로, 홈에서는 3-0으로 이겼다.

2012년 대회는 원래 [2]피지에서 개최될 예정이었으나, OFC 총서기와 피지 당국이 관련된 법적 분쟁으로 인해 개최에서 제외되었다.개최권은 뉴질랜드, 뉴칼레도니아, 바누아투, 타히티, 피지, 파푸아뉴기니, 사모아(예선 우승국)가 합류하면서 솔로몬제도로 넘어갔다.2012년 대회와 비슷한 추첨으로 4개 팀씩 2개 조로 나뉘어 각 조의 상위 2명이 준결승에 진출했다.9일 후, 타히티와 뉴칼레도니아는 로손 타마 스타디움에서 열린 결승전에 진출하였고, 타히티는 스티비 종휴의 골로 1-0 승리를 거두었다.이로써 타히티는 호주(더 이상 OFC 소속이 아님)와 뉴질랜드를 제외하고 오세아니아 [3]챔피언에 오른 첫 번째 팀이 되었다.이 대회는 OFC의 2014년 FIFA 월드컵 예선전의 일부이기도 했다.

포맷

처음 두 판은 예선전 없이 진행되었다.연속 3개 대회에서 호주와 뉴질랜드는 자동으로 시드를 배정받았고, 나머지 10개국은 예선전을 치렀다.폴리네시안컵멜라네시아컵은 각각 지리적 기준으로 5개 국가 간에 조를 이루어 라운드 로빈 토너먼트를 통해 예선 역할을 수행하였고, 각 경기에서 상위 2개 팀이 실제 OFC 네이션스컵에 진출하였다.

멜라네시아 컵이 연기되었다가 취소되었고, 비슷한 운명이 다가옴에 따라, 2002년에 대회의 형식이 바뀌었다.FIFA 랭킹은 12개 팀 모두의 시드를 결정했고, 하위 6개 팀은 본선 진출 2개의 예선 자리를 놓고 조별리그를 치렀다.2002년 컵 토너먼트 본선은 4개 팀으로 구성된 2개 조(다시 라운드 로빈 방식)로 진행되었으며, 4강 토너먼트로 이어지며 상위 4위 자리를 차지하게 되었다.

2004년에는 다시 한번 형식이 바뀌어 1996-2000년 대회와 유사한 형식으로 바뀌어 5개 팀이 2개의 예선 조로 경기를 치르고 호주와 뉴질랜드는 6개 조로 나뉘어 조별리그를 치르며 가장 높은 순위를 차지한 두 팀 간에 홈 앤 어웨이 결승전이 치러졌다.이 대회는 2006년 FIFA 월드컵의 예선전으로서도 두 배가 되었다.

2008년 대회에서는 다시 형식이 바뀌었다.2007년 남태평양 게임 축구 토너먼트는 금, 은, 동 우승국이 뉴질랜드가 자동으로 진출하는 메인 라운드 로빈 방식으로 진행되는 예선 토너먼트였다.뉴질랜드는 뉴칼레도니아를 앞서 2008년 OFC 네이션스컵에서 우승하면서 2009년 FIFA 컨페더레이션스컵 출전권을 얻었고, 2010년 FIFA 월드컵 진출권을 위해 AFC 5위팀과 플레이오프에 진출했다.

결과.

개요

연도 주인 최종 3위 결정전 또는 준결승 진출자 팀 수
승리자. 스코어와 장소 차점자 3위 스코어와 장소 4위
1 1973 뉴질랜드
뉴질랜드
2–0
오클랜드 뉴마켓 파크

타히티

뉴칼레도니아
2–1
오클랜드 뉴마켓 파크

뉴헤브리디스
5
2 1980 뉴칼레도니아
호주.
4–2
스타드마젠타, 누메아

타히티

뉴칼레도니아
2–1
스타드마젠타, 누메아

피지
8
3 1996 호스트 없음
호주.
6–0
파페테 올림픽 스타디움
5–0
캔버라 브루스 스타디움

타히티

뉴질랜드
그리고.
솔로몬 제도
4
4 1998 호주.
뉴질랜드
1–0
파크(브리즈번)

호주.

피지
4–2
파크(브리즈번)

타히티
6
5 2000 타히티
호주.
2–0
파페테 주, 스타드 파테르

뉴질랜드

솔로몬 제도
2–1
파페테 주, 스타드 파테르

바누아투
6
6 2002 뉴질랜드
뉴질랜드
1–0
에릭슨 스타디움, 오클랜드

호주.

타히티
1–0
에릭슨 스타디움, 오클랜드

바누아투
8
7 2004 호주.[1]
호주.
5–1
호니아라 로손타마 스타디움
6–0
시드니 풋볼 스타디움

솔로몬 제도

뉴질랜드
라운드 로빈
피지
6
8 2008 호스트 없음
뉴질랜드
라운드 로빈
뉴칼레도니아

피지
라운드 로빈
바누아투
4
9 2012 솔로몬 제도
타히티
1–0
호니아라 로손타마 스타디움

뉴칼레도니아

뉴질랜드
4–3
호니아라 로손타마 스타디움

솔로몬 제도
8
10 2016 파푸아뉴기니
뉴질랜드
0–0
4 ~ 2 (p)
포트모레스비 기즈 스타디움

파푸아뉴기니

뉴칼레도니아
그리고.
솔로몬 제도
8
11 2020 뉴질랜드 오세아니아 COVID-19 대유행으로 취소[4] 8
12 2024 미정 결정하다 미정
  • ^ 2004년 토너먼트호주에서 라운드 로빈 토너먼트로 개최되었으며 결승전은 홈과 어웨이 두 팀이 개최하였습니다.

상위 4개 팀

팀. 챔피언스 차점자 3위 4위
뉴질랜드 5* (1980, 1998, 2002*, 2008, 2016) 1 (2000) 3 (1996, 2004, 2012)
호주.1 4(1980, 1996, 2000, 2004*) 2 (1998*, 2002)
타히티 1 (2012) 3 (1973, 1980, 1996) 1 (2002) 1 (1998)
뉴칼레도니아 2 (2008, 2012) 3 (1980, 1980*, 2016)
솔로몬 제도 1 (2004) 3 (1996, 2000, 2016) 1* (2012년)
파푸아뉴기니 1* (2016년)
피지 2 (1998, 2008) 2 (1980, 2004)
바누아투 4개2(1980, 2000, 2002, 2008)

* 호스트
1 호주는 2006년에 OFC를 탈퇴하고 AFC의 정식 회원이 되었다.
2 뉴 헤브리데스로서.

기록 및 통계

2016 OFC 네이션스컵까지.

순위 팀. 일부 P W D L GF GA GD 포인트
1 뉴질랜드 10 44 32 4 8 110 39 +71 100
2 호주. 6 28 24 2 2 142 13 +129 74
3 타히티 9 37 18 5 14 80 81 −1 59
4 뉴칼레도니아 6 27 12 4 11 65 52 +13 40
5 피지 8 32 9 4 19 39 67 −28 31
6 바누아투 9 36 8 2 26 41 85 −44 26
7 솔로몬 제도 7 28 7 4 17 31 70 −39 25
8 파푸아뉴기니 4 14 3 5 6 23 42 −19 14
9 쿡 제도 2 4 0 0 4 1 41 −40 0
10 사모아 2 6 0 0 6 1 43 −42 0

레퍼런스

  1. ^ "OFC to merge Nations Cup with World Cup Qualifiers". Oceania Football Confederation. Retrieved 22 June 2021.
  2. ^ "Pacific Games no longer part of qualification". oceaniafootball.com. 29 July 2011.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3 January 2012. Retrieved 24 December 2011.
  3. ^ "Glorious Tahiti claim maiden Oceania crown". FIFA.com. 10 June 2012.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5 June 2012. Retrieved 12 June 2012.
  4. ^ "OFC Nations Cup 2020 cancelled". Oceania Football Confederation. 21 April 2020.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