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V1-12
OV1-12![]() OV1 시리즈 위성 | |
미션 타입 | 지구과학 |
---|---|
교환입니다. | USAF |
COSPAR ID | 1967-072D |
새캣 | S02901 |
우주선 속성 | |
제조원 | 제너럴 다이내믹스 |
발사 질량 | 141 kg (311파운드) (Altair 사용시) |
임무 개시 | |
발매일 | 1967년 7월 27일 19:00:03 | ) 19 UTC
로켓 | 아틀라스 D |
발사장소 | 반덴버그 576-B-3[1] |
임무 종료 | |
붕괴일자 | 1980년 7월 22일 |
궤도 파라미터 | |
정권 | 지구 저궤도 |
편심 | 0.00101 |
근지 고도 | 542.00km(336.78mi) |
아포기 고도 | 556.00km(345.48mi) |
기울기 | 101.700° |
기간 | 95.40분[2] |
에폭 | 1967년 7월 27일 18:57:00 UTC |
궤도 비행체 1-12(OV1-12라고도 함)는 1967년 7월 27일 태양 플레어로 인한 방사선 위험을 측정하기 위해 발사된 위성이다.개발 및 발사 비용을 절감하기 위해 표준화된 설계를 사용하고 해체된 Atlas ICBM을 통해 궤도에 진입한 USAF 위성 OV1 시리즈의 일부인 OV1-12는 이 프로그램의 첫 번째 세 번째 세 번째 발사에서 시리즈의 다른 두 위성인 OV1-11과 OV1-86과 함께 발사되었다.궤도에서 안정 상태를 유지할 수 없었기 때문에 부분적으로만 성공했지만, 1980년 7월 22일 이 위성은 지구 대기에 다시 진입했다.
역사
궤도 비행체 위성 프로그램은 우주 연구 비용을 줄이기 위해 1960년대 초에 시작된 미 공군의 이니셔티브에서 시작되었다.이 이니셔티브를 통해, 위성은 신뢰성과 비용 효율성을 개선하기 위해 표준화 될 것이며, 가능하면 시험 비행체를 타고 비행하거나 다른 위성과 함께 보조될 것이다.1961년, 공군 항공우주연구국은 위성 연구 제안을 요청하고 임무 실험을 선택하기 위해 항공우주 연구 지원 프로그램(ARSP)을 만들었다.USAF 우주미사일기구는 ARSP보다 더 많은 기술실험을 후원하는 우주실험지원프로그램(SESP)[3]: 417 이라는 ARSP의 유사체를 만들었다.이러한 기관의 [3]: 425 후원 아래 5개의 개별 OV 시리즈 표준화 위성이 개발됐다.
중령이 관리하는 OV1 프로그램입니다클라이드 노스코트 [4]주니어는 1961년 10월 2일부터 아궤도 아틀라스 미사일 시험대에 올라타 짧은 시간 동안 과학 실험을 수행한 2.7m의 "과학적 승객 포드"의 진화체이다.제너럴 다이내믹스는 1963년 9월 13일 자체 궤도 위성을 운반하는 새로운 버전의 SPP(Atlas Retained Structure(ARS))를 만드는 200만 달러의 계약을 받았다.아틀라스 미사일과 ARS가 원점에 도달하면, 내부에 있는 위성이 배치되어 궤도에 진입할 것이다.궤도 SPP 외에 제너럴 다이내믹스는 각각 길이 3.66m(12.0ft)에 직경 0.762m(2ft 6.0인치)의 인공위성 6개를 만들어 136kg(300lb)의 페이로드를 원형 805km(500mi) 궤도로 운반할 수 있다.
"항공우주 연구를 위한 위성"이라고 불리는 이 일련의 위성은 원래 아틀라스 임무의 동부 시험장에서 발사되어 실험적인 첨단 탄도 재진입 시스템 (ABRES) 노즈콘을 시험할 예정이었다.그러나 1964년 공군은 ABRES 발사를 서부 시험장으로 이관시켜 1년 지연시켰다.게다가, WTR 발사는 ETR 발사의 전형적인 저경사 궤도와 달리 극궤도에 진입하기 때문에, 동일한 추력을 사용하여 더 적은 질량을 궤도에 올릴 수 있었고, SATAR 위성의 질량을 [3]: 417 줄여야 했다.
OV1-12가 일부였던 세 번의 발사 전에는 1965년 1월 21일에 첫 번째로 발사된 OV1 시리즈에는 10개의 위성이 있었다.마지막 ABRES 시험 발사인 OV1-1과 유인 궤도 실험실 시험 [3]: 418, 420 비행 임무를 맡은 타이탄 IIIC를 통해 발사된 OV1-6을 제외하고, 모두 해체된 아틀라스 D ICBM으로 발사되었다.
우주선 설계
OV1-12는 다른 OV1 위성 시리즈와 마찬가지로, 22와트의 전력을 생산하는 5000개의 태양 전지를 포함하는 양 끝에[5] 평평한 원뿔로 덮인 원통형 실험 하우징으로 구성되었다.설계 추세는 OV1-7에서 시작되었고, 태양 전지는 처음 6개의 OV1 [3]: 420 위성에서와 같이 곡선이 아닌 평탄했다.원격측정 송신과 우주선 측면으로부터의 명령 수신을 위한 2.46m(1피트 6인치)의 안테나. 12개의 헬륨 가압 과산화수소 추진기는 자세 [3]: 418 제어를 제공한다.
안정화 목적을 위해, 위성은 지구의 자기장과 평행한 방향을 유지하도록 자기장 충전되었고, 지구의 [3]: 420 극 중 하나를 지날 때마다 뒤집혔다.
실험
공군무기연구소는 태양 플레어의 방사능 위험을 연구하기 위해 OV1-12에 11가지 실험을 설치했다."Flare Activated Radio-biological Observatory"(FARO)라고 불리는 이 과학 패키지에는 전자와 양성자를 검출하기 위한 다양한 분광계와 계수기 및 X선 [2]측정을 위한 섬광기가 포함되어 있었다.
미션
OV1-12는 1967년 7월 27일 19:00:03 [1]UTC에 아틀라스 D 로켓을 통해 반덴버그의 [3]: 420 576-B-3 발사대에서 OV-11, OV-86과 함께 발사되었다.노즈 SPP(OV1-86은 별도의 측면 장착 SPP에 설치됨)에 OV-11과 함께 장착되며, OV1-12는 계획된 [6]: 38 궤도에 진입했습니다.다른 두 가지 실험에는 지구를 근적외선 [6]: 34 스펙트럼으로 매핑하기 위한 간섭계와 또 다른 방사선계가 포함되었다.그러나 자기안정장치가 계획대로 작동하지 않아 위성이 추락했다.그 결과, 부분 데이터만 [3]: 420 취득되었습니다.
레거시 및 상태
OV1-12의 데이터 세트의 간결함에도 불구하고, 여러 개의 출판된 저널 기사를 작성하기에 충분했다.이러한 방사선 논문은 OV1-2에 있는 유사한 장치의 결과를 설명하는 논문과 함께 궤도에서[7] 전자와 양성자의 방사형 확산에 대한 추가 연구([8]즉, 지구 상공에서 서로 다른 높이로 이동하는 속도)에 대한 관심을 불러일으켰다.
OV1-12는 1980년 [2]7월 22일 지구 대기에 재진입했다.OV1 프로그램은 결국 1971년 [3]: 421 9월 19일에 마지막으로 비행한 22개의 임무로 구성되었다.
레퍼런스
- ^ a b c McDowell, Jonathan. "Launch Log". Jonathan's Space Report. Retrieved 22 July 2022.
- ^ a b c "OV1-12". NASA. Retrieved 22 July 2022.
- ^ a b c d e f g h i j Powell, Joel W.; Richards, G.R. (1987). "The Orbiting Vehicle Series of Satellites". Journal of the British Interplanetary Society. Vol. 40. London: British Interplanetary Society.
- ^ "The OV1-Promoter of timely space research". Proceedings of the OAR Research Applications Conference, 14 March 1967. Washington D.C.: Officer of Aerospace Research, United States Air Force. 1967.
- ^ Krebs, Gunter. "OV1". Retrieved 24 April 2020.
- ^ a b Donald A Guidice (26 January 1971). Investigation of the 60 GHz Atmospheric Oxygen Mantle for Application to Vertical Sensing (Report). Air Force Systems Command, United States Air Force. OCLC 1086366932.
- ^ Semiannual Report NASA Research Grant NGT 05-007-004 For the Period January 1, 1969 – June 30, 1969 Part I (PDF) (Report). 1969. p. 8.
- ^ Solène Lejosne (June 2019). "Analytic Expressions for Radial Diffusion". Journal of Geophysical Research: Space Physics. 124 (6): 4278–4294. Bibcode:2019JGRA..124.4278L. doi:10.1029/2019JA026786. PMC 6662234. PMID 313606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