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림피아 밀라노
Olimpia Milano올림피아 밀라노 | |||||||
---|---|---|---|---|---|---|---|
![]() | |||||||
닉네임 | 르스카페트 로제 (The Little Red Shoe) | ||||||
리그 | LBA 유로 리그 | ||||||
설립된 | 1930 | 1930||||||
역사 | 도폴라보로 볼레티 (1930–1947) 팔라카네스트로 올림피아 밀라노 (1947–현재) | ||||||
아레나 | 메디올라눔 포럼 | ||||||
용량. | 12,700[1] | ||||||
위치 | 아사고, 이탈리아 | ||||||
팀컬러 | 화이트,레드 | ||||||
메인스폰서 | EA7 엠포리오 아르마니 | ||||||
대통령 | 판탈레오 델로코 | ||||||
사령탑 | 에토레 메시나 | ||||||
팀 주장 | 니콜 ò 멜리 | ||||||
소유권 | 조르지오 아르마니 | ||||||
챔피언십 | 3 유로 리그 1 인터콘티넨털컵 3 사포르타 컵스 2 코라치컵 30 이탈리아 선수권 대회 8 이탈리안 컵 4 이탈리아 슈퍼컵 | ||||||
퇴역번호 | 3 (8, 11, 18) | ||||||
웹사이트 | olimpiamilano.com | ||||||
|
올림피아 밀라노 또는 EA7 엠포리오 아르마니 밀라노로 알려진 팔라카네스트로 올림피아 밀라노는 이탈리아 밀라노를 연고로 하는 LBA 이탈리아 프로 농구 팀입니다.[2]색상은 흰색과 빨간색이며, 구단 관계자들이 미국에서 선수들을 위한 빨간색 컨버스 올스타 신발을 수입했기 때문에 "스카페트 로제" (작은 빨간 신발)이라고 불리기도 합니다.태그 라인이 붙어서 오늘도 많은 팬들이 애칭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이탈리아 리그의 관례대로 스폰서십으로 인해 팀명이 자주 바뀌게 되었습니다.1930년부터 1955년까지, 그것은 Borletti Milano.1956년부터 1973년까지 이곳은 시멘탈(Simmenthal)로 이름이 바뀌었습니다.1980년대 빌리, 시맥, 트레이서, 필립스 등이 유명한 스폰서 이름이었습니다.과거 클럽 후원명에 대해서는 아래 목록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올림피아는 이탈리아 리그 챔피언십 30회, 이탈리아 내셔널 컵 8회, 이탈리아 슈퍼 컵 4회, 유로 리그 3회, FIBA 인터콘티넨털 컵 1회, FIBA 사포르타 컵 3회, FIBA 코라치 컵 2회, 그리고 많은 주니어 타이틀을 획득한 이탈리아에서 가장 성공적인 농구 클럽입니다.
2016년에는 이탈리아 농구 명예의 전당에 이름을 올렸습니다.
역사
탄생과 볼레티 시대 (1930-1955)
팔라카네스트로 올림피아 밀라노의 탄생은 전통적으로 첫 번째 이탈리아 리그 챔피언십 우승의 해인 1936년으로 거슬러 올라갑니다.사실 그것은 6년 전 (1930년) Fratelli Borletti 매니저들에 의해 "Dopolavoro Borletti"라는 이름으로 설립되었습니다.[3]볼레티 팀은 1936년부터 1939년까지 이탈리아 리그 챔피언십에서 4회 연속 우승했습니다.
1947년, 밀라노의 사업가 아돌포 보곤첼리는 팔라카네스트로 코모와 볼레티를 합병하여 흔히 "보롤림피아"라고 알려진 [4]새로운 사회를 만들었습니다."Borletti" 브랜드는 이탈리아 스포츠 역사상 첫 번째 스폰서가 되면서 팀의 주요 스폰서였습니다.[5]
1955년, 9번의 이탈리아 리그 챔피언십을 끝으로, 볼레티 브랜드는 올림피아 밀라노 유니폼을 떠났습니다.
시멘탈 시대 (1956-1973)
그 팀은 1950년대와 1960년대에 가브리엘레 비아넬로, 산드로 리미노치, 지안프랑코 피에리, 빌 브래들리 등의 선수들과 함께 이탈리아 리그 챔피언십에서 정기적으로 우승했습니다.1966년 올림피아는 FIBA 유러피언 챔피언스컵에서 첫 우승을 차지했습니다.
1970년대에는 유럽 전역에서 세 팀이 패권을 놓고 다투었습니다.올림피아 밀라노, 이그니스 바레세, 그리고 레알 마드리드.팔라카네스트로 바레세와 올림피아 밀라노는 서로 25마일(40km)이나 떨어져 있기 때문에 숙적이었습니다.밀라노는 이탈리아 리그에서 자주 우승했지만, 그들은 명망 있는 FIBA 유러피언 챔피언스 컵에서 다시 우승하지 못했습니다.1970년대 후반, 클럽의 질은 떨어졌지만 올림피아 밀라노는 여전히 FIBA 컵 위너스컵에서 우승을 차지했습니다.
1973년, 시몬탈 브랜드는 17년 만에 이탈리아 리그 챔피언십 10회 우승을 끝으로 올림피아 유니폼을 떠났습니다.
1974–2007
1970년대부터 1980년대까지 팀은 보셀리 쌍둥이(프랑코와 디노), 마이크 실베스터, 채스 메나티, 디노 메네긴, 마이크 단토니, 존 지아니, 로베르토 프리미어 등 여러 유명 선수들을 영입했습니다.밥 맥아두, 조 배리 캐롤, 러스 슈엔, 앙투안 카, 마이크 브라운.미국인 감독 댄 피터슨은 그 팀을 다시 두각을 나타내도록 이끌었습니다.
1980년대에 그 팀은 가베티 가문에 팔렸습니다.그 후, 그들은 9번의 세리에 A 결승전에 진출하여 5번의 우승을 거두었고, 1987년 팀은 세리에 A 우승, 1986-87 FIBA 유러피언 챔피언스컵 (1988년에도 우승: 두 결승전 모두 마카비 텔아비브를 상대로 우승), 이탈리아 컵 그리고 1987년 FIBA 클럽 월드컵에서 우승을 차지했습니다.이로 인해 구단은 탐내는 "트리플 크라운"과 더욱 드문 "쿼드러플 크라운"을 갖게 되었습니다.
포인트 가드 사샤 조르제비치가 이끄는 이 팀은 1993년 FIBA 코라치컵에서 또다시 우승을 차지했습니다.베피 스테파넬은 1994년에 구단을 인수하였고, 데얀 보디로가, 그레고르 푸치카, 산드로 데폴, 그리고 난도 젠틸레와 같은 유명한 유럽 선수들과 계약을 맺었습니다.1996년, 이탈리아 컵 우승과 클럽 창립 60주년을 기념하는 25번째 이탈리아 전국 선수권 대회 우승을 차지했습니다.
1998년부터 2004년까지 소유 그룹으로서 팀 관리는 일관성이 없었습니다.워렌 키드, 휴고 스코노치니, 클라우디오 콜드벨라, 페타르 나우모스키 등이 이 팀의 선수들입니다.2005년 구단주 코벨리는 2002년 세르히오 타치니로부터 구단을 인수했고, 아드리아노 갈리아니(이탈리아 축구 클럽 AC의 감독)가 측면을 맡았습니다. 밀라노), 마시모 모라티(라이벌 클럽 인테르나치오날레 회장), NBA 스타 코비 브라이언트, 스타일리스트 조르지오 아르마니 등이 아르마니 진 브랜드의 스폰서로 나섰습니다.리노 라르도 감독이 이끄는 올림피아는 국내 선수권 대회 결승전에 진출했지만, 결국 클라이마리오 볼로냐에게 패하고 말았습니다.
2006년 1월 25일, 유로 리그와 국내에서 실망스러운 시즌을 보낸 가운데, 조르제비치가 새 감독으로 선임되었습니다.그는 2006-07 시즌을 끝으로 감독직을 떠났지만, 2007-08 시즌에 올림피아의 UEFA 유로 본선 진출을 확정짓지는 못했습니다.
2008년~현재
2008년, 조르지오 아르마니는 조르지오 코르벨리로부터 팀을 인수하여, 경영 구조를 완전히 바꾸었고, 리비우 프롤리를 사장으로, 루치오 잔카를 총지배인으로 임명했습니다.피에로 부치는 새 팀의 감독으로 발탁되어 올림피아를 LEGA 바스켓에서 2위로 이끌었고, 두 경우 모두 몬테파스키 시에나에게 패했습니다.

2011년 1월, 23년 만에 감독 댄 피터슨이 은퇴 후 피에로 부치를 대신해 감독으로 복귀했습니다.하지만, 올림피아 밀라노에서의 그의 임기는 꽤 짧았습니다: 챔피언 결정전에 진출하지 못한 후, 6월 9일, 올림피아 밀라노는 세르히오 스카리올로를 2011-12 시즌의 새로운 감독으로 발표했습니다.2011-12 시즌에 계약한 첫 번째 선수는 파워 일렉트로닉스 발렌시아에서 지난 시즌을 뛰었던 미국 태생의 플레이 메이커 오마르 쿡이었습니다.NBA 로케이션으로 인해 다닐로 갈리나리는 모교로 돌아가 15경기(이탈리아 리그 8경기, 유로 리그 7경기)를 뛰었습니다.그는 12월에 팀을 떠났습니다.세르히오 스카리올로는 2013-14 시즌 초에 루카 반치로 교체되었고, 팀은 다비드 모스, 크리스티안 캉구르, 그리고 다니엘 해켓으로 몬테파스키 시에나에서 데려왔습니다.
마지막 출전 이후 16년 만에 유로리그 8강에 올랐지만 리그 우승팀 마카비 텔아비브에 패했습니다.팀은 LEGA 바스켓 정규시즌을 1위로 마쳤고, 플레이오프 결승 7차전에서는 올림피아가 18년 만에 이탈리아 리그 26번째 우승을 차지했습니다.올림피아의 주장 알레산드로 젠틸레가 결승전 최우수선수(MVP)로 선정됐습니다.
2017년 6월 29일, 시모네 피아니가 새 사령탑으로 선임되었고 2018년 6월 15일, 밀라노는 2018 LBA 결승전 6차전에서 돌로미티 에네르기아 트렌토를 꺾고 28번째 우승을 차지했습니다.[6]
2019년 6월 11일, 레전드 에토레 메시나는 구단의 새로운 감독이자 향후 3시즌간 모든 농구 운영의 회장으로 계약을 체결했습니다.[7]
2021년 5월 4일 유로리그 파이널 4에 29년 만에 진출했습니다([8]1992년 파이널 4).
로고스
-
(현재 구단의 비후원 로고)
-
(클럽 엠포리오 아르마니 시대 후원 로고)
-
(구단의 이전 비후원 로고).
경기장


아레나 | 사진 | 용량. | 몇 해 | 메모들 |
---|---|---|---|---|
비아 코스탄자 궁정 | — | 1930–1948 | OND Borletti 공장 야외 코트 | |
스포르트 델라 피에라 궁전 | ![]() | c. 18,000 | 1948-1960 | 밀라노 최초의 스포츠 궁전이자 당시 유럽에서 가장 큰 궁전 |
팔라 리도 | c. 10,000(3,500)* | 1960–1980 (1985)* | 농구 전용 실내 경기장 * (1985-86 시즌 임시 사용) | |
팔라스포르티 디 산 시로 | ![]() | c. 만오천 | 1980–1985 | 1985년 1월 17일, 폭설로 지붕이 무너지고 경기장이 폐쇄되었습니다. |
팔라트루사르디 | ![]() | 10,045 | 1986–1990 | 팔라보비스(PalaVobis), 마즈다 궁전(Mazda Palace), 팔라샤프(PalaSharp)라고도 함 |
메디올라눔 포럼 | ![]() ![]() | 12,700 | 1990년~현재 | 원래 이름은 아사고 포럼(The Forum of Assago)이었으나, 이전에는 휠라포럼(FilaForum)과 다치포럼(DatchForum)으로 알려졌습니다. |
보조 경기장
아레나 | 사진 | 용량. | 몇 해 | 메모들 |
---|---|---|---|---|
팔라 리도 | 3,800 | 1990–2011 | Mediolanum Forum을 사용할 수 없을 때 사용됨 | |
팔라 데시오 | ![]() | 6,700 | 2011–2019 | 2011년, 오래된 팔라 리도는 파괴되어 재건되었습니다.팔라데시오(PalaDesio)는 새 경기장을 건설하는 동안 보조 경기장으로 사용되었습니다. |
알리안츠 구름 | 5,347 | 2019년~현재 | 옛 팔라리도를 대신해 지어졌으며, 메디올라눔 포럼이 불가능할 때 사용합니다. |
올림피아 밀라노는 거의 20년 동안 Via Costanza의 OND Borletti 야외 코트를 사용했습니다.1940년대 중반, 그들은 18,000명의 좌석을 수용할 수 있는 Palazzo dello Sport della Fiera로 이전했고, 그 당시 유럽에서 가장 큰 실내 스포츠 경기장이었고, 뉴욕의 Madison Square Garden 다음으로 큰 실내 스포츠 경기장이었습니다.1960년, 스포르트 델라 피에라 광장은 버려졌고, 올림피아는 팔라 리도의 원래 구조물로 옮겨졌는데, 당시 3,500명의 더 작은 좌석을 가지고 있었지만, 당시 보안 조치가 없었기 때문에 종종 10,000명까지 사람들로 채워졌습니다.
1970년대 말, 올림피아는 메자 경기장 옆에 지어진 다목적 시설인 새로 지어진 팔라스포르트 디 산 시로에 입주했는데, 이 시설은 약 15,000명의 관중을 수용할 수 있었습니다.1985년, 팔라스포르트 디 산 시로의 지붕이 무너지고 올림피아는 팔라 리도로 돌아와 한 시즌 동안 임시 경기장 건설을 기다렸습니다.1986년, 그들은 최근에 지어진 10,045석의 팔라 트루사르디로 이사했고, 그곳에서 1990년대 초까지 연주했습니다.
그 후 클럽은 12,700명의 좌석을 수용할 수 있는 현재의 홈 경기장인 메디올라눔 포럼으로 이전했습니다.[9]클럽은 또한 6,700석 규모의 팔라 데시오에서 홈경기를 치렀습니다.최근 구단은 리모델링 후 새로 재건축해 현대화한 팔라 리도(알리안츠 클라우드)로 복귀하는 방안을 검토했고, 좌석 규모를 확대했습니다.그러나 클럽은 새로운 알리안츠 클라우드에 비해 훨씬 더 큰 좌석 수용 능력 때문에 결국 메디올라눔 포럼을 홈 경기장으로 계속 사용하기로 결정했습니다.하지만 메디아넘 포럼이 불가능할 때는 새로운 아레나를 사용합니다.
명예
국내대회
- 30회 우승자: 1935-36, 1936-37, 1937-38, 1938-39, 1949-50, 1950-51, 1951-52, 1952-53, 1953-54, 1956-57, 1957-58, 1958-60, 1959-60, 1961-62, 1962-63, 1964-65, 1965-66, 1966-67, 1971-72, 1981-82, 1984-85, 1985-86, 1986-87, 1988-89, 1995-96, 2013-14, 2015-16, 2017-18, 2021-22, 2022-23
- 준우승 (18): 1934, 1940-41, 1955-56, 1963-64, 1968-69, 1969-70, 1970-71, 1972-73, 1973-74, 1978-79, 1982-83, 1983-84, 1987-88, 1990-91, 2004-05, 2008-09, 2009-10, 2011-12, 2020-21
- 우승팀 (8): 1971-72, 1985-86, 1986-87, 1995-96, 2015-16, 2016-17, 2020-21, 2021-22
- 준우승 (2): 1969-70, 2014-15
유럽대항전
- 우승팀 (3): 1965-66, 1986-87, 1987-88
- 준우승 (2): 1966-67, 1982-83
- 준결승 진출자(3명): 1963-64, 1967-68, 1972-73, 1985-86
- 3위 (2): 1991-92, 2020-21
- 파이널 4 (5): 1966, 1967, 1988, 1992, 2021
- FIBA 사포르타컵 (결함)
- FIBA 코라치컵 (결함)
- 유럽 농구 클럽 슈퍼컵 (semi-공식, 소멸)
- 라틴 컵 (결함)
전 세계 대회
- 맥도날드 챔피언십 (결함)
비공식
- 우승팀 (1): 1986-87
- 우승팀(1): 1971-72
기타 경기
- 카스텔란자, 이탈리아 인비테이셔널 게임
- 수상자 (1): 2007
- 메모리얼 디 툴리오 로클리처
- 수상자 (1): 2007
- 토르네오 카올레
- 수상자 (2): 2007, 2011
- 레지오 에밀리아, 이탈리아 인비테이셔널 게임
- 수상자 (1): 2008
- 토르네오롬바르디아
- 수상자 (2): 2009, 2016
- 토르네오 카스텔레토 티치노
- 수상자 (3): 2009, 2018, 2019
- 베로나, 이탈리아 인비테이셔널 게임
- 수상자 (1): 2011
- 트로페오 데 에헤아 데 로스 카바예로스
- 수상자 (1): 2011
- 베오그라드, 세르비아 인비테이셔널 게임
- 수상자 (1): 2014
- 토르네오 델 서킷오 델라 발텔리나
- 수상자 (1): 2014
- 트로페오 기념관 지아니 브루시넬리
- 수상자 (1): 2016
- 토르네오 로바리
- 수상자 (1): 2017
- 토르네오 루카
- 수상자(1): 2019
- 밀라노, 이탈리아 인비테이셔널 게임
- 수상자(1): 2019
플레이어
현재 로스터
올림피아 밀라노 선수 명단 | |||||||||||||||||||||||||||||||||||||||||||||||||||||||||||||||||||||||||||||||||||||||||||||||||||||||||||||||||||||||||||||||||||||||||
---|---|---|---|---|---|---|---|---|---|---|---|---|---|---|---|---|---|---|---|---|---|---|---|---|---|---|---|---|---|---|---|---|---|---|---|---|---|---|---|---|---|---|---|---|---|---|---|---|---|---|---|---|---|---|---|---|---|---|---|---|---|---|---|---|---|---|---|---|---|---|---|---|---|---|---|---|---|---|---|---|---|---|---|---|---|---|---|---|---|---|---|---|---|---|---|---|---|---|---|---|---|---|---|---|---|---|---|---|---|---|---|---|---|---|---|---|---|---|---|---|---|---|---|---|---|---|---|---|---|---|---|---|---|---|---|---|---|
플레이어 | 코치스 | ||||||||||||||||||||||||||||||||||||||||||||||||||||||||||||||||||||||||||||||||||||||||||||||||||||||||||||||||||||||||||||||||||||||||
|
업데이트됨:2023년10월5일 |
참고: 국기는 FIBA가 승인한 이벤트에서 국가대표팀 자격을 나타냅니다.플레이어는 FIBA가 아닌 다른 국적을 보유할 수 있으며 표시되지 않습니다.
깊이 차트
포스. | 시작 5 | 벤치 1 | 벤치2 | 벤치3 | 활발하지 않은 |
---|---|---|---|---|---|
C | 카일 하인스 | 알렉스 포이스트레스 | 이스마 ë 가마가테 | 굴리엘모 카루소 | |
PF | 니콜라 미로티치 | 니콜 ò 멜리 | 요하네스 보이그만 | ||
SF | 샤본 쉴즈 | 지암파올로 리치 | |||
SG | 데본 홀 | 스테파노토넛 | 디에고 플라카도리 | 빌리 바론 ![]() | |
PG | 케빈 판고스 | 마오도 로 | 조르다노 보르톨라니 |
퇴역번호
올림피아 밀라노 은퇴자 수 | ||||||
---|---|---|---|---|---|---|
아니요. | 낫. | 플레이어 | 위치 | 재직기간 | 은퇴일 | 참조. |
8 | ![]() ![]() | 마이크 단토니 | PG | 1977–1990 | 2015 | [10] |
11 | ![]() | 디노 메네긴 | C | 1980–1990 1993-1994 | 2019 | [11][12][13] |
18 | ![]() | 아트 케니 | PF/C | 1970–1973 | 2013 | [14] |
계절별
계절 | 티어 | 리그 | 포스. | 플레이오프. | 컵 | 유럽대항전 | 코치 | 메인 스폰서 | |
---|---|---|---|---|---|---|---|---|---|
1935-36 | 1 | 세리에 A | 첫 번째 | 지아니노 발리 | 볼레티 | ||||
1936-37 | 1 | 세리에 A | 첫 번째 | 지아니노 발리 | 볼레티 | ||||
1937-38 | 1 | 세리에 A | 첫 번째 | 지아니노 발리 | 볼레티 | ||||
1938-39 | 1 | 세리에 A | 첫 번째 | 지아니노 발리 | 볼레티 | ||||
1939-40 | 1 | 세리에 A | 일곱번째 | 지아니노 발리 | 볼레티 | ||||
1940-41 | 1 | 세리에 A | 두번째 | 지아니노 발리 | 볼레티 | ||||
1941-42 | 1 | 세리에 A | 5번째 | 지아니노 발리 | 볼레티 | ||||
1942-43 | 1 | 세리에 A | 5번째 | 지아니노 발리 | 볼레티 | ||||
1945-46 | 1 | 세리에 A | 2라운드 | 볼레티 | |||||
1946-47 | 1 | 세리에 A | 1라운드 | 움베르토 페델리 | 볼레티 | ||||
1947-48 | 1 | 세리에 A | 두번째 | 움베르토 페델리 | 볼레티 | ||||
1948-49 | 1 | 세리에 A | 3번째 | 체사레 루비니 | 볼레티 | ||||
1949-50 | 1 | 세리에 A | 첫 번째 | 체사레 루비니 | 볼레티 | ||||
1950-51 | 1 | 세리에 A | 첫 번째 | 체사레 루비니 | 볼레티 | ||||
1951-52 | 1 | 세리에 A | 첫 번째 | 체사레 루비니 | 볼레티 | ||||
1952-53 | 1 | 세리에 A | 첫 번째 | 체사레 루비니 | 볼레티 | ||||
1953-54 | 1 | 엘레트 | 첫 번째 | 체사레 루비니 | 볼레티 | ||||
1954-55 | 1 | 엘레트 | 3번째 | 체사레 루비니 | 볼레티 | ||||
1955-56 | 1 | 엘레트 | 두번째 | 체사레 루비니 | 시멘탈 | ||||
1956-57 | 1 | 엘레트 | 첫 번째 | 체사레 루비니 | 시멘탈 | ||||
1957-58 | 1 | 엘레트 | 첫 번째 | 1 유러피언 챔피언스컵 | 준준결승 진출자 | 체사레 루비니 | 시멘탈 | ||
1958-59 | 1 | 엘레트 | 첫 번째 | 체사레 루비니 | 시멘탈 | ||||
1959-60 | 1 | 엘레트 | 첫 번째 | 체사레 루비니 | 시멘탈 | ||||
1960-61 | 1 | 엘레트 | 3번째 | 체사레 루비니 | 시멘탈 | ||||
1961-62 | 1 | 엘레트 | 첫 번째 | 체사레 루비니 | 시멘탈 | ||||
1962-63 | 1 | 엘레트 | 첫 번째 | 1 유러피언 챔피언스컵 | 준준결승 진출자 | 체사레 루비니 | 시멘탈 | ||
1963-64 | 1 | 엘레트 | 두번째 | 1 유러피언 챔피언스컵 | 준결승 진출자 | 체사레 루비니 | 시멘탈 | ||
1964-65 | 1 | 엘레트 | 첫 번째 | 체사레 루비니 | 시멘탈 | ||||
1965-66 | 1 | 세리에 A | 첫 번째 | 1 유러피언 챔피언스컵 | 챔피언 | 체사레 루비니 | 시멘탈 | ||
1966-67 | 1 | 세리에 A | 첫 번째 | 1 유러피언 챔피언스컵 | 준우승 | 체사레 루비니 | 시멘탈 | ||
1967-68 | 1 | 세리에 A | 4번째 | 1 유러피언 챔피언스컵 | 준결승 진출자 | 체사레 루비니 | 시멘탈 | ||
1968-69 | 1 | 세리에 A | 두번째 | 8강 진출자 | 체사레 루비니 | 시멘탈 | |||
1969-70 | 1 | 세리에 A | 두번째 | 준우승 | 체사레 루비니 | 시멘탈 | |||
1970-71 | 1 | 세리에 A | 첫 번째 | 준우승 | 3번째 | 2 유러피언컵위너스컵 | 챔피언 | 체사레 루비니 | 시멘탈 |
1971-72 | 1 | 세리에 A | 첫 번째 | 챔피언 | 2 유러피언컵위너스컵 | 챔피언 | 체사레 루비니 | 시멘탈 | |
1972-73 | 1 | 세리에 A | 첫 번째 | 준우승 | 준준결승 진출자 | 1 유러피언 챔피언스컵 | 준결승 진출자 | 체사레 루비니 | 시멘탈 |
1973-74 | 1 | 세리에 A | 두번째 | 준준결승 진출자 | 3 코라치컵 | R12 | 체사레 루비니 | 인노첸시오 | |
1974-75 | 1 | 세리에 A1 | 3번째 | 3기(2기) | 3 코라치컵 | R16 | 필리포 파이나 | 인노첸시오 | |
1975-76 | 1 | 세리에 A1 | 열한번째 | 세리에 A2로 강등 | 2 유러피언컵위너스컵 | 챔피언 | 필리포 파이나 | 친자노 | |
1976-77 | 2 | 세리에 A2 | 첫 번째 | 4번째 (2단계) | 2 유러피언컵위너스컵 | 준결승 진출자 | 필리포 파이나 | 친자노 | |
1977-78 | 1 | 세리에 A1 | 6번째 | 4번째 (2단계) | 3 코라치컵 | 준결승 진출자 | 필리포 파이나 | 친자노 | |
1978-79 | 1 | 세리에 A1 | 5번째 | 준우승 | 댄 피터슨 | 빌리 | |||
1979-80 | 1 | 세리에 A1 | 첫 번째 | 준결승 진출자 | 댄 피터슨 | 빌리 | |||
1980-81 | 1 | 세리에 A1 | 두번째 | 준결승 진출자 | 댄 피터슨 | 빌리 | |||
1981-82 | 1 | 세리에 A1 | 3번째 | 챔피언 | 댄 피터슨 | 빌리 | |||
1982-83 | 1 | 세리에 A1 | 두번째 | 준우승 | 1 유러피언 챔피언스컵 | 준우승 | 댄 피터슨 | 빌리 | |
1983-84 | 1 | 세리에 A1 | 첫 번째 | 준우승 | 준결승 진출자 | 2 사포르타컵 | 준우승 | 댄 피터슨 | 시맥 |
1984-85 | 1 | 세리에 A1 | 두번째 | 챔피언 | 준준결승 진출자 | 3 코라치컵 | 챔피언 | 댄 피터슨 | 시맥 |
1985-86 | 1 | 세리에 A1 | 첫 번째 | 챔피언 | 챔피언 | 1 유러피언 챔피언스컵 | 준결승 진출자 | 댄 피터슨 | 시맥 |
1986-87 | 1 | 세리에 A1 | 4번째 | 챔피언 | 챔피언 | 1 유러피언 챔피언스컵 | 챔피언 | 댄 피터슨 | 트레이서 |
1987-88 | 1 | 세리에 A1 | 두번째 | 준우승 | 8강 진출자 | 1 유러피언 챔피언스컵 | 챔피언 | 프랑코 카살리니 | 트레이서 |
1988-89 | 1 | 세리에 A1 | 5번째 | 챔피언 | 준결승 진출자 | 3 코라치컵 | 준결승 진출자 | 프랑코 카살리니 | 필립스 |
1989-90 | 1 | 세리에 A1 | 열번째 | 8강 진출자 | RS | 1 유러피언 챔피언스컵 | R16 | 프랑코 카살리니 | 필립스 |
1990-91 | 1 | 세리에 A1 | 첫 번째 | 준우승 | 준우승 | 마이크 단토니 | 필립스 | ||
1991-92 | 1 | 세리에 A1 | 3번째 | 준준결승 진출자 | 준준결승 진출자 | 1 유러피언 리그 | 3번째 | 마이크 단토니 | 필립스 |
1992-93 | 1 | 세리에 A1 | 두번째 | 준준결승 진출자 | 준준결승 진출자 | 3 코라치컵 | 챔피언 | 마이크 단토니 | 필립스 |
1993-94 | 1 | 세리에 A1 | 5번째 | 준준결승 진출자 | 8강 진출자 | 3 코라치컵 | 준결승 진출자 | 마이크 단토니 | 레코아로 |
1994-95 | 1 | 세리에 A1 | 4번째 | 준결승 진출자 | 준결승 진출자 | 3 코라치컵 | 준우승 | 보그단 탄제비치 | 스테파넬 |
1995-96 | 1 | 세리에 A1 | 5번째 | 챔피언 | 챔피언 | 3 코라치컵 | 준우승 | 보그단 탄제비치 | 스테파넬 |
1996-97 | 1 | 세리에 A1 | 4번째 | 준결승 진출자 | 3번째 | 1 유로 리그 | 준준결승 진출자 | 프랑코 마르셀레티 | 스테파넬 |
1997-98 | 1 | 세리에 A1 | 6번째 | 8강 진출자 | 준결승 진출자 | 2 유로컵 | 준우승 | 프랑코 마르셀레티 | 스테파넬 |
1998-99 | 1 | 세리에 A1 | 5번째 | 준준결승 진출자 | 8강 진출자 | 2 사포르타컵 | R32 | 마르코 크레스피 | 소니 |
1999-00 | 1 | 세리에 A1 | 13일 | 준준결승 진출자 | 2 사포르타컵 | R16 | 마르코 크레스피 | 아데코 | |
2000-01 | 1 | 세리에 A1 | 15일 | 발레리오 비앙키니 | 아데코 | ||||
2001–02 | 1 | 세리에 A | 17일 | 구이도 사이베네 | 아데코 | ||||
2002–03 | 1 | 세리에 A | 5번째 | 16강 | 준준결승 진출자 | 아틸리오 카자 | 삐뽀 | ||
2003–04 | 1 | 세리에 A | 열번째 | 2 ULEB컵 | T16 | 아틸리오 카자 | 브릴 | ||
2004–05 | 1 | 세리에 A | 4번째 | 준우승 | 준준결승 진출자 | 리노 라르도 | 아르마니 진 | ||
2005–06 | 1 | 세리에 A | 일곱번째 | 준준결승 진출자 | 준준결승 진출자 | 1 유로리그 | RS | 리노 라르도 | 아르마니 진 |
2006–07 | 1 | 세리에 A | 두번째 | 준결승 진출자 | 준결승 진출자 | 알렉산다르 조르제비치 | 아르마니 진 | ||
2007–08 | 1 | 세리에 A | 5번째 | 준결승 진출자 | 1 유로리그 | RS | 자레 마르코프스키 | 아르마니 진 | |
2008–09 | 1 | 세리에 A | 6번째 | 준우승 | 1 유로리그 | T16 | 피에로 부치 | 아르마니 진 | |
2009–10 | 1 | 세리에 A | 3번째 | 준우승 | 준준결승 진출자 | 1 유로리그 | RS | 피에로 부치 | 아르마니 진 |
2010–11 | 1 | 세리에 A | 3번째 | 준결승 진출자 | 준준결승 진출자 | 1 유로리그 | RS | 피에로 부치 | 아르마니 진 |
2011–12 | 1 | 세리에 A | 두번째 | 준우승 | 준결승 진출자 | 1 유로리그 | T16 | 세르히오 스카리올로 | EA7 엠포리오 아르마니 |
2012–13 | 1 | 세리에 A | 4번째 | 준준결승 진출자 | 준준결승 진출자 | 1 유로리그 | RS | 세르히오 스카리올로 | EA7 엠포리오 아르마니 |
2013–14 | 1 | 세리에 A | 첫 번째 | 챔피언 | 준준결승 진출자 | 1 유로리그 | QF | 루카 반치 | EA7 엠포리오 아르마니 |
2014–15 | 1 | 세리에 A | 첫 번째 | 준결승 진출자 | 준우승 | 1 유로리그 | T16 | 루카 반치 | EA7 엠포리오 아르마니 |
2015–16 | 1 | 세리에 A | 첫 번째 | 챔피언 | 챔피언 | 1 유로리그 | RS | 야스민 레페샤 | EA7 엠포리오 아르마니 |
2016–17 | 1 | 세리에 A | 첫 번째 | 준결승 진출자 | 챔피언 | 1 유로 리그 | 16일 | 야스민 레페샤 | EA7 엠포리오 아르마니 |
2017–18 | 1 | 세리에 A | 두번째 | 챔피언 | 준준결승 진출자 | 1 유로 리그 | 15일 | 시모네 피아니아니 | EA7 엠포리오 아르마니 |
2018–19 | 1 | 세리에 A | 첫 번째 | 준결승 진출자 | 준준결승 진출자 | 1 유로 리그 | 열두번째 | 시모네 피아니아니 | AX아르마니익스체인지 |
2019–20 | 1 | 세리에 A | 4번째[a] | 준결승 진출자 | 1 유로 리그 | — | 에토레 메시나 | AX아르마니익스체인지 | |
2020–21 | 1 | 세리에 A | 첫 번째 | 준우승 | 챔피언 | 1 유로 리그 | 3번째 | 에토레 메시나 | AX아르마니익스체인지 |
2021–22 | 1 | 세리에 A | 두번째 | 챔피언 | 챔피언 | 1 유로 리그 | QF | 에토레 메시나 | AX아르마니익스체인지 |
2022–23 | 1 | 세리에 A | 첫 번째 | 챔피언 | 준준결승 진출자 | 1 유로 리그 | 열두번째 | 에토레 메시나 | AX아르마니익스체인지 |
유럽 및 월드와이드 대회 최고 성적
계절 | 성취 | 메모들 | |
---|---|---|---|
유로 리그 | |||
1957–58 | 준준결승 | 혼베드에게 탈락, 밀라노에서 80-72 (W), 부다페스트에서 85-95 (L) | |
1962–63 | 준준결승 | 디나모 트빌리시, 트빌리시에서 70-65 (W), 밀라노에서 68-74 (L)로 탈락 | |
1963–64 | 준결승전 | 레알 마드리드에 패해 밀란에서는 82-77 (W), 마드리드에서는 78-101 (L)로 탈락했습니다. | |
1965–66 | 챔피언스 | 준결승전에서 CSKA 모스크바를 68-57로 이겼고, 볼로냐/밀란에서 열린 결승전에서 슬라비아 VSH 프라하를 77-72로 이겼습니다. | |
1966–67 | 최종 | 준결승전에서 슬라비아 VSH 프라하를 103-97로 이겼고, 결승전에서 레알 마드리드에게 83-91로 졌습니다. | |
1967–68 | 준결승전 | 스파르타크 ZJSH Brno에 의해 탈락, 밀라노에서 64-63 (W), Brno에서 86-103 (L) | |
1972–73 | 준결승전 | 이그니스 바레세에 의해 탈락, 밀라노에서 72-97 (L), 바레세에서 100-115 (L) | |
1982–83 | 최종 | 결승전에서 포드 캔트 ù에 68-69로 패함 (그레노블) | |
1985–86 | 준결승 조별리그 | 시보나, ž알기리스, 레알 madrid드, 마카비 텔아비브, 리모주스 CSP와 함께 한 조 3위 | |
1986–87 | 챔피언스 | 로잔에서 열린 유러피언 챔피언스컵 결승전에서 마카비 텔아비브를 71-69로 물리쳤습니다. | |
1987–88 | 챔피언스 | 준결승전에서 아리스를 87-82로 이겼고, 겐트에서 열린 결승전에서 마카비 텔아비브를 90-84로 이겼습니다. | |
1989–90 | 준준결승 | FC바르셀로나, 유고플라스티카, 리모주 CSP, 아리스, 마카비 텔아비브, 코모도어 덴 헬더, 레흐 포즈나와 함께 한 조 5위 | |
1991–92 | 파이널 포 | 이스탄불 3위 파르티잔과의 준결승전에서 75-82로 패했고, 3위전에서 에스투디안테스 카자 포스트를 99-81로 이겼습니다. | |
1996–97 | 준준결승 | 밀라노에서 94-90 (W), 류블랴나에서 69-73 (L), 밀라노에서 61-77 (L)로 스멜트 올림피야에게 2-1로 탈락. | |
2013–14 | 준준결승 | 마카비 텔아비브, 밀라노 99-101 (L), 91-77 (W), 텔아비브 63-75 (L), 66-86 (L)에 3-1로 탈락 | |
2020–21 | 파이널 포 | 쾰른 3위 FC 바르셀로나와의 준결승전에서 82-84로 패하였고, 3위 CSKA 모스크바와의 경기에서 83-73으로 이겼습니다. | |
FIBA 사포르타컵 | |||
1970–71 | 챔피언스 | FIBA 유러피언 컵위너스컵 더블 결승전에서 레닌그라드에서 스파르타크 레닌그라드를 56-66 (L), 밀라노에서 71-52 (W)로 물리쳤습니다. | |
1971–72 | 챔피언스 | 테살로니키에서 열린 FIBA 유러피언컵 위너스컵 결승전에서 크르베나 즈베즈다를 74-70으로 물리쳤습니다. | |
1975–76 | 챔피언스 | 토리노에서 열린 FIBA 유러피언컵 위너스컵 결승전에서 ASPO 투어를 88-83으로 물리쳤습니다. | |
1976–77 | 준결승전 | 포트 칸트 ù에 의해 탈락하였고, 칸트 ù에서 78-101 (L), 밀란에서 98-95 (W)로 탈락하였습니다. | |
1983–84 | 최종 | 결승전에서 레알 마드리드에 81-82로 패함 (오스텐드) | |
1997–98 | 최종 | 결승전에서 ž알기리스에게 67-82로 패함 (벨그레이드) | |
FIBA 코라치컵 | |||
1977–78 | 준결승전 | 밀라노에서 79-76 (W), 사라예보에서 81-101 (L)로 보스나에 의해 탈락했습니다. | |
1984–85 | 챔피언스 | 브뤼셀에서 열린 FIBA 코라치컵 결승전에서 차오크렘 바레세를 91-78로 물리쳤습니다. | |
1988–89 | 준결승전 | 위와 비스마라 칸트 ù, 칸트 ù에서 81-95 (L), 밀란에서 70-65 (W)로 탈락 | |
1992–93 | 챔피언스 | FIBA 코라치컵 더블 결승에서 로마에서 95-90(W), 밀라노에서 106-91(W)로 비투스 로마를 물리쳤습니다. | |
1993–94 | 준결승전 | 스테파넬 트리에스테에 의해 탈락, 트리에스테에서 79-96 (L), 밀란에서 103-96 (W) | |
1994–95 | 최종 | 밀라노에서 87-87 (D), 베를린에서 79-85 (L)로 알바 베를린에 패했습니다. | |
1995–96 | 최종 | 이스탄불에서는 68-76 (L), 밀라노에서는 77-70 (W)로 Efes Pilsen에게 패했습니다. | |
유로컵 농구 | |||
2015–16 | 준준결승 | 돌로미티 에네르기아 트렌토에 의해 탈락, 트렌토에서 73-83 (L), 밀란에서 79-92 (L). | |
FIBA 대륙간컵 | |||
1967 | 3위 | 로마의 3위는 준결승전에서 이그니스 바레세에게 70-79로 패했고, 3위전에서 코린토스를 90-89로 이겼습니다. | |
1968 | 3위 | 준결승전에서 레알 마드리드에 84-93으로 패한 필라델피아 3위 보타포고 3위전에서 82-54로 이겼습니다. | |
1983 | 5위 | 부에노스아이레스에서 열린 리그 토너먼트에서 2승 3패로 5위를 차지했습니다. | |
1987 | 챔피언스 | 밀라노에서 열린 FIBA 클럽 월드컵 결승전에서 FC 바르셀로나를 100-84로 이겼습니다. | |
맥도날드 챔피언십 | |||
1987 | 3위 | 밀워키 벅스, 소련과 함께한 밀워키 3개 팀 토너먼트 3위 | |
1989 | 3위 | 로마 3위 FC 바르셀로나와의 준결승전에서 97-102로 패한 로마 3위 FC 바르셀로나와의 경기에서 136-104로 이겼습니다. |
NBA팀과의 경기
협찬사

수년간 후원 계약으로 인해 다음과 같이 알려지기도 했습니다.[15]
- 볼레티 (1930–1955)
- 시멘탈 (1955년 ~ 1973년)
- 이노켄티 (1973년 ~ 1975년
- 친자노 (1975년 ~ 1978년)
- 빌리 (1978–1983)
- 시맥 (1983년 ~ 1986년)
- 트레이서 (1986 ~ 1988)
- 필립스 (1988~1993)
- 레코아로 (1993-94)
- 스테파넬 (1994–1998)
- 소니 (1998-99)
- 아데코 (1999년 ~ 2002년)
- 삐뽀 (2002-03)
- 브릴 (2003-04)
- 아르마니 청바지(2004~2011)
- EA7 엠포리오 아르마니 (2011~2018)
- AX 아르마니 거래소 (2018~현재)[16]
주목할 만한 선수
참고: 국기는 FIBA가 승인한 이벤트에서 국가대표팀 자격을 나타냅니다.플레이어는 FIBA가 아닌 다른 국적을 보유할 수 있으며 표시되지 않습니다.
기준 |
---|
이 섹션에 나타나려면 플레이어에게 다음 중 하나가 있어야 합니다.
|
#9 체사레 루비니 (1948–1957)
7위 세르히오 스테파니니 (1949–1955)
5위 엔리코 파가니 (1949–1960)
#3 로미오 로마누티 (1950–1958)
#8 산드로 감바 (1950-1963)
#7 지안프랑코 피에리 (1955-1968)
#10 산드로 리미누치 (1956–1970)
#9 파올로 비토리 (1959–1965)
#6 가브리엘레 비아넬로 (1962-1967)
#8 마시모 마시니 (1963–1974)
#5 줄리오 이엘리니 (1964–1975)
#9 스킵 토렌 (1965-1966)
15위 빌 브래들리 (1965-1966)
#18, #9 비토리오 페라치니 (1967–1969, 1973–1983)
#6 주세페 브루마티 (1967–1977)
#13 렌조 바리비에라 (1969–1975)
#18 (Ret) 아트 케니 (1970-1973)
마이크 실베스터 (1975–1980)
#12 Vittorio Gallinari (1976–1987)
#8 (은퇴) Mike D'Antoni (1977–1990)
#11 (은퇴) 디노 메네긴 (1980–1990, 1993–1994)
10위 로베르토 프리미어 (1981–1989)
#15 Joe Barry Carroll (1984–1985)
#14 러스 슈엔 (1984-1986)
7위 리카르도 피티스 (1984–1993)
13위 켄 바로우 (1986–1987)
15위 밥 맥아두 (1986-1990)
13위 리키 브라운 (1987–1988)
12위 안토넬로 리바 (1989-1994)
15위 대릴 도킨스 (1991–1992)
안토니오 데이비스 (1992–1993)
#4, #19 알렉산다르 조르제비치 (1992-1994, 2005)
휴고 스코노치니 (1993–1995, 2002–2004)
10위 데얀 보디로가 (1994-1996)
7위 그레고르 푸치카 (1994–1997)
5위 페르디난도 젠틸레 (1994–1998)
15위 롤란도 블랙맨 (1995-1996)
9위 마르코 모르덴테 (1996–2000, 2008–2011)
조르고스 시갈라스 (1997–1998)
12위 멜빈 부커 (1998-1999, 2007-2008)
마시모 불레리 (2005–2008, 2008–2009, 2009–2010)
8위 다닐로 갈리나리 (2006–2008, 2011)
민다우가스 카테나스 (2007–2009)
14위, 34위 데이비드 호킨스 (2008-2009, 2010-2011)
12위 리처드 메이슨 로카 (2008–2012)
#8 요나스 마추리스 (2009–2011)
마리요나스 페트라비치우스 (2009–2011)
스테파노 만치넬리 (2009–2012)
- #9, #18 니콜 ò 멜리 (2010–2015)
15위 요안니스 부루시스 (2011–2013)
말리크 헤어스턴 (2011–2013)
#25, #5 알레산드로 젠틸레 (2011–2016)
23위 키스 랭포드 (2012–2014)
55위 커티스 제럴스 (2013–2014, 2017–2019)
#24 Samardo Samuels (2013–2015)
13위 밀라노 마흐반 (2015-2017)
#43 크루노슬라프 시몬 (2015–2017)
21위 라킴 샌더스 (2016-2017)
만타스칼니티스 (2016–2018)
#0 드류 구들록 (2017~2018)
9위 다이리스 베르탄스 (2017 ~ 2019)
5위 블라디미르 미코프 (2017–2021)
#77 아르투라스 구다이티스 (2017-2020)
19위 민다우가스 쿠즈민스카스 (2018 ~ 2019)
#00 아메데오 델라 발레 (2018~2020)
32위 제프 브룩스 (2018 ~ 2021)
13위 세르히오 로드리게스 (2019-2022)
#42 카일 하인스(2020~현재)
#70 루이지 다톰(2020~2023)
#2 티모테 루와우 카바로트 (2022–2023)
메모들
참고문헌
- ^ 치 시아모(이탈리아어).
- ^ "CI SIAMO: L'OLIMPIA TORNA EA7 E DOMANI SCATTA LA CAMPAGNA ABBONAMENTI "TUTTI #INSIEME"" [Here we go: Olimpia gets EA7 back and starts the season ticket campaign "All #together" tomorrow]. olimpiamilano.com (in Italian). 7 July 2022. Retrieved 14 July 2022.
- ^ "Le sedici squadre della Divisione Nazionale" [The sixteen teams of the National Division]. Il Littoriale (in Italian). 20 November 1936. Retrieved 15 July 2021.
- ^ "Olimpia, a star is born". www.olimpiamilano.com. 15 July 2021. Retrieved 15 July 2021.
- ^ Giuseppe Liotta,Laura Santoro (2009). Giuffrè Editore (ed.). Lezioni di diritto sportivo [Sports law lessons]. p. 146. ISBN 978-88-14-14568-1.
- ^ "Domestic leagues roundup: June 15, 2018". euroleague.net. 15 June 2018. Retrieved 16 June 2018.
- ^ "Legend Messina takes reins in Milan". euroleague.net. 11 June 2019. Retrieved 11 June 2019.
- ^ "Final Four-bound: AX Armani Exchange Milan". euroleague.net. 6 May 2021. Retrieved 6 May 2021.
- ^ 치 시아모(이탈리아어).
- ^ "Olimpia will officially retire Mike D'Antoni's 8". olimpiamilano.com. 3 March 2015.
- ^ "Eleven Forever: Dino Meneghin's number 11 will be retired by Olimpia". olimpiamilano.com. 28 October 2019.
- ^ "EEleven Forever: the legendary career of Dino Meneghin and why he wore number 11". olimpiamilano.com. 11 November 2019.
- ^ "#ElevenForever, perché certe notti lasciano il segno e sono indimenticabili" (in Italian). olimpiamilano.com. 20 November 2019.
- ^ "The Arthur Kenney first person-diary". olimpiamilano.com. 31 May 2013.
- ^ 레가 올림피아 밀라노의 역사에 관한 한 페이지. (이탈리아어) Wayback Machine에서 2010-01-02 보관
- ^ "Milano cambia "volto", sarà AX Armani Exchange anche in campionato" [Milan changes his "face", it will be AX Armani Exchange also in the Italian League]. basketinside.com (in Italian). 21 June 2018. Retrieved 22 June 2018.
외부 링크
- 공식 홈페이지 (이탈리아어 및 영어)
- 2018-19 LBA팀 페이지 (이탈리아어)
- 2018-19 유로리그 팀 페이지 (영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