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라 발로군

Ola Balogun
올라 발로군
태어난 (1945-08-01) 1945년 8월 1일 (76세)[1]
교육라고스 킹스 칼리지
다카르 대학교(1962–63)
Caen 대학교 (1963–66)
학회 (1966-68년)
직업영화 감독, 시나리오 작가
년 활동1969–84
주목할 만한 작품
검은 여신 (1978년)

올라 발로군(Ola Balogun, 1945년 8월 1일 출생)은 나이지리아영화제작자각본가다. 그는 또한 2001년에 나이지리아 음악 산업에 과감히 뛰어들었다. 30년 넘게 영화를 만들어 온 발로군(Balogun)은 나이지리아 영화인 1세대에 속한다.[2]

발로군은 연구소 에서 영화학을 공부했다. 졸업 후 몇 년 만에 다큐멘터리 영화에 대한 박사 논문을 썼다.[3] 1968년 나이지리아로 돌아오면서 정보부 소속이던 나이지리아 영화부대 직원에 합류했고, 이후 국립박물관과 오바페미 아워워 대학교에서 근무했다. 발로군 감독의 초기 영화는 단편 다큐멘터리였다. 1969년 발매된 나이지리아 1곳, 파리(1971년), 파리의 불길(1971년), 썬더갓(1971년), 누페 마스커레이드(1972년), 시작의 오와마(1973년) 등이 있다.[3] 그의 데뷔 장편 영화는 1972년 ife에 있을 때 개봉한 반자율적 저예산 영화 알파였다.[3] 1973년에는 독자적인 영화사 아프로컬트 재단을 설립하여 후속작을 발표했다. 의 알파 후속작으로는 1974년 발매된 비브르와 그 후 정부 후원 프로젝트인 니제르스틸이 있다. 1975년 이그보어 영화 아마디를 개봉하였다.[4] 그의 다음 프로젝트는 두로 라디포와 손잡고 아데 러브가 주연한 요루바어 영화 아자니 오군 감독 및 제작이었다. 이 영화는 흥행에 성공했고 아자니 오건의 인기는 발로군 감독의 영화 촬영과 현지에서의 연출력을 높였다. 비록 그의 차기작 무식한 남자는 관객들로부터 좋은 반응을 얻지 못했지만,[5] 후속작인 아데 러브의 이자 오미라는 인기를 얻었다. 발로군도 포르투갈-나이거의 제작사인 '데우사 네그라'(1978년)로 이자 오미라를, 이어 휴버트 오군데 주연의 '아이예'(1980년), 모세 올라이야와 함께 '오룬 모오루'(1982년)로 뒤를 이었다.

조기생활과 교육

발로군은 1945년 나이지리아의 아바에서 요루바 부모에게서 태어났다. 그의 아버지는 발로군 12세가 되던 해 죽을 때까지 아바에서 법도를 행하였다. 발로군이 처음 배운 언어는 이그보였다.[2] 1951년부터 1957년까지 아바 크라이스트 더 킹스쿨에 다녔고, 그 후 라고스 킹스 칼리지에 진학했다. 1962년부터 1963년까지 다카르 대학교, 프랑스 카엔 대학교(1963–66), 크리스토퍼 마일즈가 동료 학생이었던 연구소(1966년 ~ 1968년)에서 수학했다.

초기 경력

발로군은 나이지리아 내전 중에 나이지리아로 돌아왔고, 당시 나이지리아는 토착 영화 산업이 없었다. 1969년에는 나이지리아 연방정보부 영화부 소속의 대본작가로 활동하다가 그곳에 있는 나이지리아 대사관의 언론부속인으로 파리에 파견되었고, 파리에서는 샹고에 관한 희곡을 발표하였다. 나이지리아로 돌아와 이프대 아프리카학연구소에 소속되어 있었다.[6]

발로군 감독의 첫 작품은 나이지리아 내전에 대한 그의 인상을 다룬 다큐멘터리인 One Nigeria였다. 전쟁이 한창일 때 발로군도 프랑스 감시단을 이끌고 전쟁 전선에 나섰는데, 그곳에서 전쟁으로 인한 파괴를 목격했다. 원 나이지리아와 동 나이지리아에서 재방영된 다큐멘터리는 전쟁에 대한 그의 인상에 영향을 받았다. 나이지리아 영화제작의 선구자인 발로군 감독은 1970년대 초 첫 영화를 제작했다. 그의 1981년 영화 For Freedom!제12회 모스크바 국제 영화제에 참가하였다.[7]

1973년 독립 영화 회사인 아프로컬트 재단을 설립하였다.

영화 경력

발로건은 다큐멘터리를 제작한 후 파리에서 아프리카 에미그레에 관한 중간 길이의 영화인 알파(Alpha)를 제작했다. 그의 후속작은 비버로, 사고로 인해 장애를 갖게 된 친구의 이야기를 다룬 논픽션 이야기였다. 비브르에 이어 발로건은 나이지리아의 산업화 단계를 다룬 영화 니제르스틸 제작을 정부로부터 의뢰받았다. 그의 다음 영화 프로젝트는 미래의 목표를 찾는데 있어서 아프리카 문화와 전통을 포용하고 버리지 않는 주제를 다루었다. 1975년 개봉한 이 영화 아마디는 라고스 시에서 제한된 성공과 거의 성취하지 못한 채 마을로 되돌아가는 한 남자를 그린 이그보어 영화다. 마을에서 그는 배운 지식과 기술을 현대 농업 기법의 활용을 촉진하기 위해 사용했다.[8] 이 영화는 이그보 언어로 된 최초의 장편 영화로서 나이지리아 영화계에 새로운 장을 열었다.[4] 이 영화는 나이지리아 동부에서 성공을 거두었지만 다른 곳에서는 성공을 거두지 못했다.

발로군 최초의 토착 요루바어 영화 아자니 오군(Ajani Ogun)은 1975년 셀룰로이드 형태로 개봉한 뮤지컬이다. 이 영화는 아데 러브가 주연으로 나왔고, 제작진의 대다수는 두로 라디포의 순회 극단 출신이다. 발로건은 아자니 오군(Ajani Ogun)으로 더 많은 관객들에게 다가갔고, 이 영화의 성공으로 요루바 순회 극장에서 공연한 연극이 장편 영화에 채택되는 경우가 많아졌다. 아자니 오건의 성공 이후, 그의 다음 프로젝트는 더 많은 관객들에게 다가갈 수 있도록 피진(pidgin)과 영어로 제작된 영화 '뮤식맨'이었다. 하지만 이 영화는 재정적으로 성공적이지 못했다.[5] 발로군은 아데바요 팔레티의 소설 오모 올로쿤 에신을 각색한 이자 오미라와 함께 반격했다. 이 영화는 아자니 오군에서 그의 주연 배우인 아데 러브와 협력하여 제작되었다; 아데 러브는 또한 이자 오미라에서 주연 배우였다. 이자 오미라 촬영장에서 발로건과 아데 러브의 촬영에 어려움이 있었는데, 두 남자 모두 영화의 방향에 대해 사소한 의견 차이를 보였다. 발로건은 아데 러브의 '이자 오미라'에 이어 '검은 여신'으로도 알려진 '데우사 네그라'를 작곡하고 감독했다. 이 프로젝트는 브라질 엠브라필름이 배포한 나이지리아-브라질 합작품이었다. 브라질의 한 제작자는 발로군 감독의 이전 작품 중 일부를 보고 브라질에서 새 영화를 촬영해 달라고 부탁한 바 있다.[9] 약간의 긴장과 재정적인 어려움에도 불구하고 그는 1978년에 이 영화를 완성했다.

아이예(1979년)에서 발로군은 휴버트 오군데의 인기 연극 중 한 편의 연극을 장편 영화로 확대했다. 영화의 주제는 선과 악의 투쟁에 대한 고전적인 이야기였다. 선은 전통적인 사제나 바발라와오였고 악한 인물들은 마을의 마녀들이었다.[10] 많은 요루바 무대 배우들과 흑인 여신 출신의 몇몇 기술진을 고용한 아이예는 비록 이자 오미라와 마찬가지로 주연 배우 겸 공동 제작자인 발로군, 휴버트 오군데와 마찬가지로 영화의 방향에 대해 약간의 의견 불일치를 보였지만 재정적인 성공을 거두었다.[11]

1980년 발로군은 프루넬라 게알버트 홀을 주연으로 하여 크라이 프리덤(이전의 제목은 하라카)을 제작하였다.[6] 이 영화는 가나에서 촬영되었고, 발로건은 호세 메데이로스와 같은 기술자들을 사용했는데, 그는 이전에 그와 함께 A Deusa Negra에서 작업한 적이 있다.[9] '크라이 프리덤'은 메자 음왕이의 '카케이스 for Hounds'에서 영감을 받은 으로, 아프리카 국가에서 게릴라전으로 이어진 봉기에 관한 내용이다. 이 영화는 나이지리아 지식인들 사이에서 팬을 찾았지만, 많은 관객들에게 어필하지는 못했다.[12]

발로군(Balogun)이 바바 살라(Baba Sala)라고도 알려진 모세 올라이야(Moses Olaiya)와 협력한 것은 큰 예산인 오룬 모오루(Heaven is Hot)였다. 그 후 발로군은 요루바 연극단의 주연 배우들과 함께 일하는 것을 중단했다. 1982년, 그는 Money Power를 출시했다.

정치생활

발로군 총참모장은 바방기다 대통령 정치국 소속이었으나 이 기구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수단에 대한 우려로 사임했다.[13]

발로군은 그동안 FESPACO(와이가두구 파나프리칸 영화 및 텔레비전 페스티벌)의 정기 참석자였다.

필모그래피

연도 필름 감독 프로듀서 작가
1972 알파
1975 아자니오군
1975 아마디
1976 무식남
1978 이자오미라
1978 검은 여신
1979 아이예
1981 크라이 프리덤
1982 머니 파워
1982 오룬모오루
1988 니제르 강, 검은 어머니
1993 나이지리아의 마술
1994 목적지 바베이도스
1998 브라질의 신들

참조

  1. ^ 무비 유럽.
  2. ^ Jump up to: a b "Ola Balogun". Modern Ghana. Retrieved 29 September 2009.
  3. ^ Jump up to: a b c 우카다이크 1989, 페이지 229. (
  4. ^ Jump up to: a b 우카다이크 1989, 페이지 230. (
  5. ^ Jump up to: a b 우카다이크 1989, 페이지 234.
  6. ^ Jump up to: a b "발로군: '나는 그저 이 영화 저 영화 저 영화로 간다' (1980년 8월 30일) Screen International(아카이브: 1976–2000), 25. Proquest에서 검색됨.
  7. ^ "12th Moscow International Film Festival (1981)". MIFF.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1 April 2013. Retrieved 25 January 2013.
  8. ^ "프로듀서는 나이지리아 영화 제작을 요구한다"(1975년 9월 6일). 아프리카계 미국인(1893–1988) 프로퀘스트에서 검색됨.
  9. ^ Jump up to: a b Pfaff, Françoise (2004). Focus on African films. Bloomington, IN: Indiana University. pp. 255–256.
  10. ^ 우카다이크 1989, 페이지 236. (
  11. ^ Russell, Sharon. Guide to African Cinema. Greenwood Publishing. p. 32.
  12. ^ 우카다이크 1989, 페이지 238.
  13. ^ Elufiede, Babafemi (2010). Labor unions and politics : the experience of Nigerian working class. Bloomington, IN: Xlibris. p. 145.[자체 분석 소스]

원천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