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메가 포인트
Omega Point오메가 포인트는 우주의 모든 것이 [1]통일의 마지막 지점을 향해 나선형으로 나아가는 가정된 미래이다.이 용어는 프랑스 예수회 신부 피에르 테일하르 드 샤르댕 (1881–1955)[2]에 의해 발명되었다.테일하르드는 오메가 포인트가 기독교 로고, 즉 모든 것을 자신에게 그리는 그리스도와 닮았다고 주장했는데, 그리스도는 니케아 신조의 말로 "하나님으로부터의 하나님", "빛으로부터의 빛", "진정한 하나님" 그리고 "모든 것이 그를 통해 만들어졌다"[3]고 말했다.요한계시록에서 그리스도는 자신을 세 번 "알파와 오메가, 시작과 끝"이라고 묘사한다.오메가 포인트의 개념은 존 데이비드 가르시아, 파올로 솔레리, 프랭크 티플러,[4][5][6] 데이비드 도이치 등과 같은 이후의 글에서 발전되었다.
피에르 테일하르 드 샤르댕의 이론
어원학
Teilhard de Chardin은 고생물학자이자 예수회 성직자였다.1920년대 프랑스에서, 그는 그의 우주 이론을 가톨릭과 진화를 같은 대화에 놓는 강의에 통합하기 시작했다.이러한 강의들 때문에, 그는 성청에 의해 원죄의 교리를 부정하는 것으로 의심받았다.이로 인해 테일하르드는 중국으로 추방되었고 교회 당국에 [7]의해 출판이 금지되었다.1955년 그가 세상을 떠난 지 1년이 지나서야 그의 글이 세상에 읽힐 수 있도록 출판되었다.그의 작품들은 교황 베네딕토 [7]16세를 포함한 가톨릭 사상가 그룹의 글들에 의해서도 지지를 받았다.그의 책인 인간의 현상은 과학적으로 증명될 수 없는 신학적 또는 철학적인 이론으로 천체 물리학자들과 우주론자들에 의해 해부되었다.우주론자가 아니었던 테일하르드는 다음과 같은 말로 책을 펼친다.
...이 책이 제대로 이해되려면, 그것은 형이상학에 관한 작품이 아니라, 하물며 일종의 신학적 에세이로써가 아니라 순수하고 단순한 과학적 [8]논문으로 읽혀져야 한다.
진화
테일하드에 따르면, 진화는 인류와 함께 끝나지 않으며 지구의 생물권은 인간이 존재하기 전에 진화했다.그는 진화를 무생물에서 시작하여 지구의 호민화를 [9]통해 미래의 신의식 상태로 나아가는 과정이라고 묘사했다.그는 또한 단세포 유기체가 메타조아나 동물로 발달하지만, 이 분류의 일부 구성원들은 복잡한 신경계를 가진 유기체를 발달시킨다고 주장했다.이 집단은 지능을 습득할 능력이 있다.호모 사피엔스가 진화를 통해 지구에 거주했을 때, 존재의 인지층인 누아스피어가 생성되었다.진화가 계속됨에 따라, 누아스피어는 일관성을 갖게 된다.테일하드는 [10]이 누스피어가 과학의 도움으로 오메가 포인트나 최종 진화 단계로 이동하거나 구성될 수 있다고 설명했다.Teilhard는 이 프로세스를 "플래닛화"라고 부릅니다.결국, 누아스피어는 생물권에 대한 완전한 지배력을 얻고 형이상학적 존재를 형성하는 접선 에너지로부터 완전히 독립하는 지점에 도달하여 오메가 [11]포인트를 만들었습니다.
에너지
에너지는 두 가지 기본 모드로 존재합니다.
Teilhard는 Radial Energy가 인류의 진화에 중요한 요소이기 때문에 Radial Energy가 더욱 집중되고 이용 가능하게 된다고 정의한다.그 이론은 존재하는 모든 것이 일종의 생명을 가지고 있다고 결론짓는 모든 형태의 물질에 적용된다.테일하드의 인간 현상에 관해, 피터 메다와르는 "테일하드의 방사형, 영적, 또는 심령적 에너지는 통신 [12]기술자들에 의해 합리적으로 정밀하게 만들어진 의미에서 '정보' 또는 '정보 내용'과 같을 수 있다"고 썼다.
형식 속성
테일하드의 이론은 네 가지 공식 성질에 의해 유지된다.
- 인간은 우주의 뜨거운 죽음에서 벗어날 것이다.현재의 과학적 이해는 지능이 [13]열사망에서 살아남을 수 없다는 것을 암시한다.그는 방사 에너지가 엔트로피와 일치하지 않기 때문에 세계의 종말에서 힘의 붕괴를 피할 수 있다는 이론을 세웠다.
- 오메가 포인트는 우주의 타임라인 내에 존재하지 않습니다. 시간의 끝에 정확히 발생합니다.그 시점부터 모든 존재의 순서가 그 존재 속으로 빨려 들어간다.
- 오메가 포인트는 원뿔 모양의 부피로 이해될 수 있는데, 원뿔 모양의 부피는 바닥에서 꼭대기까지 가는 각 부분이 마지막 점으로 줄어들 때까지 감소한다.
- 제3의 재산에 기술된 물량은 유한한 경계를 가진 실체로 이해되어야 한다.Teilhard 설명:
만약 인류가 무한한 표면에 무한히 퍼지는 것이 자유롭다면 인류는 어떻게 되었을까? 즉, 인류 내부의 우호적인 장치에만 맡겨진다면?상상할 수 없는 일...압축의 [14]힘에 의한 발전의 극히 중요한 역할을 생각하면 아마 아무것도 아닐 것이다.
압축력
Teilhard는 오메가 포인트를 생성하는 기여하는 보편적인 에너지를 "압축의 힘"이라고 부릅니다.중력과 질량을 통합한 과학적 정의와는 달리, 인간 사이의 의사소통과 접촉에서 오는 압축원의 힘이다.이 값은 무한하며 엔트로피와 직접 관련이 있습니다.그것은 인간이 상호작용을 계속함에 따라 의식은 발전하고 성장한다는 것을 암시한다.그 이론이 일어나기 위해서는 인간도 유한한 지구에 얽매여 있어야 한다.이 경계의 창조는 오메가 포인트-신과의 교감 속에서 시간이 끝나도록 그가 이론화한 세계의 융합을 강요한다.테일하르드의 생각의 이 부분은 인간이 우주 [15]여행에 참여하고 행성의 국경을 초월하는 것에 대한 그의 기대가 부족하다는 것을 보여준다.
오메가 포인트 우주론
수학적 물리학자 프랭크 티플러 테일라르의 용어 오메가 포인트 그는 무엇이 우주 물리 법칙에 필요한 것은 궁극의 운명:대략, 티플러지 않는 한 블랙 홀에 모든 위치의 미래 현명한 관찰자가 wavefunction의 붕괴를 포함한다는 양자 역학도 일관성이 없다고 주장하고 있고 설명하기 generalizes[16]. 그리고.이 일이 일어나는 유일한 방법은 우주가 닫혀있으면서도(즉, 하나의 점으로 붕괴될 것이다) 유한 시간 [17][18][19]내에 무한한 일련의 관찰을 수행할 수 있는 "신과 같은" 능력을 가진 관찰자를 포함하는 것이다.
신학적 논쟁
피에르 테일하르 드 샤르댕 (1881–1955)의 삶은 제1차 바티칸 평의회 (1869년)와 제2차 바티칸 평의회 (1965년) 사이에 놓여 있다.그의 시대는 찰스 다윈의 1859년 저서 "종의 기원" 직후로, 과학 이론의 주장과 전통적인 신학 가르침의 주장 사이의 교차가 바티칸의 [20]의제의 엄청난 초점이 된 시기였다.
교황 비오 12세는 비록 그것을 비난하지는 않았지만 진화론에 대한 우려를 표명했다.
만약 그러한 교리가 퍼진다면, 변하지 않는 가톨릭 교의는 어떻게 될 것인가, [21]신조의 통합과 안정은 어떻게 될 것인가?
테일하르드의 이론은 과학과 신학이[citation needed] 공존하는 새로운 기독교를 창조하려는 개인적인 시도였다.그 결과 오메가 포인트에 대한 그의 이론은 물리학자들에 의해 조사된 것처럼 완벽하게 과학적이지 않았고, 또한 완벽하게 기독교적이지도 않았다.1962년까지 예수회는 스페인 예수회 사제 프란시스코 수아레즈의 인간 철학에서 벗어나 "테일하르드 진화 우주 형성"을 지지했다.테일하드의 그리스도는 계시의 "코스믹 크라이스트" 또는 "오메가"입니다.그는 물질로 이루어져 이 세상에 태어나서 죽으면서 진화의 본질을 경험하는 신의 산물이다.죽은 자들 사이에서 부활한 것은 천국이 아니라 모든 영성과 영적 존재의 융합 영역인 누어스피어로, 그리스도가 시간의 끝에 있을 것입니다.지구가 오메가 포인트에 도달하면 존재하는 모든 것이 [22]신성과 하나가 될 것이다.
Teilhard는 오귀스트 발렌신에게 보내는 다음 편지에서 교회의 역할을 재확인한다.그가 진화를 신에 의해 움직이는 과학적 현상으로 정의한다는 것은 중요합니다. 과학과 신은 서로 연결되어 있고 작용하고 있습니다.
나는 교회를 믿고 신과 세계를 중재한다.교회, 반사적으로 기독교화된 세계 부분, 교회, 초자비를 통한 인간 간 우호 관계의 주요 초점, 교회, 보편적 융합의 중심축, 그리고 우주와 오메가 포인트 사이의 정확한 접점...그러나 가톨릭 교회는 단순히 그 원초성과 권위를 긍정하는 것이 아니라 인류-우주적 차원의 보편적 그리스도,[23] 즉 그리스도를 진화의 자극자로 세상에 제시하는 것을 매우 단순하게 추구해야 한다.
관련 개념
우주 팽창 가속화
1998년 Ia형 초신성의 관측에서 측정된 값은 한때 일시적인 우주론적 팽창으로 여겨졌던 것이 실제로 [24]가속되고 있음을 나타내는 것으로 보였다.오메가 포인트의 기능성에 있어서 최종적인 큰 크런치 특이점의 필요성이 중요하기 때문에, 명백한 가속은 많은 사람들로 하여금 티플러의 오메가 포인트를 즉석에서 무시하게 만들었다.그러나 Tipler 본인은 오메가 포인트가 여전히 작동 가능하다고 믿고 있으며, 많은 현재 범용 모델에서 [25][26]큰 크런치/최종 특이점이 여전히 필요한 이유를 여러 번 설명했습니다.
기술적 특이점
기술적 특이점은 이론적으로 재귀적 자기계발을 할 수 있는 인공지능의 가상적인 출현으로 지능 폭발에 대한 [27]폭주 효과를 초래한다."기독교 트랜스휴머니즘"의 지지자인 에릭 스타인하트는 세속적인 특이성과 테일하르드의 종교적 오메가 [4]포인트 사이에 상당한 개념의 중복이 있다고 주장한다.스타인하트는 가장 유명한 단수주의자 중 한 명인 레이 커즈와일의 말을 인용, "진화는 비록 이 [4][28]이상에 도달하지는 못했지만 우리의 신에 대한 개념을 향해 무자비하게 나아간다."고 말했다. 테일하드는 커즈와일과 마찬가지로 인류와 기술이 융합되는 급격한 기술 변화의 시기를 예측하고 있다.그는 이것이 "지구의 영혼"의 출현과 누아스피어의 탄생을 의미한다고 믿지만, 틸하르디안 특이점은 나중에 온다.커즈와일과 달리, 테일하드의 특이성은 인간 지능의 진화가 "트랜스휴먼"에서 "포스트휴먼"으로 올라가는 임계점에 도달하는 것으로 특징지어진다.그는 이것을 기독교의 "파루시아"[4]와 동일시한다.
대중문화의 오메가 포인트
스페인의 화가 살바도르 달리는 테일하르트 드 샤르댕과 오메가 포인트 이론에 매료되었다.1959년 그의 그림 '에큐메니컬 평의회'는 오메가 [29]포인트의 "상호 연결성"을 나타낸다고 한다.돈 데릴로의 포인트 오메가라는 이름은 이론에서 따왔으며 테일하르트 드 샤르댕을 [30]연구하는 한 인물을 포함한다.Flannery O'Connor의 호평을 받은 단편 소설 모음집은 제목 "Every That Rises Must Converges"에서 오메가 포인트 이론을 인용하고 있으며, 공상 과학 소설 작가 Frederik Pohl은 1998년 단편 소설 "영원한 포위전"에서 프랭크 티플러와 오메가 포인트를 언급하고 있다.[31]스코틀랜드의 작가이자 반문화적인 인물인 그랜트 모리슨은 그의 저스티스 리그 오브 아메리카와 배트맨 [32][33][34]이야기에서 오메가 포인트를 줄거리로 사용했다.아서 C.Clarke와 Stephen Baxter의 The Light of Other Days는 Teilhard de Chardin을 언급하고 오메가 [35]포인트에 대한 간단한 설명을 포함합니다.이탈리아 작가 발레리오 에반젤리스티는 그의 소설 '[36]일 판타지마 디 아이메리치'의 주요 테마로 오메가 포인트를 사용했다.윌리엄 피터 블래티의 소설 엑소시스트에서 메린 신부의 인물은 오메가 포인트를 언급한다.2021년, 네덜란드의 심포닉 메탈 밴드 에피카는 오메가 포인트 이론과 관련된 컨셉을 담은 여덟 번째 스튜디오 앨범인 오메가를 발매했다.에피카의 기타리스트이자 보컬인 마크 얀센은 앨범의 [37]컨셉을 설명할 때 테일하드의 이론을 구체적으로 언급했다.
「 」를 참조해 주세요.
관련 개념
- 아포카스타시스
- 인공 생명
- 종말론
- 위대한 존재의 사슬
- 메타스템 이행
- 시간파 제로
- 누제네시스
- 포스트휴먼 신
- 슈퍼 인텔리전스
- 슈퍼마인드(통합요가)
- 기술적 특이점
- 텔레올로지
- 트랜스휴머니즘
관계자
레퍼런스
- ^ "Could artificial intelligence kill us off?". Newsweek. Retrieved 21 September 2016.
- ^ Castillo, Mauricio (March 2012). "The Omega Point and Beyond: The Singularity Event" (PDF). American Journal of Neuroradiology. 33 (3): 393–5. doi:10.3174/ajnr.A2664. PMC 7966419. PMID 21903920. Retrieved 6 June 2015.
- ^ Hickey, Michael (2016-03-07). Get to the End: A Catholic's View of the End Times. London: UPA. p. 104. ISBN 9780761867333.
- ^ a b c d Steinhart, Eric (2008). "Teilhard de Chardin and Transhumanism". Journal of Evolution and Technology. 20 (1): 1–22. ISSN 1541-0099. Retrieved 2015-06-03.
- ^ Green, Ronald (2012). "Challenging Transhumanism's Values". Hastings Center Report. 43 (4): 45–47. doi:10.1002/hast.195.
- ^ Lilley, Stephen (2013). "Transcend or Transgress?". Transhumanism and Society. Hastings Center Report. SpringerBriefs in Philosophy. pp. 13–24. doi:10.1007/978-94-007-4981-8_2. ISBN 978-94-007-4980-1.
- ^ a b Bryant, M. Darrol (2018-04-20). Out of Galilee: Christian Thought as a Great Conversation. Eugene, OR: Wipf and Stock Publishers. p. 300. ISBN 9781532638497.
- ^ Teilhard de Chardin, Pierre (2008). The Phenomenon of Man. Translated by Wall, Bernard. New York: Harper Perennial Modern Thought. p. 29. ISBN 978-0061632655.
- ^ Livingstone, David (2013). Black Terror White Soldiers: Islam, Fascism & the New Age. Sabilillah Publications. p. 451. ISBN 9781481226509.
- ^ Feist, Richard; Sweet, William (2013). Religion and the Challenges of Science. Burlington, VT: Ashgate Publishing, Ltd. p. 66. ISBN 9781409477624.
- ^ Tipler, Frank J. (1994). The physics of immortality: modern cosmology, God, and the resurrection of the dead (1st Anchor Books ed.). New York: Anchor Books. p. 113. ISBN 978-0385467995.
- ^ Medawar, Sir Peter. "The Phenomenon of Man". bactra.org. Retrieved 16 February 2018.
- ^ Tipler, Frank J. (1994). The physics of immortality : modern cosmology, God, and the resurrection of the dead (1st Anchor Books ed.). New York: Anchor Books. p. 111. ISBN 978-0385467995.
- ^ Teilhard de Chardin, Pierre (2008). The phenomenon of man. Translated by Wall, Bernard (1st ed.). New York: Harper Perennial Modern Thought. p. 239. ISBN 978-0061632655.
- ^ Tipler, Frank J. (1994). The physics of immortality : modern cosmology, God, and the resurrection of the dead (1st Anchor Books ed.). New York: Anchor Books. p. 115. ISBN 978-0385467995.
- ^ Tipler, Frank J. "에사톤으로서의 오메가 포인트:과학자를 위한 판넨버그의 질문에 대한 대답." 자이곤 (저널) 24.2(1989) : 217~253.말할 필요도 없이 Teilhard de Chardin의 용어입니다.."
- ^ Ellis, George Francis Rayner (1994). "Piety in the Sky" (PDF). Nature. 371 (6493): 115. Bibcode:1994Natur.371..115E. doi:10.1038/371115a0. S2CID 36282720.
It is a masterpiece of pseudoscience
- ^ Krauss, Lawrence (May 2007). "More dangerous than nonsense". New Scientist. 194 (2603): 53. doi:10.1016/S0262-4079(07)61199-3.
I am tempted to describe Tipler's new book as nonsense—but that would be unfair to the concept of nonsense.
- ^ "The Strange Case of Frank Jennings Tipler". Skeptical Inquirer. 2008. Retrieved 21 September 2016.
I began to wonder if the book could be a subtle, hilarious hoax. Sadly, it is not.
- ^ Trennert-Helwig, Mathias (March 1995). "The Church as the Axis of Convergence in Teilhard's Theology and Life". Zygon. 30: 73–89. doi:10.1111/j.1467-9744.1995.tb00052.x.
- ^ "6 "Si talis opinio amplectanda esse videatur, quidfiet de numquam immutandis catholias dogmatibus, quid de fidei unitale et stabuliat". L'Osservatore Romano. 19 September 1946.
- ^ Teilhard de Chardin, Pierre (1 January 1968). Science and Christ. Collins.
- ^ Teilhard de Chardin, Pierre (1948). "My Fundamental Vision". XI: 191–192.
{{cite journal}}
:Cite 저널 요구 사항journal=
(도움말) - ^ Palmer, Jason (4 October 2011). "Nobel physics prize honours accelerating Universe find". BBC News.
- ^ Prisco, Giulio (26 September 2012). "Interview with Frank J. Tipler (Nov. 2002)". Turing Church.
- ^ Ghostarchive 및 Wayback Machine에서 아카이브:
- ^ 찰머스, 데이비드"특이점:철학적 분석"의식연구 저널 17.9-10 (2010) : 7-65.
- ^ Kurzweil, Ray (2005). The Singularity is Near. New York: Viking Books. ISBN 978-0-670-03384-3., 페이지 476; "375, 389-390"도 참조
- ^ "VCE Art: The Ecumenical Council" (PDF). National Gallery of Victoria Educational Resource.
- ^ DeLillo, Don (2010). Point Omega. Scribner.
- ^ Pohl, Frederik (1998). The Siege of Eternity. Tor Science Fiction. ISBN 978-0812577662.
- ^ 모리슨, 그랜트Batman 샘플 페이지: The Return of Bruce Wayne #2 (2010년 6월)DC 코믹스
- ^ 모리슨, 그랜트JLA Volume 3의 샘플 페이지: "The Rock of Age"
- ^ 모리슨, 그랜트Batman 샘플 페이지: The Return of Bruce Wayne #6 (2010년 11월).DC 코믹스
- ^ Clarke, Arthur C. (2001). The Light of Other Days. Tom Doherty Associates. p. 331. ISBN 978-0-812-57640-5.
- ^ Evangelisti, Valerio (2018). Il Fantasma di Eymerich. Mondadori. ISBN 978-8804702245.
- ^ 오메가 녹음 세션의 얀센, 마크, 에피카의 VLOG.
외부 링크
- 컴퓨터 역사는 위르겐 슈미드허버가 "The New AI: General & Sound & Referrated for Physics, B"에서 예상한 오메가 포인트를 향해 나아갑니다.Goertzel과 C.페나친, ed:"인공 일반 지능, 175-198, 2006년."
- 오메가 포인트에 대한 티플러의 에세이
- 인간 진화 연구소
- 프린스턴 누스피어 프로젝트는 테일하르트 드 샤르댕을 인용한다.
- 진화에 관한 Teilhard de Chardin